달력

4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펌...

http://tunelinux.pe.kr/sysadmin/iskim/linux-window-7.html



7. 기업 환경을 위한 리눅스 블랙박스 만들기[7]

7.1 20만통의 메일과 sendmail

이번달에는 webmin등을 이용한 서버 설정에서 잠시 벗어나 본격적인 서버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자. 아무리 기업환경을 대상으로 한다고 해도 리눅스에 대한 개념을 갖추지 못한 사용자만이 있는 것은 아니며 유닉스에 익숙한 관리자들도 많을 것인데 이들은 유닉스에 익숙하고 리눅스를 유닉스 중의 하나로 보고 일반적인 관리방법만을 적용하고 있다. 왜냐하면 현재 인터넷등에서 리눅스에 대한 글은 초보와 중급 정도의 독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글이 처음 설치와 제대로 동작하기 정도에서 멈추기 때문이다.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설정 방법들을 모두 섭렵하기에는 관리자들이 시간이 없으며 그런 문제를 전문적으로 해결해 줄 곳도 없기 때문이다. 또한 아무리 오픈소스가 인기가 있고 리눅스 열풍이 한반도를 휘몰아쳐도 여전히 나는 남의 정보를 얻어 오지만 내 것은 줄 수 없다는 생각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여기 저기서 특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는 소식을 주워 듣고는 있는데 제품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소리는 있지만 이 것을 공개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듣지 못하고 있다. 아무리 리눅스가 바람을 타더라도 이런 상황에서는 아무도 도약할 수 없다. 리눅스 마케팅의 대상은 한국이 아니라 전세계 시장이며 이런 마케팅은 정보의 공개에 의해서 그 힘을 얻을 수 있다. 각자 알고 있는 것을 일단 공개하자. 얻은 만큼 주어야 클 수 있고 보답이 돌아온다는 것을 명심해야 하지 않을까? 이 글은 필자가 대규모 메일 중계 서버를 관리하면서 알게된 경험을 바탕으로 쓴 글이다. webmin으로 하는 서버 설정을 기대하고 이 글을 읽는 독자들에게는 다소 어려운 글이겠지만 나중에는 결국 도움을 줄 수 있는 글이 될 것이다.

한 개의 서비스가 대규모화 되고 소위 엔터프라이즈급의 처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소규모일 때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던 것들이 엄청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리눅스가 대규모 서버로서 제대로 설 수 있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이 글에서는 메일서버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지만 꼭 그 것에만 국한 된 것은 아니며 웹서버나 삼바등에서도 활용가능하다.

7.2 숙제풀이

지난 달에 sendmail이 가능하면 처리할 메일을 즉시 보내기를 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물었다. 그 방법은 다양한데 가장 빠른 방법은 실제로 과중한 부담을 받는 메일서버를 관리하면서 고쳐 나가보는 것이다. 숙제의 답은 본문 속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리눅스에서 하루에 20만통의 메일을 전송, 수신, 중계를 해야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생각하다보면 이 정도의 문제는 쉽게 답을 낼 수 있을 것이다.

7.3 이글의 범위

이 글은 sendmail을 인스톨하고 설정하는 법에 대한 설명이 아니다. 기본적인 설정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네임서버 설정과 MX 레코드등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는다. 사용자명 재지정을 위한 alias, 수신 메일의 도메인을 처리할 것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sendmail.cw, 수신 메일의 도메인과 사용자명을 바꿔치기하는 virtusertable, 변경전의 도메인을 새 도메인과 일치시키는 domaintable, 송신메일에서 사용자와 도메인명을 바꿔치기하는 genericstable, 상태편 사이트의 메일서버 문제를 처리하는 mailertable, 메일을 처리해 주는데 문제가 없는 사이트로 인정하는 sendmail.ct 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독자적인 sendmail.cf를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m4 프로그램 사용법도 마찬가지이다. 알고 싶으면 /usr/lib/sendmail-cf를 조사해 보기 바란다. 배포본의 설정은 /usr/lib/sendmail-cf/cf/redhat.mc에 들어 있다. m4 사용법은 이 글의 주제가 아니며 자세한 관련 문서가 같은 디렉토리에 있고 인터넷을 통하면 쉽게 한글문서도 구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언급하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법은 알고 있어야 한다. 모른다면 프로그램 예가 나올 때 마다 메뉴얼 페이지를 조사할 것을 권한다. sendmail 자체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용자들이나 하루에 100개 미만의 메일을 처리하는 서버를 다룬다면 이 글을 읽지 않아도 좋다. 일반적인 sendmail의 옵션을 알고 싶으면 소스에 함께 배포되는 설명파일을 읽던지 인터넷을 뒤지던지 관련 서적을 구입할 것을 권한다. 시스템 설정 과정에 대한 사항도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이 글의 목적은 엔터프라이즈급 환경에서 리눅스를 운용할 때, 특히 메일서버로 사용할 때 제기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쓰는 글이며 메일서버 설정법에 대한 초보적이고 지루한 강의가 아니기 때문이다.

7.4 필요한 것들

리눅스를 메일서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sendmail 패키지가 필요하다. 물론 대부분의 배포본에는 기본적으로 메일서버가 인스톨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대규모 사이트가 아니라면 기본적인 설정으로 문제가 없다. 대규모 사이트에서 메일분산을 위해서는 sendmail 소스 배포본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므로 소스도 가져오기 바란다. 자체 네임서버도 필요하다. 배포본의 캐싱만 하는 네임서버를 인스톨해 둘 것. 그외 syslogd와 logrotate, top, killall 프로그램 사용법에 대한 지식도 필요하다. 하드웨어는 하루 전송량 1000통이하라면 팬티엄200, 메모리 64메가정도, 그 이상이라면 팬티엄II-450, 메모리 128혹은 256이상이 필요하다. 서버라면 스카시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IDE도 상관없지만 속도가 문제라면 스카시 하드 디스크가 적당할 것이다. 네트웍은 가능한한 빠른 것이 좋으며 트래픽을 감시하면서 메일서버의 처리량이 한계를 넘어가면 네트웍 속도를 업그레이드 하던지 속도에 맞게 메일서버의 처리량을 조절하면 될 것이다.

7.5 1천통의 이메일

하루에 1천통 이하의 메일을 처리하는 사이트가 있다. 사용자들은 윈도우에서 메일을 전송하고 리눅스의 계정으로 메일을 받는다. 사용자는 1-200명 정도이고 각 사용자는 10개 정도의 메일을 주고 받는다. 보내는 메일은 리눅스서버가 중계해 주고 받는 메일은 사용자들이 5분 단위로 pop3나 IMAP으로 가져 간다. 이 정도의 부담이라면 기본 배포본의 설정과 팬티엄 정도의 하드웨어 56K-128K정도의 네트웍 속도에서도 부담이 없다. 한 사람당 메일 쿼타로 5M를 준다면 1G 정도의 하드 디스크 여유가 있으면 된다. 파일서버, 프린터서버, 웹서버로 같이 사용해도 된다. 자체 네임서버를 구축할 필요도 없으며 메일 큐 디렉토리의 크기에도 신경 쓸 필요가 없다. 로그파일도 크지 않을 것이다. 90퍼센트 이상의 사이트에서 이 정도의 부담으로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시스템 관리자도 거의 필요 없고 서버를 구석에 놓고 그냥 쓰면 된다. 정전이 되었거나 무심코 리셋키를 눌러서 하드디스크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면 일년이상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sendmail의 기동은 /etc/rc.d/init.d/sendmail에 의해서 시작된다. 중요부분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start)        # Start daemons.        echo -n "Starting sendmail: "        daemon /usr/sbin/sendmail -bd -q1h        echo        touch /var/lock/subsys/sendmail

sendmail은 데몬 모드(-bd)로 큐는 한 시간에 한 번씩 뒤져 보게(-q1h) 되어 있다. sendmail은 메일 접속을 받으면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처리하며 1시간에 한 번씩, 전송이 되지 않은 메일을 다시 보내기를 시도한다. 1천통의 메일은 이 방식으로 별 문제 없이 처리가 될 것이다. 이런 시스템 관리자는 복잡한 sendmail에 대해서 신경 쓰지 말고 다른 작업에 시간을 투자하기를 권한다.

7.6 1만통의 이메일

1만통의 메일은 사용자가 500명 정도, 1-2개의 메일링 리스트, 그리고 중계해 주어야 할 윈도우 클라이언트가 50-100대 정도 있게 된다. 한 개의 도메인 전체에 대한 메일을 담당하는 메일서버로 사용하는 경우일 것이다. 기본 설정으로 사용하기에는 몇가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500명의 사용자가 5분에 한 번씩 pop3을 사용하고 큐에는 평균 100통 이상의 메일이 저장되어 있게 된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한 개의 데몬이 주고 받는 메일을 처리하기에는 힘들게 된다. 이제 데몬을 구분하도록 하자. 중계와 수신을 위해서, 그리고 큐에 쌓여 있는 메일을 처리할 두 개의 데몬으로 나눈다.

        daemon /usr/sbin/sendmail -bd         /usr/sbin/sendmail -q30m

수신,전송을 위한 데몬은 몇가지 제한 사항에 따라 메일을 직접 전송할 것인지 큐에 쌓아 놓고 나중에 보낼 것인지 결정한다. 해당 옵션은 /etc/sendmail.cf에 있는데 다음과 같은 것이다.

  # load average at which we just queue messages  #O QueueLA=8  # load average at which we refuse connections  #O RefuseLA=12  # maximum number of children we allow at one time  #O MaxDaemonChildren=12

LA란 Load Average라는 뜻인데 오렐리의 sendmail 책에 보면 복잡한 식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경험적으로는 동시에 처리하고 있는 메일 프로세스의 수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QueueLA=8이란 현재 처리하고 있는 메일 프로세스의 수가 8개 이상이면 전송을 중단하고 일단 큐에 쌓은 다음에 나중에 처리하라는 뜻이다. 또한 RefuseLA=12란 메일 처리 프로세스 수가 12개 이상이면 접속을 거부하라는 의미가 된다. 마찬가지로 MaxDaemonChildren=12란 한개의 sendmail 데몬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자식 프로세스의 수를 12개로 제한한다는 뜻이다. 이제 이 값을 바꾸어 준다. 큐에 메일을 쌓지 않고, 네임서버에 의뢰한 결과 보낼 주소가 유효한 것이고 상대편 메일서버가 전송을 허가해 준 메일이라면 즉시 전송을 시도하도록 한다. 그리고 가능한한 지연 없이 메일을 받아 들이고 원하는 모든 접속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접속 거부를 시작할 프로세스 수와 자식 프로세스의 최대값을 큰 값으로 유지한다.

  O QueueLA=128  O RefuseLA=128  O MaxDaemonChildren=64

첫칸에 #가 붙은 것은 sendmail에 설정되지 않으므로 변경하고 싶으면 #를 제거하고 값을 바꾸어 준다. 이제 sendmail은 동시에 128개(수신, 중계 sendmail 64, 큐처리 64)까지 뜰 수 있다. 수신메일은 최대 64개 까지 동시에 처리되며 중계나 수신은 64개 까지는 거부없이 받아 들인다. 물론 메일 거부는 부하가 많이 걸릴 때 발생하며 상대편 메일서버는 이 때에 메일 전송에 실패하지만 잠시 후에는 접속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일시적 메일 서버 접속 거부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잘못된 주소로 메일을 보내거나 이 메일 서버가 전송을 시도하는 상대편 메일서버가 다운되어 메일을 보낼 수 없을 때만 메일이 큐에 쌓인다. 큐에 쌓인 메일은 큐처리 전용의 메일서버가 계속해서 전송을 시도하게 되며 정말로 갈 수 없는 메일이 아니라면 몇 시간 안에 메일은 보내지게 될 것이다. 한 개의 메일이 계속 전송이 불가능 할 때 최대로 큐에 저장될 수 있는 값은 5일이다. 그 후에는 큐처리 메일서버가 이 메일을 강제로 삭제하게 된다. 이 값은 sendmail.cf에 있으며 바꾸기를 원하면 직접 찾아 보기 바란다.

7.7 5만통의 이메일

5만통의 메일을 주고 받게 되면 sendmail이 아닌 다른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우선 수신, 중계 전용의 sendmail이 serial하다는 것이 문제가 된다. sendmail은 메일을 수신하면 이 메일이 로칼에 있는 사용자에게 오는 메일인지 중계를 해야 하는 것인지 판단해야 한다. 중계를 해야 하는 것이라면 네임서버에게 헤더에 적힌 메일 주소값을 보내 실제 숫자 IP 주소로 바꾸어 줄 것을 요청한다. 그 동안 이 프로세스는 다른 메일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또다른 메일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자식 프로세스가 fork되어야 하고 64개의 메일 프로세스는 각각 네임서버에게 주소값을 의뢰하는 시간 지연이 있다. 네임서버가 신속히 반응하지 않으면 그 프로세스는 최대 5분까지 1개의 메일 때문에 대기해야 한다. 그 동안 계속 메일이 전송되면 네임서버의 지연으로 대기하는 프로세스는 제외한 프로세스들이 처리해야 하므로 여러개의 프로세스가 네임서버 지연으로 묶이게 되면 금방 64개의 자식 프로세스가 생성되고 그 이상 생성될 수 없으므로 나머지 전송 메일은 전송 시도조차 할수 없게 된다.

즉 1분에 70개의 메일이 전송되고 그 중에서 5개의 메일이 네임서버 지연으로 묶여 있게 될 때는 그 중에서 59개만 처리되고 대기 메일이 5개, 나머지 6개는 전송 실패를 하게 된다. 상대편 메일 서버는 일정시간이 지나야 메일을 재전송하게 되기 때문에 전송지연이 생기게 된다. 물론 메일을 도착 즉시 읽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지연으로 인해 중요한 업무를 처리할 수 없게 되면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중계를 요청한 메일 주소가 잘못되어 있을 경우에는 5분의 지연이 있게 된다. 그래서 평균적으로 목적지 주소가 잘못된 중계메일이 30%정도의 메일서버 수행 성능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서버를 빠른 하드웨어로 대체해도 이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 메일은 1M 네트웍 환경에서, 크기가 10k 이내라면 3초 안에 네임서버 조회, 상대편 서버와 접속, 사용자 인증, 메일 본문 전송의 모든 작업이 끝나게 된다. 100개의 메일을 300초 동안에 모두 전송 할 수 있음을 뜻한다. 좀 더 빠른 하드웨어와 네트웍에서 같은 메일을 2초 만에 전송할 수 있다면 200초가 걸린다. 그러나 그 중에서 1개의 메일이 잘못되었다면 이 메일이 5분(300초)간의 전송 지연을 유발하게 되고 총 걸린 시간은 600(300+300)분과 500(200+300)분의 차이가 된다. 9개의 정상 메일과 1개의 비정상 메일에 대해서 이야기 했지만 1000개의 메일에서 20개의 메일이 이상하다면 총 걸린 시간은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11960초와 12940초).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단순히 빠른 서버를 구입한다고 했을 때 하드웨어 업그레이드에 비해서 전송효율이 같은 비율로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이 것은 마치 99미터를 1초만에 달리고 나머지 1미터를 10초에 달리는 선수와, 99미터를 2초에 달리고 나머지를 같은 10초에 달리는 100M 경주와 비슷하다. 평균적으로 빠르지 않으면 결과는 차이가 거의 없는 것이다. serial 방식의 메일 전송의 병목은 시스템의 수행 성능이 아니라 잘못된 메일이 점유하는 프로세싱 타임에 있다.

5만통의 메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런 serial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수신, 중계 메일은 메일을 받아들이는 순간에는 네임서버에 유효한 주소인지 의뢰하는 등의 지연을 가져올 수 있는 모든 행위를 하지 않도록 하고 무조건 메일을 큐에 쌓도록 하는 것이다. 큐에 쌓인 메일은 큐 처리 전용의 메일서버가 병렬적으로 메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만든다.

        /usr/sbin/sendmail -bd -ODeliveryMode=defer        /usr/sbin/sendmail -q1m -OMaxDaemonChildren=64

DeliveryMode는 4가지가 있다. 각각은 sendmail 책에 있으므로 관심있는 사용자는 찾아 보기 바란다. 그 중에서 defer 모드는 수신 메일을 그 즉시 직접 전송을 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받은 메일이 유효한 것인지 네임서버에 의뢰하는 등의 시간지연이 있을 수 있는 행위를 전혀 하지 않고 큐에 쌓기만 한다. -q1m란 큐처리 데몬은 1분 단위로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고 이 프로세스가 처리할 메일이 있는지 확인하게 하는 것이다. 메일이 큐에 없을 때는 자식 프로세스가 뜬 후에 처리할 메일이 없음을 확인하고 스스로 죽게 된다. 만약 메일이 많이 수신되어 큐에 메일이 쌓이기 시작하면 1분에 한 번씩 큐 전용 메일서버가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어 내고 이 들은 각자 메일 전송을 시작한다.

64개의 메일 프로세스가 뜨기까지는 64분이 걸리는데 처음 뜬 프로세스가 1분에 2개의 메일을 처리한다고 하면 평균적으로 64분 동안 64개의 프로세스가 각각 64개의 메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즉 수신 메일이 분당 32개의 메일을 큐에 쌓는 정도의 부하(하루 총 메일량 46080개)에서는 평균적으로 큐처리 메일이 32개 정도가 뜨게 된다. 수신 전용의 데몬은 평균 10개 이내로 떠있게 되는데 그 이유는 한 개의 메일을 단순히 큐에 쌓는 행위는 거의 시간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뜨는 즉시 메일을 처리하고 죽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수치상의 결론이 실제와는 일치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전송될 수 없는 메일이 큐에 쌓이게 되면서 전체적인 성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64분 동안 주소가 잘못된 1개의 메일은 각각의 프로세스가 1번씩 전송을 시도하므로 총 64번 시도된다. 전송될 수 없는 메일은 한 개의 프로세스를 5분동안 잡아 놓고 있으므로 10개의 메일이 전송될 수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64개의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640개의 메일을 보낼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하루 동안 계산하면 총 15000여통의 메일을 보내지 못하게 만드는 결과를 낳는다. 한 개의 메일은 5일 동안 살아 있으므로 이런 메일이 다른 방식으로 처리되지 않는다면 메일서버는 엄청난 비효율에 시달려야 한다. 나중에는 큐에는 거의 이런 악성 메일로만 가득차 있고 정작 바로 보낼 수 있는 메일이 이들 속에 묻혀 전송이 되지 못하고 그대로 쌓이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sendmail의 소스 배포본의 contrib 디렉토리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 re-mqueue.pl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perl로 만들어져 있으며 어떻게 사용하는지는 그 프로그램 안에 자세한 설명이 있다. perl과 관련한 사항은 설명하지 않는다. 소스를 보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는 스스로 판단하기 바란다.

큐에 쌓이는 메일은 방금 받은 메일과 1시간 전에 받았지만 아직 처리 되지 못한 메일, 그리고 여러 시간 혹은 며칠 전에 받았지만 전송할 수 없는 메일들이 함께 들어 있다. 우선 1-2시간 안에 모든 메일은 큐 처리 데몬이 한 번씩 전송을 시도하기 때문에 1-2시간 전에 받았지만 아직 한 번도 전송이 시도된 적이 없는 메일은 없다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cron을 돌려서 2시간(64개의 데몬이 각각의 메일 전송을 2번 시도한 시간)안에 처리되지 못한 메일은 일차 큐에서 분리하여 다른 큐에 보내고 이 이차큐에 있는 메일을 처리하는 sendmail 데몬을 돌려서 그 메일들을 전송 하도록 한다. 우선 데몬을 다른 방식으로 띄운다.

        /usr/sbin/sendmail -bd -ODeliveryMode=defer        /usr/sbin/sendmail -q1m -OMaxDaemonChildren=64 \                           -OQueueDirectory=/var/spool/mqueue        /usr/sbin/sendmail -q10m -OMaxDaemonChildren=32 \                           -OQueueDirectory=/var/spool/mqueue2

/var/spool/mqueue2를 만들고 여기에는 2시간이 지난 메일을 처리하는 데몬을 최대 32개 까지 띄울 수 있도록 한다. 전송 지연이 있는 메일은 문제가 있는 것이므로 새로운 프로세스는 10분 정도의 시간 간격으로 뜨게 하면 별로 시스템 부담이 없게 될 것이다.

이제 mqueue의 일차 큐에서 mqueue2의 이차 큐로 메일을 보내는 것은 crontab을 사용해서 처리한다.

 # crontab -e 1-59/10 * * * * /usr/sbin/re-mqueue.pl /var/spool/mqueue /var/spool/mqueue2 7200

10분 단위로 mqueue에서 mqueue2로 2시간(7200초)가 지난 메일을 이동시킨다. 이제 일차 큐에는 전송 중이거나 전송을 기다리는 메일들만 남게 되고 악성메일(현재 보낼 수 없는 메일)은 제거되므로 효율이 눈에 띄게 증가하게 된다. redhat-5.2 이상의 설정이 이와 유사하지만 큐디렉토리간의 파일 이동을 위한 프로그램 설정이 되지 않았다. reahat-5.2 이상을 인스톨 했다면 re-mqueue.pl을 사용해 볼 것을 권한다.

7.8 10만통의 이메일

10만통의 메일을 하루에 처리하는 서버는 거의 엔터프라이즈급이라고 볼 수 있다. 하드웨어는 펜티엄II-dual, 메모리는 256M이상이 필요하고 네트웍은 1M급이 되어야 할 것이다. 리눅스의 사용자 계정은 현재 65536명까지 가능하지만 userid를 공유하는 서로 다른 사용자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쉽게 사용자를 추가하고 제거하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하고 사용자 인증 자체도 한 번의 메일을 위해서 64K를 뒤지는 비효율적인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것은 이 글의 주제가 아니다. 10만통의 메일을 주고 받는 서버는 B급 도메인의 메일서버가 될 것인데 이 글에서는 계정 사용자보다는 주로 하위 클라이언트의 메일 중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10만통의 메일을 처리하는 서버는 또다른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sendmail은 메일을 전송하면서 그 결과 메세지를 syslogd를 통해서 /var/log/maillog에 저장한다. /var/log/maillog에는 pop3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가져가는 기록과 한 개의 메일이 전송될 때마다의 기록을 남긴다. maillog는 cron 이 작동하여 한 주마다 크기를 줄이게 되어 있다(/etc/logrotate.conf참조). 그 크기를 계산해 보자. 아래는 성공적으로 메일 중계가 이루어진 한 개의 메일에 대한 로그이다.


Apr xx xx:xx:xx mail sendmail[24543]: XAA24543: from=<xxx@xxx.com>, \ size=2909, class=0, pri=32909, nrcpts=1, \ msgid=<45672:phj650:99xxxx_23:45:57>, proto=SMTP, relay=[210.108.5.10]Apr xx xx:xx:xx mail sendmail[24543]: XAA24543: to=<xxxxx@xxxmail.net>, \ delay=00:00:00, mailer=esmtp, stat=queuedApr xx xx:xx:xx mail sendmail[26062]: XAA24543: to=<xxxxx@xxxmail.net>, \ claddr=<xxxxxxx@xxxinc.com> (504/504), delay=00:09:27, xdelay=00:00:01,\ mailer=esmtp, relay=r-xxxxx.xxxmail.net. [xxx.xxx.152.76], \ stat=Sent (AAA06884 Message accepted for delivery)

한 개의 정상적인 메일이 전송될 때 나오는 메세지는 560여 바이트가 된다. 이 것은 정상적으로 전송된 메일의 경우에만 그렇고 여러가지 이유에 의해서 전송되지 않는 메일은 하루에 여러번 전송 시도를 하기 때문에 여기에 더해서 그 때마다 에라 메세지가 쌓인다. 그러므로 평균적으로 한 개의 메일이 1k정도의 메세지를 뿌린다고 하자. 하루에 10만개의 메일을 전송하니까 로그는 100M가 된다. 일주일 동안 로그 파일의 크기는 700M로 커진다.

메일계정이 1000명이라고 할 때 각각의 사용자가 5분마다 한 번씩 메일을 체크한다. 한 번의 메일 체크 로그는 아래와 같다.


Apr xx xx:xx:15 mail ipop3d[22650]: port 110 service init from 210.xxx.x.xApr xx xx:xx:18 mail ipop3d[22650]: Login user=xxxxx host=[210.xxx.x.xx] nmsgs=7/7Apr xx xx:xx:24 mail ipop3d[22650]: Logout user=xxxxx host=[210.xxx.x.xx] nmsgs=0 ndele=7

한 번에 약 0.2k의 로그가 쌓인다. 윈도우에서 pop3을 사용해 메일을 가져가고 근무 시간 이후에는 컴퓨터를 끈다고 가정하면 하루에 8시간 근무하는 사용자는 192K의 로그를 만들어 내고, 1000명은 192M를, 일주일에는 1.3G의 로그를 생성시킨다. 메일 서버에 하드 디스크가 넉넉하다면 로그 파일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하드 디스크 용량 때문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 것이다. 한 사용자당 5M씩 할당하면 메일을 저장할 영역으로 5G가 필요하고 로그를 위해서 2G이상이 필요하다(logrotate값이 4라면 8G.)

문제는 여기에 있지 않다. syslogd는 한 개의 파일, maillog를 열어 놓고 계속해서 로그 메세지를 쌓게 되는데 이 때 1M이상을 넘어가면 1개의 로그 메세지를 처리하기 위해서 시스템 자원을 10 퍼센트 이상 사용하며, 10M를 넘어가면 40 퍼센트 이상, 100M 메가를 넘어가면 거의 80퍼센트 이상의 시스템 자원을 사용하게 된다. 로그 파일이 커질 수록 점점 시스템 자원이 고갈 되어서 나중에는 메일 전송 보다는 로그 쓰기 작업에 모든 프로세싱 타임을 사용해야 한다. 아래의 예는 /usr 파일을 백업하기 위해 사용한 tar에서 부르는 gzip이 시스템 자원을 79.4 퍼센트를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x:xxxx  up 1 day,  2:05,  2 users,  load average: 0.22, 0.05, 0.02  49 processes: 46 sleeping, 3 running, 0 zombie, 0 stopped  CPU states: 78.6% user,  5.7% system,  0.0% nice, 15.8% idle  Mem:  192896K av, 189948K used,   2948K free, 283288K shrd,  12496K buff  Swap: 104416K av,      0K used, 104416K free                133384K cached    PID USER     PRI  NI  SIZE  RSS SHARE STAT  LIB %CPU %MEM   TIME COMMAND   4688 root      11   0   580  580   232 S       0 79.4  0.3   0:06 gzip   4687 root       4   0   532  532   432 R       0  3.9  0.2   0:00 tar   4689 root       2   0   708  708   548 R       0  0.9  0.3   0:00 top

지금 여러분의 시스템에서 top 명령을 사용해 보기 바란다. 시스템 자원을 10퍼센트 이상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가 있다면 필시 하드 디스크를 접근하고 있는 프로그램일 것이다. 컴퓨터에서 하드 디스크를 빈번하게 사용하는 작업이 여러개 떠 있다면 성능은 급격하게 하락하게 된다. 메일서버 뿐만 아니라 웹서버와 같은 데몬들의 성능이 느려 졌다면 필시 이런 문제가 개입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배포본에 있는 로그 파일 처리는 하루에 10만개의 메일을 처리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좀 더 효율적인 처리를 생각해 보자. 우선 아래 파일을 만든다.

  /etc/logrotate.mail  daily  size 100k  rotate 2  errors root  create  /var/log/maillog {    postrotate        /usr/bin/killall -HUP syslogd    endscript  }  /var/log/messages {    postrotate        /usr/bin/killall -HUP syslogd    endscript  }

maillog, messages 외에 /var/log에 있는 파일 중에서 시간 별로 그 크기가 1M 이상씩 증가하는 것이 있다면 여기에 첨가한다. 로그 파일은 가능한한 작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위에서 로그 파일의 크기가 100k 이상이 되면 무조건 작게 만들도록 설정을 했다. 로그를 줄일 때 이전 로그는 log.1이 되고 log.1은 log.2가 된다. 여기서 rotate를 2로 만들었기 때문에 log.2는 삭제되고 log.1은 log.2가 되며 log는 log.1이 되고 새 파일 log가 만들어져 syslogd가 여기에 쓰기를 한다. cron 작업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crontab -e   1-59/10 * * * * /usr/sbin/logrotate /etc/logrotate.mail

10분 마다 로그를 점검하여 그 크기를 줄인다. 이렇게 10분마다 로그처리를 위해 프로세싱 타임을 소모하더라도, 로그의 크기를 줄여서 얻는 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빈번한 로그 처리 작업에 드는 프로세싱 타임을 상쇄하고 남는다. 여러분의 웹서버가 오래 켜 놓으면 시간이 지날 수록 점점 느려지는 이상한 증상은 없는가? 이런 증상 때문에 메모리를 늘이거나 대용량의 하드웨어를 구입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면 /var/log/httpd 디렉토리를 점검해 보기를 바란다. access_log가 10M 이상은 아닌가?

10만통의 메일을 처리하는 서버에는 일차큐에 시간당 5천통의 메일이 쌓인다. 이제 64개의 메일 프로세스로는 감당을 할 수 없다. 한개의 메일은 2시간 동안 큐에 대기하게 되는데 2시간 동안 1만통의 메일이 쌓이게 되므로 그 동안에 각각의 메일을 처리 할 수 있을 확률이 낮아 진다. 이렇게 64개의 큐처리 메일 서버가 동작하면서 두시간 안에 모든 메일을 한 번씩이라도 전송 시도 하기가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더욱 상황을 나쁘게 만드는 것은 5퍼센트(500개)악성메일이 프로세싱 타임을 늘게 만드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최대 자식 프로세스 숫자를 높이고 각각 다른 제한을 가진 프로세스를 띄운다.

        /usr/sbin/sendmail -bd -ODeliveryMode=defer        /usr/sbin/sendmail -q10s -OQueueDirectory=/var/spool/mqueue \                           -OMaxDaemonChildren=96 \                           -OTimeout.initial=1m -OTimeout.connect=1m \                           -OTimeout.iconnect=1m -OTimeout.helo=1m \                           -OTimeout.mail=1m         /usr/sbin/sendmail -q1m -OQueueDirectory=/var/spool/mqueue \                           -OMaxDaemonChildren=16        /usr/sbin/sendmail -q10s -OQueueDirectory=/var/spool/mqueue2 \                           -OMaxDaemonChildren=32

mqueue2에는 2시간 안에 처리되지 못한 메일이 있으므로 악성메일이라고 판단하여 프로세스 수를 늘이지 않았다. 일차큐인 mqueue에는 두개의 각기 다른 데몬이 떠 있는데 첫번째 것은 96개까지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두 번째 것은 16개 까지 만들어 낼 수 있다. 시스템에 생길 수 있는 총 메일서버 프로세스의 갯수는 수신 중계 전용(64+1), 일차큐(96+1, 16+1), 이차큐(32+1)로 212개이다. 이 때 쯤이면 각 경우에 맞추어 /etc/sendmail.cf의 변수를 조절해야 한다는 것은 스스로 알게 될 것이다. 지금은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O QueueLA=256  O RefuseLA=256  O MaxDaemonChildren=64

mqueue에 실행되는 두 개의 각기 다른 큐전용 메일 프로세스의 차이는 무엇일까? 우선 한 개는 네임서버 그리고 상대편 메일서버와 교신하는 시간제한을 모두 1분으로 정하고 실행하도록 했다. RFC1123에 의하면 각각의 시간제한은 5분으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지만 정상적인 메일은 거의 1분이 되기 전에 상대편과 교신하고 메일 본문 전송에 들어가게 되므로 초기 교신 과정에서 1분 이상의 시간 지연이 있으면 느린 네트웍에 있는 메일서버라고 판단하거나 상대편이 전송 불능 상태라고 간주하여 메일 전송을 중단하고 신속히 다음 메일을 처리하도록 한다.

이 프로세스는 10초 마다 한 개씩 자식을 만들게 되므로 메일이 쏟아져 들어오기 시작한 지 960초(16분)이 지나면 96개의 자식 프로세스가 전송이 되든 안되든 1분 안에 1개의 메일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한 시간에 들어오는 5000개의 메일과 거의 비슷한 양의 메일을 처리 할 수 있게 된다. 즉 각각의 메일을 큐에 쌓은 후에 반드시 한 번 이상의 전송 시도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악성 메일이 아니지만 상대편 메일서버의 속도가 느려서 1분 이상의 지연 후에 메일이 갈 수 있음에도 전송을 중단당한 메일이 쌓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런 부적절한 처리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상 대기 시간을 가진 16개의 메일 프로세스가 1분 대기 프로세스가 남겨둔 메일을 다시 전송 시도 하도록 하면 된다. 그 때문에 한 개의 큐 디렉토리를 대상으로 하는 두 개의 데몬을 띄운 것이다.

두 시간 동안 모든 메일은 최소한 한 번의 전송 시도를 할 수 있게 되며 그럼에도 전송되지 못하고 남겨진 악성 메일은 2차 큐로 이동된다. 일차큐는 항상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7.9 20만통의 메일

20만통의 메일을 한 개의 큐 디렉토리에 받게 되었을 때 시간당 약 1만통의 메일이 쌓인다. 일차큐에 있는 메일은 2시간 후에 이차큐로 옮겨지기 때문에 2시간 동안 약 2만통의 메일이 쌓이게 되고 메일 전송 효율이 70 퍼센트라면 일정 시점에 큐에 쌓이는 파일의 수는 약 6000개이다. 한 개의 메일은 dfxxxxxx라는 메일 본문과 qfxxxxxx라는 헤더 부분이 각각의 파일로 존재하므로 12000개의 파일이 한 개의 디렉토리에 생성되고 전송 중임을 나타내는 xfxxxxxx라는 파일이 최대 112개가 생긴다. 한 디렉토리에 12112개의 파일이 있다면 그 중에서 한 개의 파일을 열기 위해서는 허용하기 힘든 시간을 소모해야 한다. 지금 한 디렉토리에 10000개의 파일을 만들고 ls 라고 실행해 보기 바란다. 아마 10초 이상의 시간을 기다려야 겨우 그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제 큐에 쌓인 메일 파일의 갯수가 병목이 된다. 한 시간에 1만통의 메일이 쌓인다면 10분에 평균 1700개의 메일 즉 3400개의 실제 파일을 한 디렉토리에 생성하는 것이다. 물론 생성되는 순간에 즉시 전송 되는 경우가 많겠지만 여전히 프로세싱 타임은 한계를 넘어 가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6개의 큐디렉토리를 새로 만들고 매 10분 마다 각각의 디렉토리에 파일을 옮겨서 전송을 시도하는 것이 좋다.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을 것이다.

        /usr/sbin/sendmail -bd -ODeliveryMode=defer        # 일차큐        /usr/sbin/sendmail -q10s -OQueueDirectory=/var/spool/mqueue \                           -OMaxDaemonChildren=32 \                           -OTimeout.initial=1m -OTimeout.connect=1m \                           -OTimeout.iconnect=1m -OTimeout.helo=1m \                           -OTimeout.mail=1m         /usr/sbin/sendmail -q1m -OQueueDirectory=/var/spool/mqueue \                           -OMaxDaemonChildren=4        # 이차 큐 1번        /usr/sbin/sendmail -q10s -OQueueDirectory=/var/spool/mqueue_1 \                           -OMaxDaemonChildren=16 \                           -OTimeout.initial=1m -OTimeout.connect=1m \                           -OTimeout.iconnect=1m -OTimeout.helo=1m \                           -OTimeout.mail=1m         /usr/sbin/sendmail -q1m -OQueueDirectory=/var/spool/mqueue_1 \                           -OMaxDaemonChildren=4        # 이차 큐 2,3,4,5번        ....        # 이차 큐 6번        /usr/sbin/sendmail -q10s -OQueueDirectory=/var/spool/mqueue_6 \                           -OMaxDaemonChildren=16 \                           -OTimeout.initial=1m -OTimeout.connect=1m \                           -OTimeout.iconnect=1m -OTimeout.helo=1m \                           -OTimeout.mail=1m         /usr/sbin/sendmail -q1m -OQueueDirectory=/var/spool/mqueue_6 \                           -OMaxDaemonChildren=4        # 3차 큐 : 2시간 지난 메일 처리        /usr/sbin/sendmail -q10s -OQueueDirectory=/var/spool/mqueue2 \                           -OMaxDaemonChildren=32

cron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 crontab -e  0 * * * * /usr/sbin/re-mqueue.pl /var/spool/mqueue /var/spool/mqueue_1 600 10 * * * * /usr/sbin/re-mqueue.pl /var/spool/mqueue /var/spool/mqueue_2 600 20 * * * * /usr/sbin/re-mqueue.pl /var/spool/mqueue /var/spool/mqueue_3 600 30 * * * * /usr/sbin/re-mqueue.pl /var/spool/mqueue /var/spool/mqueue_4 600 40 * * * * /usr/sbin/re-mqueue.pl /var/spool/mqueue /var/spool/mqueue_5 600 50 * * * * /usr/sbin/re-mqueue.pl /var/spool/mqueue /var/spool/mqueue_6 600 1-50/10 * * * * /usr/sbin/re-mqueue.pl /var/spool/mqueue_1 /var/spool/mqueue2 7200 1-50/10 * * * * /usr/sbin/re-mqueue.pl /var/spool/mqueue_2 /var/spool/mqueue2 7200 1-50/10 * * * * /usr/sbin/re-mqueue.pl /var/spool/mqueue_3 /var/spool/mqueue2 7200 1-50/10 * * * * /usr/sbin/re-mqueue.pl /var/spool/mqueue_4 /var/spool/mqueue2 7200 1-50/10 * * * * /usr/sbin/re-mqueue.pl /var/spool/mqueue_5 /var/spool/mqueue2 7200 1-50/10 * * * * /usr/sbin/re-mqueue.pl /var/spool/mqueue_6 /var/spool/mqueue2 7200

각 디렉토리는 최대한 3000개의 정도의 메일을 보유하게 된다. 일차큐에서는 한 개의 메일에 대해서 최대 10분 동안 전송을 시도한 후에 전송에 실패했거나 미처 처리하지 못하고 남은 것은 각각 10분 단위로 다른 큐로 보내진다. 옮겨진 각 큐에서 2시간을 시도해 본 후에 전송이 되지 않았으면 6개의 이차큐에 남은 메일은 모두 mqueue2로 보내진다. 여기서 2시간 지난 후의 소위 악성 메일에 대한 또다른 처리는 고려하지 않았다. 모든 큐 디렉토리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re-mqueue.pl을 사용하여 2,4,8시간 1,2,3,4일 단위의 큐를 따로 생성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위와 같이 했을 때 최대로 뜰 수 있는 메일 서버 프로세스의 갯 수는 268개이다. 이제 시스템에서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스 갯수와 열 수 있는 오픈 파일의 갯수가 문제가 된다. 기본적으로 한 개의 sendmail 프로그램이 기동하면서 여는 파일은 다음과 같다.

   0 -> /dev/null   1 -> /dev/null   2 -> /dev/null   3 -> /var/spool/mqueue/qfVAA14282   4 -> socket:[590]   5 -> /etc/mail/aliases.db   6 -> /etc/mail/access.db   7 -> /etc/mail/virtusertable.db   8 -> /etc/mail/domaintable.db   9 -> /etc/mail/genericstable.db  10 -> /etc/mail/mailertable.db  11 -> /var/spool/mqueue/xfVAA14282  12 -> /var/spool/mqueue/dfVAA14282  13 -> socket:[814754]

이 자료는 ps를 실행하고 현재 전송 중인 메일의 프로세스 번호(예를 들어 235번)에 따라 "ls -l /proc/235/fd" 라고 실행하면 볼 수 있다. 268개의 메일 프로세스가 각각 13개씩의 파일을 열면 모두 3484개의 파일이 열린다. 서버에는 메일 데몬만 떠 있는 것이 아니므로 실제로 열려 있게 되는 파일 수는 이 값을 훨씬 넘어 간다. 현재 리눅스에서 동시에 열 수 있는 파일의 디폴트값은 4096이다. 그 값은 아래의 파일에서 정의되어 있는데 이 것을 고치고 커널을 재컴파일 하면 변경 가능하다.

   /usr/src/linux/include/linux/fs.h     #define   NR_FILE    4096

같은 헤더 파일에 한 개의 프로세스가 열 수 있는 파일의 최대값(NR_OPEN)이 1024로 정해져 있는데 이 값은 변경하지 않아도 좋다. 물론 원하면 변경해도 된다. 그 결과는 각자 테스트 해 볼 것. NR_FILE과 NR_OPEN을 크게하면 주기억장치가 크지 않은(64M이하) 시스템의 경우에는 부팅도 불가능하게 되니 주의 할 것.

커널 컴파일이 귀찮다면 동적으로 이 값을 변경해 줄 수도 있다. /proc/sys/fs/file-max가 그 것인데 아래 명령으로 현재의 최대값과 할당된 값을 볼 수 있다.

   # cat /proc/sys/fs/file-max   4096   # cat /proc/sys/fs/file-nr   1143  274 4096   # cat /proc/sys/fs/inode-max   12288   # cat /proc/sys/fs/inode-nr   8340 34

이들 값의 의미와 읽는 방법은 /usr/src/linux/Documentation/proc.txt를 참고할 것. 커널 컴파일 없이 시스템에서 열 수 있는 최대값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음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

   echo 8192 >/proc/sys/fs/file-max   echo 24576 >/proc/sys/fs/inode-max

inode-max값은 file-max값의 3배수 이상으로 하라고 proc.txt에서 조언하고 있다. 항상 이렇게 하고 싶으면 /etc/rc.d/rc.local에 적어 두면 될 것이다.

메일서버가 200개 이상 뜨거나 웹서버가 동시에 400개 이상 떠있어야 하는 대형 사이트에서는 최대값을 크게 하는 것이 최종적인 해결책일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최대값을 크게 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이전에 가능한 현 상태에서 최적화에 우선 신경을 쓰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다. 왜냐하면 최대값 증가는 더많은 메모리를 요구하고 더 많은 자원 할당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200개 이상의 sendmail을 위해서 쓸 수 있는 최적화 방법으로는 한 개의 sendmail이 여는 파일의 갯수를 줄이는 것이다. 위에서 보듯이 virtusertable.db등은 가상 도메인을 사용하지 않으면 전혀 필요가 없다. 그러나 사용하지 않는 빈 파일인 /etc/mail/virtusertable을 그대로 둔다면 sendmail이 기동하면서 db파일을 만들게 되고 모든 프로세스가 이 파일을 열어 두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하지 않는 파일을 아예 없애버리면 sendmail이 db파일을 만들지 않고, 그에 따라 각 프로세스는 이 파일을 위해 파일 핸들을 할당하지 않으니까 열린 파일 갯수가 줄어든다. 한 개의 열린 파일의 갯수를 줄이면 268개의 파일을 닫는 효과가 있다. 사용하지 않는 domaintable, access, genericsable, mailertable 5개의 파일을 지워버리면 1340개의 열린 파일 수를 절약할 수 있으며 한 프로세스의 열린 파일 갯수가 적어지면 메일을 체크할 때 이 파일을 뒤지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 만큼 프로세싱 타임이 줄어 들 것이다.

큐에 쌓인 메일을 처리하는 sendmail 프로세스는 메일을 보내기 위해서 네임서버와 교신해야 한다. 메일 서버가 서브네트웍 바깥에 있다면 한 개의 메일을 보내기 위해서 외부까지 교신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한 시간에 1만번의 조회를 시도하면 아마 외부 메일서버도 견디지 못하고 다운될 확률이 있다. 또한 네트웍 자원은 네임서버와의 교신에 모두 소모되고 다른 사람들이 외부로 나가거나 들어오는 것초차 힘들게 된다. 네임서버가 로컬 네트웍의 다른 서버에 있어도 마찬가지이다. 내부 네트웍은 거의 네임서버 접속에 이용되므로 회사 전산망이 마비되고 네임서비스를 하는 서버가 다운된다. 실제로 필자가 내부 네트웍의 다른 서버에 네임서버를 두고 메일서버가 네임 조회를 이 서버 쪽으로 하도록 했었는데 네임서버에 메모리가 고갈되어 named, httpd, cron등이 죽었다. 그 후에 데몬이 죽은 것을 알고 named와 httpd만 살리고 cron이 죽은 것은 알지 못하고 재실행하지 않았더니 cron으로 돌던 log파일 처리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아 로그 파일이 커지는 바람에 시스템이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부하가 걸린 적이 있었다. 필자는 외부에 의한 해킹으로 의심하고 보안관련 문서를 뒤적이느라고 시간을 소비해야 했다. 이렇게 한 개의 메일서버가 연속적으로 다른 서버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메일서버 자체에 메일 전송을 위한 네임서버를 띄우는 것이 좋다. 이 때의 네임서버는 단순한 캐싱만을 하는 네임서버만으로 족하다. 처음에는 네임서버 자체가 외부로 조회를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겠지만 계속 사용한다면 중복되는 IP는 같은 메모리 안에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로컬 네트웍의 tcp/ip 자원도 소모시키지 않고 신속한 조회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캐싱만 하는 네임서버는 간단히 다음과 같이 만들 수 있다.


  /etc/named.conf    options {        directory "/var/named";        check-names master warn;         datasize 20M;  };  zone "." IN {        type hint;        file "root.hint";  };  zone "localhost" IN {        type master;        file "localhost";        check-names fail;        allow-update { none; };        allow-transfer { any; };  };  /var/named/root.hint    #dig >/var/named/root.hint  /var/named/localhost    @  IN  SOA  @ root (                  42              ; serial (d. adams)                  3H              ; refresh                  15M             ; retry                  1W              ; expiry                  1D )            ; minimum       NS     @    1   A     127.0.0.1  /etc/resolv.conf   nameserver 127.0.0.1

이렇게 최소한의 네임서버만으로 네트웍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므로 20만개의 메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회사내의 공식 네임서버가 있다고 해도 독립적으로 메일서버에 설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7.10 100만통의 이메일 처리를 위하여

소규모 처리를 담당하는 서버에서 대규모 서버로 진화하기 위해서 어떤 것이 필요하고 그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마다의 병목은 무었인지 그리고 이 것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한 개의 서비스가 커지면 가능한 옵션을 모두 다시 검토하여야하고, 하드웨어 자원을 추가로 요구하며, 로그 파일 처리등의 관련 프로그램의 효율성이 증대되어야 하고, 네임서버와 같은 또다른 서비스까지 자신에게 맞추어 줄 것을 요구한다. 또한 한 개의 서버가 문제를 일으키면 주변의 다른 서버까지 문제가 파급된다는 것도 보았다. tcpdump같이 다른 컴퓨터 사이의 동작을 감시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법도 익혀 줄것을 부탁한다. 이모두는 서로 보완적이므로 한 개의 서비스를 위해서 그 프로그램만을 들여다 보아서는 안되고 전체를 볼 줄 알아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TCP/IP 포트 재지정에 의한 분산, 메일 전송 정보가 들어 있는 qf* 파일을 분석하여 각각의 전송 실패 이유에 따른 큐디렉토리 분산, 전송할 수 없는 메일에 대한 처리, sendmail.cf의 각각의 옵션에 대한 관찰등은 하지 않았다. 관심있는 독자들은 sendmail 책과 /var/spool/mqueue/qf* 파일에 대해 조사해 보기 바란다.

100만통의 메일을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초대규모 메일서버는 한 개의 서버로는 한계가 있다. 각각 20만통의 메일을 처리하는 5대의 메일서버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 문제는 이들을 묶어서 단일한 서버로 보이게 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수백대의 서버를 묶어 놓고 IP 라운드로빈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IP 라운드 로빈은 1.2.3.4,1.2.3.5가 같은 a.b.c.d 도메인명을 가지도록 하고 네임서버 조회 때마다 한 번씩 다른 숫자 IP를 넘겨 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필자가 최종적인 해결책으로 보고 있는 것은 IP-tunneling을 사용한 리눅스 virtual-sever(vs)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한 개의 frond-end가 각각의 접속을 받아서 실제 서비스를 하는 back-end 서버에게 접속을 넘겨 주는 것이다. 한 번 접속이 이루어 지고 나서는 client와 back-end간에 직접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frond-end는 바로 다음 접속을 처리할 수 있다. vs 리눅스를 개발하는 팀에 의하면 한 대의 frond-end가 1G 급의 부하를 처리할 수 있었다고 한다. 관심있는 사람은 vs홈페이지(http://proxy.iinchina.net/ wensong/ippfvs/)를 방문해 보기 바란다. 최근 외국의 개발업체에서 이 기능을 특화시킨 분산 서버를 제작해서 상업화 시켰다는 이야기도 들은 바가 있다.

이미 리눅스의 메일서버로서의 기능은 신뢰할 만하고 추가 비용이 전혀 필요 없다. 사용자 수 추가에 따라 비싼 라이센스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상용 서버가 설 자리가 없어 지고 있다. 여기에 더해서 사용자 인증, 삭제, 추가 기능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100만통의 메일을 처리할 수 있는 분산 서버와 결합하게 되면 인터넷의 거의 모든 메일서버는 리눅스가 점령하게 될 것이다.

7.11 이 달의 숙제

메일서버와 마찬가지로 웹서버도 많은 히트수를 기록하게 되면 로그 파일이 커질 것이다. /var/log/httpd에 가보았더니 access_log가 30M였다. sendmail을 위해서 설명한 logrotate.conf와 같이 설정 파일을 만들고 하는 것이 시간이 걸려서 잠시 미루고 일단 수동으로 로그 파일을 빨리 정리하고 싶다. 어떻게 하면 될까? 참고로 "rm access_log"라고 해도 로그 파일이 줄어 들지는 않는다. 이건 또 왜 그런 것일까?


다음 이전 차례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putty  (0) 2004.08.13
[펌] temp..정리하기전..  (0) 2004.08.11
[허접] 내부 IP MSN 차단 .... ㅡㅡ  (0) 2004.07.07
[펌] 프로세스죽이기  (0) 2004.07.07
간단하게 ftp 에 접속하는법  (0) 2004.07.06
Posted by tornado
|

####################################
#
# MSN 차단 목록  ...
#
####################################


iptables -t nat -A PREROUTING -s 192.168.1.190 -p tcp --dport 1863 -j DROP
iptables -t nat -A PREROUTING -s 192.168.1.190 -d 207.46.110.0/24 -p tcp --dport 1:65535  -j DROP
iptables -t nat -A PREROUTING -s 192.168.1.190 -p tcp -d 207.46.104.20 --dport 1:65535 -j DROP
iptables -t nat -A PREROUTING -s 192.168.1.190 -p tcp -d 61.100.182.0/25 --dport 1:65535 -j DROP



한줄로 막기...



# 65.54.131.249 <-- https 로  id 인증하는 서버

##### ---- 차단 일 : 2004-07-07 ---- ##########
iptables -t nat -A PREROUTING -s 192.168.1.190 -p tcp -d 65.54.131.249 --dport 443 -j DROP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temp..정리하기전..  (0) 2004.08.11
[펌] 20만통 메일과 sendmail  (0) 2004.07.09
[펌] 프로세스죽이기  (0) 2004.07.07
간단하게 ftp 에 접속하는법  (0) 2004.07.06
[펌] rsync 의 미러링 기능을 이용한 백업  (0) 2004.07.05
Posted by tornado
|

프로세스 죽이는 몇 가지 방법

phoenix라는 자주 먹통이 되버리는 X-(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겠다.
phoenix는 ps 해보면 알겠지만 killall죽이기에는 명령어가 너무 길다
ddt       8469  8463  7 20:29 ?        00:01:03 /home/ddt/phoenix/phoenix-bin ddt       8471  8469  0 20:29 ?        00:00:00 /home/ddt/phoenix/phoenix-bin 
그럼 어떻게 죽이는지 알아보자.

초보


$ ps -ef |grep phoenix (눈으로 pid를 확인한다) $ kill pid 

중수


$ ps x |grep phoenix | awk '{print $1}' | xargs kill 

고수


$ pkill phoenix 

    물론 고수들이 이렇게 하는지 확인은 되지 않았다 ;)

초고수(?)

'killall phoenix-bin' 을 단축키로 등록

폐인(?)


# reboot ! 

컴맹(?)


Cool booting!
(본체의 Reset 버튼 즉시 누름.)

직장상사


'이봐, 좀비가 생겼으니 찾아서 죽이게!'
Posted by tornado
|

어디서 보긴 했는데 어디인지 모름 ㅡㅡ



간단하게 shell 에서 ftp 에 접근할 때 사용하기 좋음..


/tmp 디렉토리에 test.tar.gz 파일이 있을 경우 아래와 같은 스크립트를

만들어 두고 cron 에 등록하면 시간에 맞춰 ftp 에 업로드 됨.





#!/bin/bash


USERNAME=gildong
PASSWORD=1234
HOST=111.111.111.111

PUT_FILES=test.tar.gz


{
        echo user $USERNAME $PASSWORD
        echo bi
        echo prompt
        echo cd log_backup
        echo lcd /tmp
        echo put $FILE_NAME
        echo bye
} | ftp -n -v $HOST > /tmp/log


 

Posted by tornado
|

rsync 의 미러링 기능을 이용한 백업


/***************************************************************/
* rsync 백업 서버 구축에 대해서


rsync 는 원격에서 미러링 서버를 구축할때 사용되는 유틸이다.
옵션에 따라 파일의 수정 날짜를 비교해서 수정된 파일만 업데이트 할 수있기 때문에 처음 한 번만 풀 백업 해두면 그 다음 부턴 아주 빠른 속도로 업데이트 할 수있다.

서버에는 REDHAT 8.0 또는 REDHAT 7.x, REDHAT 9 가 설치되어있고,
백업 서버 역시 REDHAT8.0 이 설치되어있다.

우선 백업 계획은 서버들로부터 새벽 4시경에 1차 백업서버로 매일 백업을 받고,
1주 단위로 1차 백업 서버의 데이터를 일요일 새벽 5시에 2차 백업 서버로 전송받는다.

일단 백업 대상이 되는 서버들에 rsync 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보고 없으면 rpm 바이너리를 받아서 설치한다.

]#rpm -qa rsync
rsync-2.5.7-0.8

참고로 rsync 에 최근 보안 결함이 발견 되었으니 반드시 최근 버전을 받아서 설치하도록...

http://updates.redhat.com/8.0/en/os/i386/rsync-2.5.7-0.8.i386.rpm

]#rpm -Uvh rsync-2.5.7-0.8.i386.rpm

rsync 는 ssh 를 이용한 방법과 873포트를 이용한 접속 방법이 있다.
나는 873 포트를 이용해서 xinetd 데몬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한다.
초기에는 default 로 xinetd 에서 rsync 가 disable 로 설정되어있으므로
아래와 같이 열어준다.
]#vi /etc/xinetd.d/

# default: off
# description: The rsync server is a good addition to am ftp server, as it \
# allows crc checksumming etc.
service rsync
{
disable = no => (요부분을 yes 로...)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bin/rsync
server_args = --daemon
log_on_failure += USERID
}


rsync 의 설정파일은 /etc/rsyncd.conf 인데 rsync 설치후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긴장하지 말고 생성해주면 된다.
백업할 대상은 /home 파티션과 /usr/local/mysql/data 디렉토리, 그리고 메일,proftp 등의 설정이 들어있는 /etc 전체로 했다.

]#vi /etc/rsyncd.conf
[www] =>rsync 에서 사용할 alias name
path = /home =>실제 디렉토리 절대 경로
comment = webservice-dir
uid = root
gid = root
use chroot = yes
read only = yes
hosts allow = ***.***.***.*** =>접근을 허용할 백업 서버 ip
max connections = 1
timeout = 300

[mysql]
path = /usr/local/mysql/data
comment = mysqldata-dir
uid = root
gid = root
use chroot = yes
read only = yes
hosts allow = ***.***.***.***
max connections = 1
timeout = 300

[etc]
path = /etc
comment = config-dir
uid = root
gid = root
use chroot = yes
read only = yes
hosts allow = ***.***.***.***
max connections = 1
timeout = 300

이렇게 해서 저장하면 설정은 끝났다.

슈퍼 데몬을 재시작하고
]#/etc/rc.d/init.d/xinetd restart

포트가 열려있는지 netstat 이나 telnet 명령으로 873포트를 확인해본다.
]#telnet localhost 873
Trying 127.0.0.1...
Connected to localhost.
Escape character is '^]'.
@RSYNCD: 26


]#netstat -na | grep LISTEN
tcp 0 0 0.0.0.0:873 0.0.0.0:* LISTEN
tcp 0 0 0.0.0.0:3306 0.0.0.0:* LISTEN
tcp 0 0 0.0.0.0:110 0.0.0.0:* LISTEN
tcp 0 0 0.0.0.0:80 0.0.0.0:* LISTEN
tcp 0 0 0.0.0.0:21 0.0.0.0:* LISTEN
tcp 0 0 0.0.0.0:22 0.0.0.0:* LISTEN
tcp 0 0 0.0.0.0:25 0.0.0.0:* LISTEN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285 /tmp/mysql.sock

873 포트가 보인다면 설정은 OK

이제 백업 당할 서버들의 설정은 끝났고, 1차 백업 서버를 세팅할 차례다.

백업할 서버 역시 rsync 가 설치 되어있는지 확인해보고 없으면 설치한다.

1차 백업 서버에 접속한 상태로 아까 세팅해 놓은 백업 당할 서버에 rsync

포트로 접속이 가능한지 테스트 해본다.
]#telnet ***.***.***.*** 873
Trying 127.0.0.1...
Connected to ***.***.***.***.
Escape character is '^]'.
@RSYNCD: 26

이렇게 대기 상태면 OK

만약 connect refuse 가 나오면 백업당할 서버의 세팅을 처음부터 다시 살펴본다.


이제 백업 과정을 기록할 로그 파일을 수동으로 만들것이다.

적당한 디렉토리( 예를 들면 /home/rsync-log)를 생성하고 파일을 기록할 수 있도록 권한을 조정한다.(좀 나은 방법이 있을텐데....허접한 관계로...)

cron 에 등록해서 하루에 1번 새벽 네시에 백업하기로 했으므로 우선
/etc/crontab 을 수정한다.

]#vi /etc/crontab
SHELL=/bin/bash
PATH=/sbin:/bin:/usr/sbin:/usr/bin
MAILTO=root
HOME=/

# run-parts
01 * * * * root run-parts /etc/cron.hourly
01 4 * * * root run-parts /etc/cron.daily
00 4 * * 0 root run-parts /etc/cron.weekly
42 4 1 * * root run-parts /etc/cron.monthly

/etc/cron.daily 디렉토리에 있는 놈들을 매일 새벽 4시1분에 실행 하도록 되었다.

이제 /etc/cron.daily 에 백업 스크립트만 생성하면 된다.

]#vi /etc/cron.daily/backup.sh
#!/bin/bash
startbackup=`date +%Y%m%d%H%M%S`
touch /home/rsync-log/$startbackup.start

rsync -avz ***.***.***.***::www /home/svr_92/www/
rsync -avz ***.***.***.***::mysql /home/svr_92/mysql/
rsync -avz ***.***.***.***::etc /home/svr_92/etc/

endbackup=`date +%Y%m%d%H%M%S`
touch /home/rsync-log/$endbackup.end

위의 설정은 백업을 시작할때 날짜를 이름으로 가지는 빈파일을 /home/rsync-log/ 에 생성하고 백업이 끝난후에 다시 같은 위치에 시간이 기록된 파일을 생성시켜서 나중에 백업에 걸린 시간을 비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a는 아카이브 모드. 심볼릭 링크, 속성, 퍼미션, 소유권 등 보존
-v 전송 상태를 보여줌
-z 전송시 압축을 함.

rsync 에는 이 외에도 옵션이 많으므로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까지 해서 1차 백업 서버의 세팅이 끝났고, 이제 2차 백업 서버를 세팅할텐데........ 똑같으니까 생략한다.

참고로 내가 관리하는 20대의 서버에 40 GByte 정도의 데이터를 전송받는데

초기에 8시간 정도가 걸렸고, 그 이후 매일 실시되는 백업은 업데이트 과정이라서 매 5분 정도에 백업이 끝나는 것을 아까 백업하면서 기록한 rsync-log 로 확인 했다. 아마도 rsync 가 압축전송을 해서 이런 속도가 나오는것 같음..

5분만에 20대의 백업이 완료되다니....!!

/***********************************************************************/


* http://manblog.intizen.com/kjh0523/913370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프로세스죽이기  (0) 2004.07.07
간단하게 ftp 에 접속하는법  (0) 2004.07.06
[펌] 웹서버 동기화를 위한 rsync의 사용  (0) 2004.07.05
리눅스 서비스에 있던것들 종류..  (0) 2004.07.05
proftpd 로그 파일 지정  (0) 2004.07.05
Posted by tornado
|
1 장 : rsync의 소개와 설치

 
일반적으로 웹서비스를 시작하는 회사에서 사용자가 늘어감에 따라서 웹서버의 증설을 하는 경우 시스템 관리자가 첫번째로 맞닥뜨리는 문제중에 하나가, 각각의 웹서버에 있는 정보의 동기화입니다.

웹서버가 한대일경우는 이러한 문제로 고민할 필요가 없겠지만, 트래픽증가로 웹서버를 증설했을경우 각각의 웹서버로 매일 업데이트되는 정보를 일일이 올려준다면 정말 귀찮은 작업이 되겠죠?

그렇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리눅스의 rsync가 이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해 드릴테니까요.

눈치 빠른 분들은 rsync가 무엇인지 앞의 말들로 어느정도 이해 하셨으리라 봅니다. 간단하게 rsync는 여러대의 서버들이 동일한 정보를 가질수 있도록 해주는 서버동기화 프로그램이라고 할수있습니다.

NT를 접해보신 분들이라면 미러링(mirroring)에 대해서 아실겁니다. 로컬에서는 특정하드디스크나 파티션의 정보를 다른 하드디스크나 파티션으로 동일하게 복제해주는것이죠.

미러링의 개념은 NT에만 국한된것은 아닙니다. NT에서 자체제공하는 옵션으로 미러링을 제공하듯이 리눅스에서도 rsync나 기타 다른 프로그램으로 미러링을 지원하죠.

물론 rsync는 로컬에서 로컬로는 미러링을 할수없지만, 로컬과 원격지의 미러링을 지원합니다. 보통 anonymous ftp서버나 웹서버의 미러링에 많이 쓰이죠.

rsync의 개념이 대강 잡히시죠?

그럼 이제부터 rsync라는 녀석을 어떻게 설정해야할지, 또 어떻게 써야할지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redhat배포판 6.2에는 rsync-2.4.1-2 버젼이, 또 7.1-kr에는 rsync-2.4.6-2버젼이 기본으로 깔려있습니다.

만약 없으시다면, http://rsync.samba.org/ftp/rsync/ 에서 최신판을 받아서 설치하세요.

우선 받으시면 컴파일을 하셔야겠죠?

 

 

# tar xvfz rsync-2.4.6.tar.gz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위와같이 특정옵션 추가없이 간단하게 컴파일하셔도 됩니다. ( 물론 개인취향에 따라서 디렉토리위치같은 옵션을 정해주셔도되구요.)


rsync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rsh나 ssh를 사용합니다.

또한 이것을 사용하길 원치 않는다면 873포트를 이용할수도 있죠.

rysnc가 rsh나ssh를 사용하느냐, 아니면 873포트를 사용하느냐를 결정하는것에 따라 설정내용이 약간 틀려집니다.



 

2 장 : rsync 설정과 사용 (873포트)

 
873포트를 사용한다면 /etc/inetd.conf(redhat7.0이전일경우)나 /etc/xinetd.d/rsync(redhat 7.0이후일경우)의 내용을 수정해주어야합니다.

또한 /etc/rsyncd.conf라는 파일을 만들어주어야하죠.

예) /etc/inetd.conf 수정내용 (redhat7.0이전일경우)

 

 

rsync stream tcp nowait root /usr/bin/rsync rsyncd --daemon

 



예) /etc/xinetd.d/rsync 수정내용 (redhat 7.0이후일경우)

 


 

service rsync
{
disable = no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bin/rsync
server_args = --daemon
log_on_failure += USERID
}

 



보시다시피 실제적인 수정내용은 --daemon이죠.

rsync를 daemon모드로 작동시키겠다는 뜻입니다.

결국 rsync는 inetd나 xinetd에서 데몬모드로 작동하게 되죠. ( netstat -tap 해보시면 쉽게 확인하실수있습니다. ^^)

아! 그리고 파일수정후에는 /etc/rc.d/init.d/inetd or xinetd를 restart해주는거 잊지마시구요.

자 이제 /etc/rsyncd.conf파일을 만들어 주어야하겠죠?

예) /etc/rsyncd.conf

 


 

[www]
path = /home/www
comment = webserver1
uid = nobody
gid = nobody
use chroot = yes
read only = yes
hosts allow = 203.255.112.34
max connections = 3
timeout 600

 



생각보다 간단하죠?

그럼 위의 내용에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www] 서비스명

path 서비스할 디렉토리위치

comment 설명

uid 파일전송하는 사용자의 id. 기본값은 nobody

gid 파일전송하는 사용자의 그룹 id. 기본값은 nobody

use chroot 위의 path를 root 디렉토리로 사용. (보안상 필요합니다.)

read only 읽기전용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올리는 경우에는 read only= no 로 설정을 해야됩니다. )

hosts allow 호스트별 접속허용. 기본값은 all host입니다. 접근을 허용할 호스트의 ip를 적어주시면됩니다.

max connections 동시접속자수.

timeout 클라이언트에서 접근시 타임아웃시간.
              anonymous 로 운영하는 경우 설정을 해야 클라이언트가 죽었을 때 서버에서 접속을 해체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해서 873포트를 쓰는 rsync서버의 설정은 끝났습니다.

그럼 rsync클라이언트에서 자료를 가져오는 방법을 아셔야겠죠?

우선 위에 rsync서버설정이 된것을 webserver1(www1.yahoo.co.kr)이라고 하고, 그 서버로부터 정보를 가져와 동기화 시킬 서버를 webserver2(www2.yahoo.co.kr)라고 합시다.

webserver2의 /home/www로 webserver1의 /home/www내용을 가져오려구 한다면,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예) webserver2에서

 


 

# rsync -avz www1.yahoo.co.kr::/home/www /home/www

 



간단하죠? -avz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a는 archive mode (심볼릭 링크, 속성, 퍼미션, 소유권 등 보존).

-v verbose(상세하게 보여움).

-z compress(전송시 압축을 함).

 



휴~ 여기까지가 rsync서버가 873포트로 사용될경우 설정과 사용법입니다.
 



 

3 장 : rsync 설정과 사용 (rsh,ssh)

 
그럼 이제 두번째로 rsync서버가 rsh,ssh를 사용할 경우를 알아볼까요?

실제로 앞의 설정내용에서 크게 틀린점은 없습니다.

우선 inetd나 xinetd를 수정하지 않으셔도 되고, /etc/rsyncd.conf를 만들어 주지 않으셔도 되니까요.

결국 설명할 내용은 클라이언트에서의 사용법 밖에 없겠네요.

그럼 아까와 같이 rsync서버설정이 된것을 webserver1(www1.yahoo.co.kr)이라고 하고, 그 서버로부터 정보를 가져와 동기화 시킬 서버를 webserver2(www2.yahoo.co.kr)라고 합니다.

webserver2의 /home/www로 webserver1의 /home/www내용을 가져오려구 한다면,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예) webserver2에서

 

 

# rsync -avz -e ssh www1.yahoo.co.kr:/home/www /home/www

 



-e 옵션은 rsh나 ssh를 사용할때 써주는 옵션입니다. ( rsh를 사용하실려면 -e rsh하시면 되겠죠.)

또 아까 위에서 873포트를 사용할때 :: 라고 했던거 기억하시죠?

rsh나 ssh를 사용할때는 : 한개만 써주시면됩니다.

ssh를 사용할경우 암호를 입력해야하는데, 이것은 암호파일을 따로 만들어서 암호를 직접입력하는 수고를 줄일수있습니다.

(--password-file 옵션을 사용하시면 암호파일의 위치를 지정해줄수있습니다.)

자 이렇게해서 rsync의 설정법과 사용법에 관한 애기가 끝났습니다.

실제로 웹서버간의 데이타동기화를 할경우는 아까 rsync클라이언트에서 썼던 명령을 cron으로 돌리셔야 합니다.

그래야 주기적으로 데이타동기화를 할수있겠죠.

cron에 대한 것은 테마리눅스에 강좌로 올라와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http://www.linux.co.kr/theme/index1.html?ca=200107)

Posted by tornado
|
  • amanda : 백업 클라이언트인 amanda 데몬
  • amandaidx : amanda 서버의 패키지 서비스 중 하나인 amandaidx 데몬
  • amd : auto mount daemon, 시스템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자동으로 장치와 NFS 호스트를 마운트해 주는 데몬. 네트워크의 설정이 잘못된 경우에는 부팅을 하는 도중에 문제를 일으킬수 있으므로 처음에서 꺼두는 것이 좋다.
  • amidxtape : amand 서버에 패키지 서비스 중 하나인 amidxtape 데몬
  • anacron : 시간에 따라 지정한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실행하는 데몬. cron과 같은 기능을 하지만 계속 켜두지 않는 컴터에서 사요하는 데몬
  • apmd : 베터리 상태를 감시하고 syslog(8)에 기록하며 시스템을 끄기도 하는 데몬
  • arpwatch : 이더넷 카드와 ip 어드레스의 설정 관계를 유지하는 데몬
  • atd : 특정 시간 또는 시스템 부하가 적을때 지정된 명령을 실행시키는 데몬
  • autofs :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할때 자동으로 마운트 시켜주는 데몬
  • chargen : chargen의 TCP 버전 서버
  • chargen-upd : chargen의 UDP 버전 서버
  • ciped : ip address를 암호화하는 CIPE 데몬
  • crond : cron을 실행시키는 데몬, cron은 지정한 프로그램을 특정 시간에 주기적으로 실행시키는 유닉스 표준 프로그램
  • daytime : daytime의 TCP 버전 서버. daytime은 클라이언트의 질의에 응답하여 아스키 형태로 현재 시간과 날짜를 출력하는 데몬. TCP 포트 13을 사용
  • daytime-udp : daytime의 UDP 버전 서버. UDP포트 13을 사용
  • dhcpd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server daemon. 동적 호스트 제어 프로토콜 서버 데몬. BOOTP와 DHCP가 포함된 데몬으로 클라이언트들이 부팅할때 자동으로 동적 IP 어드레스와 네트워크 정보를 가질수 있게 해줌.
  • echo : echo 의 TCP 버전 서버
  • echo-udp : echo 의 UDP 버전 서버
  • finger : finger 리퀘스트에 응답하는 서버. finger는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네임, 디렉토리, 쉘과 최종 로그인 시간에 대한 정보를 볼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
  • gated : gated(라우팅 데몬) 을 시작하거나 종료
  • gpm : MC(midnight command) 와 같은 텍스트 기반 리눅스용 애플리케이션에서 마우스를 쓸수 있게 해주는 데몬. 콘솔에서 마우스를 이용한 팝업 메뉴와 복사/ 붙이기 기능도 지원
  • httpd : 웹 서비스를 위한 아파치 데몬. html파일과 cgi를 사용가능하게 함
  • identd : 특별한 TCP 연결에서 사용자의 신원을 결정해 주는 데몬. TCP 포트번호를 주면 연결된 서버 시스템 소유자를 확인할수 있는 문자열을 돌려줌
  • imap : 원격 사용자가 imap 클라이언트(Pine, netscape communicator)를 이용하여 자신의 메일에 접근할수 있게 하는 서비스
  • imaps : 원격 사용자가 SSL을 지원하는 imap 클라이언트(netscape communicator, fetchmail 등)를 이용하여 자신의 메일에 접근할수 있게 하는 서비스
  • innd : 유즈넷 뉴스 서버를 이용하여 지역 뉴스 서버를 설정할수 있는 데몬
  • ipchains : 패킷 필터링 파이어월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데몬
  • ipop2 : 원격 사용자가 pop2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메일에 접근할수 있게 하는 서비스
  • ipop3 : 원격 사용자가 pop3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메일에 접근할수 있게 하는 서비스
  • irda : irda 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해 주는 데몬
  • keytable : /etc/sysconfig/keytable로 키보드 유형을 변환할수 있게 하는 서비스. 한텀에서 kbdconfig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키보드 유형을 변환할수 있다.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keytable 데몬은 실행시켜 두어야 한다.
  • kudzu : 부팅시 새롭게 추가된 하드웨어를 설정할 수 있게 hardware probe를 실행시키는 데몬
  • linuxconf : 시스템 설정을 유지하기 위해 부팅시에 다양한 태스크의 실행을 정렬시키는 데몬.
  • linuxconf-web : 웹을 통해 linuxconf를 실행할수 있게 연결을 허용하는 데몬
  • lpd : 프린터(line printer)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해 주는 프린트 서비스 데몬
  • mars-nwe : netware IPX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에게 리눅스 머신에서 파일과 프린트 서버를 호환시켜 주는 데몬
  • mcserv : midnight command(MC) 서버이다. MC끼리 네트워크를 공유한다
  • mysqld : 매우 빠르고 안정적인 mysql 데이타 베이스 서버 데몬이다
  • named : 도메인 네임과 ip어드레스를 해석하기 위한 DNS서버(BIND) 데몬. 로컬 호스트에서 DNS서버를 운영할때만 실행 시킨다.
  • netfs : 삼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FS), NCP(netware)등의 마운트와 언마운트에 관여하는 데몬.
  • network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시스템 부팅시 커널에 적재시키는 데몬.
  • nfs : TCP/IP 네트워크에서 파일을 공유할수 있게 하는 데몬. /etc/exports 파일에서 설정한 NFS 서버가 기동할수 있게 해 준다.
  • nfslock : NFS파일을 locking 한다.
  • nscd : NIS/NS 를 사용할수 있게 하는 데몬. nscd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그룹을 살피고 패스워드를 변경하거나 다음 질의를 위해 결과를 캐시하는 데몬이다.
  • ntalk : 서로 다른 시스템끼리 채팅이 가능하게 ntalk 연결을 허용하는 서버
  • ntpd : NTPv4데몬
  • pcmcia : 휴대용 PC에서 이더넷이나 모뎀을 쓸수 있게 하는 데몬.
  • pop3s : SSL을 지원하는 pop3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메일에 접근할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 portmap : RPC(NFS, NIS, mcsev등) 연결을 관리하기 위한 포트 매핑 데몬으로 RPC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선택하여야 하는 데몬.
  • postgresql : postgresql 디비에 관한 데몬
  • pppoe : adsl서비스에 연결시켜 주는 데몬
  • proftpd : 쉬운설정, 보안성, 단순성에 초점을 맞춘 개선된 ftp 서버 데몬
  • pxe : 부팅전 실행환경 서버. 다른 PXE기반 머신에 네트워크 부팅을 제공한다
  • random : 시스템에 필요한 난수 발생 및 저장 데몬
  • rawdevices : HDD 파티션과 같은 블론 디바이스를 위한 스크립트. /etc/sysconfig/rewdevices 파일을 편집하여 원시 디비아스를 블론 디바이스로 매핑할수 있다.
  • reconfig : /etc/reconfigSys 파일이 존재하면 재설정을 실행하는 데몬
  • rexec : rexec(3) 루틴을 위한 서버 데몬. 인증된 사용자 이름과 패스워드로 원격 실행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 rlogin : rlogin 프로그램을 위한 서버 데몬. 신뢰할수 있는 호스트로부터 특권화된 포트 번호에 기반한 인증을 통해 원격 로그인을 제공한다.
  • routed : RIP 프로토콜을 통해 업데이트된 자동 IP 라우팅 테이블 설정 데몬
  • rsh : rshd 서버는 rcmd 루틴을 위한 서버이며 따라서 rsh 프로그램을 위한 서버이다. 신뢰할수 있는 호스트로부터 특권화된 포트번호에 기반한 인증 통해 원격 실행을 제공한다.
  • rstat :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요자에게 그 네트워크 상의 머신에 대한 퍼포먼스 매트릭스를 회수할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
  • rsync : 컴퓨터간 자료 공유를 위해서 사용되는 rsync에 대한 데몬이다.
  • rusersd : 네트워크에 특정 사용자가 있는 검색해 주는 데몬.
  • rwalld : 시스템에 동작중인 모든 터미널에 메시지를 표시할수 있게 해 주는 프로토콜
  • rwhod : 원격 접속자의 목록을 볼수 있게 해주는 데몬. finger와 비슷한 기능을 한다.
  • sendmail : 메일을 다른 호스트로 전송하는 메일 전송(Mail Transport Agent)데몬
  • smb : SMB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삼바 서버(smbd와 nmbd)데몬
  • snmpd :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데몬
  • squid : HTTP, FTP, gopher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할때 캐싱 속도를 높이는 데몬.
  • sshd : openssh 서버 데몬
  • swat : 삼바 웹 관리 툴, 삼바 서버의 설정을 위해 swat를 사용하며, 웹 브라우저를 통해 901포트로 접속한다.
  • syslog : 많은 데몬들이 로그 메세지를 다양한 시스템 로그파일에 기록하는데 사용하는 데몬. syslog는 항상 실행되는 것이 좋다.
  • talk : 다른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로 부터 채팅 요구에 응답하여 터미널의 내용을 다른 사용자에게 보내서 대화할수 있게 하는 데몬.
  • telnet : telnet 세션을 제공하는 서버. 인증을 위해 사용자 이름과 패스워드를 사용한다.
  • tftp :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tftp프로토콜은 어떤 OS에서는 부팅 디스켓이 없는 워크스테이션이나 네트워크 인식 프린터를 위한 설정 파일의 다운로드, 설치 프로세스의 시작을 위해 가끔 이용된다.
  • time : rdate 데몬에 의해 사용되는 RFC 868 시간 서버의 TCP 버전
  • time-udp : rdate 데몬에 의해 사용되는 RFC 868시간 서버의 UDP 버전
  • webmin : webmin 관리자 서버 데몬
  • xfs : 부팅과 셧다운시 X 폰트 서버를 시작하거나 종료시키는 데몬
  • xinetd : inetd 데몬을 대체하는 강력한 데몬. telnet, ftp 등과 같은 서비스를 처리하는 슈퍼 데몬.
  • ypbind : NIS/YP 클라이언트에서 실행되는 데몬으로 NIS도메인을 바인드한다. NIS클라이언트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glibc에 기반한 시스템에서 실행되어 한다. 그러나 NIS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에서는 실행하지 말아야 한다.
  • yppasswd : NIS클라이언트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변경할수 있게 해 주는 데몬
  • ypserv : 표준 NIS/YP 네트워크 프로토콜 서버. 호스트 네임, 사용자 네임과 다른 정보 데이타베이스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배포하는 것은 허용한다. ypserv데몬은 클라이언트에서는 필요하지 않으며 NIS 서버에서 실행된다.
  • Posted by tornado
    |

    Log 파일이 안남아서 첨에 당황함...

     

     

    proftpd.conf 파일에서...  아래의 부분을 <Global 영역에 설정한 후 로그 생성됨

     

     

    ExtendedLog      /var/log/proftpd.log ALL  

     

     

    ALL 은 포맷이당... proftpd 사이트 참고요함..

    Posted by tornado
    |

    현재 방화벽 환경 하에서 돌아가는 ftp 인데 "익명 계정" 은 접속을 처음부터 불허하고 있다.


    계정사용자만 사용하는데(iptables 에서 허가된 ip 에서만) ftp 에 처음 접속시


    로그인 창이 뜰때 까지 시간이 좀 걸리고,


    로그인 하고 파일 List 가 뜰때까지 시간이 좀 걸렸다.


    proftpd.conf 파일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을 추가한 후, 데몬을 다시 시작하니 빨라짐 .. ^^




    UseReverseDNS                   off
    IdentLookups                    off



    Posted by tornado
    |

    FORWARD 로 막으니까 잘 됨..


    아직 iptables 에 대한 이해가 떨어져서... 스크립트가 지저분 함..

    msn 은 자료전송까지는 잘 되는데... 화상채팅 안되는듯...


    아래는 /etc/init.d/iptables 에 저장한 내용...


    # nat 로 내부 아이피 이용하기. (192.168.1.0 ~ 192.168.1.255)
    iptables -t nat -A POSTROUTING -o eth0 -s 192.168.1.0/24 -j SNAT --to-source 218.xxx.xxx.xx7


    # ftp 허용 (21 번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21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21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20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20 -j ACCEPT


    # ssh 허용 (22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22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22 -j ACCEPT


    # telnet 허용 (23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23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23 -j ACCEPT


    # SMTP 허용 (25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25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25 -j ACCEPT


    # Time 서버 포트 허용(37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37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37 -j ACCEPT


    # NickName 허용(43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43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43 -j ACCEPT


    # Domain 포트 허용(53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53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53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udp --dport 53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udp --sport 53 -j ACCEPT

    # HTTP 허용 (80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80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80 -j ACCEPT


    # POP3 허용 (110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110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110 -j ACCEPT


    # ntp 허용 (123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123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123 -j ACCEPT


    # imap 허용 (143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143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143 -j ACCEPT
     

    # snmp 허용 (161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161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161 -j ACCEPT
     
     
    # https 허용 (443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443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443 -j ACCEPT
     

    # rsync 허용 (873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873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873 -j ACCEPT


    # imaps 허용 (993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993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993 -j ACCEPT


    # pop3s 허용 (995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995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995 -j ACCEPT


    # 네이트온 메신저 거부 (5004 번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5004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5004 -j ACCEPT


    # MSN 서비스 제어.... 1863 포트
    iptables -A FORWARD -p tcp --dport 1863 -j ACCEPT
    iptables -A FORWARD -p tcp --sport 1863 -j ACCEPT
    iptables -A FORWARD -d 207.46.110.0/25 -j ACCEPT
    iptables -A FORWARD -d 207.46.104.20 -j ACCEPT


    # 연결된 상태에 대한 수신 허용
    # 이 부분 없애니까 FTP 송수신에 문제 생김... 반드시 RELATED 해줘야 함...

    # 특정 서비스와 연관된 포트는 허용하는 것 같음...
    iptables -A FORWARD -m state --state ESTABLISHED,RELATED -j ACCEPT


    # 위에 열어준 서비스 이외의 모든 포트 막기.
    iptables -A FORWARD -p tcp -j DROP

    Posted by tornado
    |
    웹로그분석기 설치기 - Awstats
    글쓴이 : 문용우 (2004년 03월 03일 오전 10:56) 읽은수: 2,667 [ 아파치 # 트랙백(0) 인쇄용 페이지 본문 E-Mail로 보내기 ]
    아파치 ####################################
    # HowTo - Awstats 웹로그 분석 설치 #
    # #
    # 2004.03.03 linuxxer #
    # #
    ####################################

    * Webalizer 를 많이 사용하시지만
    awstats는 좀더 화려한(?)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줍니다.


    [목차]

    1. 준비사항
    2. Setup / Configure
    3. Complete



    1. 준비사항

    프로젝트 싸이트 : http://awstats.sourceforge.net
    다운로드 : http://awstats.sourceforge.net/files/awstats-6.1.tgz

    웹로그분석이기 때문에 Web Server는 이미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 Apache 설치문서는 많이 있기 때문에 별도 설명을 하지 않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2. Setup / Configure

    다운로드 받은 압축파일을 푸시면 docs 디렉토리안에 *.html 파일들이
    Install 방법과 Plug-in사용법등 다양하게 정보를 같이 제공하고 있읍니다.
    (프로젝트 홈페이지에 Install 방법 없읍니다. 꼭 *.html 을 보세요.)

    tar xvfz awstats-6.1.tgz
    mv awstats-6.1/ /usr/local/awstats
    chmod 755 /usr/local/awstats
    mkdir /etc/awstats
    mkdir /var/lib/awstats

    cd /usr/local/awstats/tools
    ./configure.pl (3가지정도를 물어보는데 잘 읽어보시면 뭔말인지
    아실겁니다.)

    만일 요기까지 잘 따라 하셨다면 에러가 없을겁니다.

    configure.pl 을 잘 실행 시키셨다면 자신이 정한 name으로
    awstats.[정한 name].conf 파일이 생성되어 있을겁니다.
    이 파일을 여서서 52라인으로 가보시면

    LogFile="/var/log/httpd/mylog.log" 되어 있읍니다.
    이것을
    LogFile="[자신이 사용하는 웹서버의 access 로그]"
    를 지정하시면 됩니다.
    제가 사용하는 예를 보여드리면
    LogFile="/usr/local/apache/logs/access_log" 사용하고 있읍니다.

    :wq


    /usr/local/awstats/tools/ 아래보시면 httpd_conf 파일이 있읍니다.
    이 파일을 vi로 여셔서 내용전체를 웹서버가 설치된 conf/httpd.conf 파일의 맨 하단에
    붙여넣으시면 됩니다.

    :wq


    3. Complete

    간단하게 다 되었읍니다 ^^ 이제 웹브라우져로 확인을 해봐야겠죠!

    http://[웹서버]/awstats/awstats.pl?config=[자신이 정한 name]

    한글화도 아주 잘 되어 있읍니다.


    자... 웹로그분석이니 Cron 작업도 빼 먹으면 안되겠죠?

    vi /etc/crontab 하셔서
    0-59/6 * * * * root /usr/local/awstats/wwwroot/cgi-bin/awstats -update -config=[자신이 정한 name]

    :wq


    로그분석 시간간격은 조정하시면 됩니다.


    **************************************
    관련 문의 사항은 : linuxxer@chollian.net

    관련 링크

    Posted by tornado
    |
    Apache 에서 DoS 공격 막기 (1.3.x 2.x 모두)
    글쓴이 : 좋은진호 (2003년 08월 29일 오후 06:55) 읽은수: 3,854 [ 아파치 # 트랙백(0) 인쇄용 페이지 본문 E-Mail로 보내기 ]
    아파치 작성자 : 좋은진호(truefeel, http://coffeenix.net/ )
    작성일 : 2003.8.20(수) apache v1.3.x
    수정일 : 2003.8.25(월) apache v2.x 부분 추가

    특정 URL이나 IP일 경우나 특정한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DoS(Denial of Service, 서비스거부)
    공격이 들어온다면 httpd.conf 에서 SetEnvIf, SetEnvIfNoCase 등과 Allow, Deny 설정으로
    간단히 막을 수 있겠지만 일정한 유형이 없다면 해결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다행히 Apache용 mod_dosevasive 모듈로 DoS 공격을 쉽게 막을 수 있다.
    며칠전 1.7버전 발표로 apache 2.x에서도 정상적으로 이 모듈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1. mod_dosevasive 설치

    http://www.nuclearelephant.com/projects/dosevasive/
    에서 mod_dosevasive (현재 최신버전은 1.7)을 받아온다.

    1) 기존에 사용하던 apache 1.3.x에 모듈만 추가할 때

    mod_dosevasive.tar.gz 을 푼다음 apxs로 설치

    ----------------------------------------------
    # tar xvfz mod_dosevasive.tar.gz 
    # cd dosevasive
    # /bin/apxs -iac mod_dosevasive.c
    ...
    [activating module `dosevasive' in /usr/local/apache/conf/httpd.conf]
    cp mod_dosevasive.so /usr/local/apache/libexec/mod_dosevasive.so
    chmod 755 /usr/local/apache/libexec/mod_dosevasive.so
    ...
    ----------------------------------------------

    httpd.conf의 LoadModule, AddModule는 apxs가 알아서 추가해준다.

    2) apache 1.3.x부터 새로 컴파일할 할 때

    mod_dosevasive.tar.gz 을 apache_source_홈/src/modules 에 푼 다음
    기존에 apache 컴파일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add-module=... 옵션만
    추가해준다.

    ----------------------------------------------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
    --enable-module=all --enable-shared=max \
    --add-module=src/modules/dosevasive/mod_dosevasive.c  <-- 추가함
    make
    make install
    ----------------------------------------------

    3) apache 2.x에 모듈만 붙일 때

    /bin/apxs -iac mod_dosevasive20.c

    2. 설정

    httpd.conf 에 아래 설정이 있는지 확인한다.

    apache 1.3.x
    ----------------------------------------------
    ...
    LoadModule dosevasive_module libexec/mod_dosevasive.so
    ...
    AddModule mod_dosevasive.c
    ----------------------------------------------

    apache 2.x
    ----------------------------------------------
    LoadModule dosevasive20_module modules/mod_dosevasive20.so
    ----------------------------------------------

    httpd.conf에는 다음과 같이 설정을 추가한다.
    ( 단, 아래 설정 중에 apache 2.x일 때는 < IfModule mod_dosevasive20.c> 로 )
    ----------------------------------------------
    < IfModule mod_dosevasive.c>
      DOSHashTableSize  3097
      DOSPageCount    3
      DOSSiteCount    50
      DOSPageInterval   1
      DOSSiteInterval   1
      DOSBlockingPeriod  30
    < /IfModule>
    ----------------------------------------------
    DOSHashTableSize  3097

    hash table의 크기. IP, URI등을 분석하기 위한 공간으로 쓰이는 것 같은데 정확히는
    모르겠다. 접속이 많은 서버이면 수치를 높인다.

    DOSPageCount    3
    DOSPageInterval   1

    DOSPageInterval에서 지정한 시간(초단위)동안 같은 페이지를 3번 요청한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 IP를 블럭킹한다. 블럭킹되는 동안에 사용자에게는 403(Forbidden)
    코드가 전송된다.

    DOSSiteCount    50
    DOSSiteInterval   1

    DOSSiteInterval에서 지정한 시간동안 어느 페이지나 이미지든 요청 건수가 50번을 넘는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 IP를 블럭킹한다. 403코드 보내는 것은 마찬가지.
    HTML 내에 이미지가 10개이면 요청 건수는 HTML포함하여 11번이 되므로 이미지가 많은
    사이트는 숫자를 크게한다.

    DOSBlockingPeriod  30

    블럭킹된 IP는 30초동안 접속을 할 수 없다.

    3. 모듈 사용을 중지하려면

    차단 기능을 이용하지 않기 위해

    DOSPageCount 0
    DOSSiteCount 0

    와 같이 하면 모듈 내부의 default값을 이용해서 동작하므로 LoadModule, AddModule를
    주석 처리하는 방법을 써야한다. 또는 Count값을 상당히 큰 수를 지정할 수도 있겠다.

    4. 차단하는지 테스트

    간단한 테스트 툴로 test.pl을 제공한다.
    12번째 줄에

    printf("%03d ", $_ );

    를 추가하고

    apache를 실행시킨 다음 perl test.pl을 해보면 200 OK, 403 Forbidden 된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DOSPageCount, DOSSiteCount 수치를 너무 낮게 하면 정상적인 접속에 대해서도 차단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수치를 낮추고, 같은 페이지를 reload(Ctrl+R)를 여러번했더니
    바로 403 페이지가 등장.

    403 페이지를 별도로 만드는 것이 좋을 듯 싶다. httpd.conf에 ErrorDocument 403 ... 설정
    으로 html을 만들어두면 방문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이젠 ab, lynx 등으로 게시물 조회수를 순간적으로 올린다거나, 시스템 로드를 증가시키는
    것까지도 어느정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 syslog 로 로그 남기는 기능과 DOSEmailNotify, DOSSystemCommand 옵션은 제대로 적용
      되지 않아 이 글에 적지 않았다. 정상동작이 확인되면 그 때 추가할 것이다.
    Posted by tornado
    |

    1. 서    론  

    2.
    방화벽시스템의 기본개념

    2-2. 방화벽시스템의 기본 구성요소

    3. 시스템 구축방안

    4. 방화벽시스템 구축시 고려사항

    5. 결    론

     
    1. 서 론

      인터넷은 미국 국방성에서 개발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을 사용하는 네트웍들의 네트웍으로서, 전세계적으로 수천 개의 네트웍과 수 백만대의 호스트로 연결된 네트웍이다. 초기에는 학교, 연구소 등을 접속한 학술 및 연구망으로 활용되다가 최근에는 상용망으로 확장되었다.

      TCP/IP 네트웍 프로토콜 구조는 전세계의 정보 자원에 대해 이기종간 효율적인 상호 접속을 제공하는 연동을 보장하지만, UNIX 시스템과 통신 유틸리티의 소스 개방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보안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침입자에 의한 피해 사례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터넷 가입 기관의 시스템이나 네트웍에 피해를 주는 사례는 Telnet을 통한 네트웍 침입 이용뿐만 아니라 침입 후에 시스템에 대한 여러 가지 불법적인 행위, Internet Worm과 같은 불법 프로그램 유통 등 여러 가지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침해 사례는 유형에 따라 예방하고 막을 수 있는 방법을 계층적으로 모델을 세우는 방법들이 연구되고있으며, 해당 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보안 도구 개발, 보안 사고에 대비한 보안 정책과 절차를 제시하는 연구 개발, 그리고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SAAG(Security Area Advisory Group) 산하의 여러 보안 작업 그룹은 각종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웍 응용 프로그램 개발 등 여러 분야에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인터넷 보안 관련 시스템 중에서 특정 기관의 보안 사고를 막을 수 있는 방화벽(Firewall)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 및 구축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방화벽 시스템은 기관의 보안 정책에 따라 인가된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는 허용하고, 인가되지않은 서비스에 따르는 트래픽을 철저하게 막음으로써 효율적인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물론 이 방화벽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기관의 보안을 완전하게 보장하지는 않지만, 가장 효과적이고 비용이 비교적 적게 드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보안 취약성으로부터 호스트를 보호하는 방법으로서의 방화벽 시스템의 기본 개념과 방화벽 시스템 구성요소, 방화벽 시스템 제품, 그리고 참고문헌을 소개하고자 한다.

    2. 방화벽 시스템의 기본 개념

      방화벽의 원래 의미는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가 더 이상 번지는 것을 막는 것이다. 이 의미를 인터넷에 적용한다면, 이는 네트워크의 보안 사고나 위협이 더 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막고 격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어떤 기관의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의 불법적인 트래픽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 허가하거나 인증된 트래픽만 허용하는 적극적인 방어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1] 인터넷 접속과 위험 지대(Zone of Risk)

      방화벽 시스템의 기본 목표는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가능한 한 투명성을 보장하면서 위험 지대를 줄이고자 하는 적극적인 보안 대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 [그림 1]은 일반적인 인터네트에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있는데, 외부와의 투명한 접근을 허용하므로 서 내부 망 전체가 위험 지대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림 2]의 경우는 외부와 내부 네트워크간의 유일한 경로에 방화벽 시스템을 둠으로써 방화벽 시스템이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여 불법적인 트래픽을 거부하거나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투명성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내부 네트워크를 안전지대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그림 2] 방화벽 시스템의 개념

      방화벽 시스템의 구축은 호스트에 대한 보안을 강화시킴으로써 사이트에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방화벽을 구축,사용함에 있어서의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위협에 취약한 서비스에 대한 보호

      방화벽은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고, 기본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서비스를 필터링(filtering)함으로써 서브넷 상에 있는 호스트에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단지 선택된 프로토콜만이 방화벽을 통과시키므로 서 서브넷 네트워크 환경은 위험에 덜 노출되게 된다.

    나. 호스트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 제어

      방화벽은 또한 호스트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네트워크에서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호스토로 접속하고자 할 때, 원하지 않는 액세스는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트는 메일 서버나 NIS같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외부로부터의 액세스를 차단할 수 있다.

    다. 보안의 집중

      방화벽은 대부분의 수정된 소프트웨어와 추가되는 보안 소프트웨어를 여러 호스트에 분산시키는 것과는 달리 원하는 호스트에 방화벽을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제적으로 경제적일 수 있다. 특별히, 일회용(one-time) 패스워드 시스템과 그 밖의 추가적인 인증 소프트웨어를 방화벽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림 3] 일회용 패스워드 시스템

    라. 확장된 프라이버시

      프라이버시는 대체적으로 해가 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는 정보가 실제로 공격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사이트에서는 중요시 된다. 방화벽을 사용하면, 원하는 사이트는 finger와 DNS(Domain Named Service)와 같은 서비스를 막을 수 있다. finger는 마지막 로깅 시간과 메일과 다른 아이템을 읽었는지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알려준다. 그러나, finger는 침입자에게 시스템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는지, 시스템에 연결된 유저가 있는지, 그리고 침해될 수 있는 지에 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방화벽은 또한 사이트 시스템에 관한 DNS 정보를 막을 수 있다. 그래서 사이트 명과 IP 주소를 인터넷 호스트이 사용할 수 없게 해준다. 원하는 사이트는 이러한 정보를 막음으로써 침입자에 유용한 정보를 숨길 수 있다.

    마.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로깅과 통계자료

      시스템에 대한 모든 액세스가 방화벽을 통과 한다면, 방화벽은 액세스를 로그할 수 있고,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유용한 통계 자료를 제공한다. 의심이 가는 활동에 대해 적절한 경고 기능을 제공하는 방화벽은 방화벽과 네트워크가 침입 시도를 받고 있는지 또는 침입 되었는지에 대한 세부 사항을 제공해 준다.

    바. 정책 구현

      방화벽은 네트워크 액세스 제어 정책에 대한 구현을 제공한다. 사실상, 방화벽은 사용자와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그래서, 네트워크 액세스 정책은 방화벽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방화벽이 없다면, 이러한 정책들은 전적으로 사용자의 협조에 의존해야 한다. 사이트에서는 사용자의 협조에 의존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인터넷 사용자에게는 의존 할 수 없다.

    2.2 방화벽 시스템의 기본 구성 요소

      방화벽 시스템에 대한 여러 토론 그룹에서는 방화벽 시스템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 정의 및 개념을 규정하였다. 그리고 방화벽 시스템이 가지는 여러 가지 기능과 보안 대처 수준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의 방화벽 시스템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방화벽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기술한다.

    가. 네트워크 정책(Network Policy)

      방화벽 시스템의 설계, 설치, 사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두 가지 레벨의 네트워크 정책이 있다. 상위-레벨 정책은 명확한 내용 즉, 제한된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를 허용할 것인가 또는 명확하게 거부할 것인가를 정의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정책, 이러한 서비스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그리고 이러한 정책의 예외 조건 등을 말한다. 하위-레벨 정책은 어떻게 방화벽이 실질적으로 액세스를 제한하고 상위-레벨 정책에서 정의한 서비스를 필터링할 것인가에 대한 사항이다.

    나. 방화벽 시스템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Advanced Authentication)

      방화벽 시스템은 한 기관의 네트워크 전체를 보호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순한 패스워드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좋은 인증 수단으로 스마트카드(Smartcards), 인증 토큰(Authentication tokens), Biometrics, 그리고 소프트웨어 메커니즘 등을 사용한다.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우수한 인증 시스템으로는 일회용 패스워드이다. 즉 매번 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할 때 마다 매번 새로운 패스워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는 침입자가 최근 이용하고 있는 sniffer에 의한 패킷 가로채기를 통해 시스템의 사용자ID와 패스워드를 알아내서 침입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아준다.

    다.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IP 패킷 필터링은 통상 라우터 인터페이스를 지나는 패킷을 필터링하기 위해 설계된 패킷 필터링 라우터(packet filtering router)에 의해 행해진다. 패킷 필터링 라우터는 IP 패킷중 다음을 전부 또는 일부를 필터링할 수 있다.

    - source IP address
    - destination IP address
    - TCP/IP source port
    - TCP/IP destination port

    라.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Application Level Gateway)

      응용 계층 서비스는 축적전달(Store-and-Forward)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게이트웨이에서 수행하는 방법과 같다. 게이트웨이는 송신자 응용 서비스가 보내는 정보를 그대로 전달하면 되는 것이다. 실제로 이 게이트웨이에서는 보안을 위한 특별한 서비스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내부와 외부간의 모든 응용 레벨의 트래픽에 대해 로깅이나, Telnet이나 FTP 등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에 우수한 인증 방법을 사용한다. 이 응용 계층의 게이트웨이 기능은 프럭시 서버(Proxy Server)라는 서버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외부의 전자우편 클라이언트가 내부의 어떤 호스트내 전자우편 서버와 접속하기를 원하면, 중간에 프럭시 서버가 이를 받아 다시 내부의 서버에게 전달하는 방식이 된다.

    [그림 4] 응용 레벨 게이트웨이

    마. 스크린 라우터(Screen Router)

      어떤 기관이 인터넷에 접속할 경우 라우터(Router)라는 인터넷 패킷을 전달하고 경로배정(Routing)을 담당하는 장비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라우터는 단순 장비가 아니라 패킷의 헤더 내용을 보고 필터링(스크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네트워크 레벨의 IP(Internet Protocol) 데이터그램에서는 출발지 및 목적지 주소에 의한 스크린,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레벨의 패킷에서는 네트워크 응용을 판단하는 포트(Port) 번호에 의한 스크린, 프로토콜별 스크린 등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 스크린 라우터만으로도 어느 정도 수준의 보안 접근 제어를 통해 방화벽 시스템 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나 라우터에서 구현된 펌웨어의 수준으로는 제한점이 많고 복잡한 정책을 구현하기 어려우므로 보통 스크린 라우터와 다음에서 설명하는 베스쳔 호스트를 같이 운영한다.

    [그림 5] 스크린 라우터

    바. 베스쳔 호스트(Bastion Hosts)

      베스쳔 호스트는 방화벽 시스템이 갖는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원래 베스쳔(Bastion)은 중세 성곽의 가장 중요한 수비부분을 의미하는데, 방화벽 시스템 관리자가 중점 관리하는 시스템이 된다. 그래서 방화벽 시스템의 중요 기능으로서 액세스 제어 및 응용 시스템 게이트웨이로서 프럭시 서버의 설치, 인증, 로그 등을 담당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호스트에는 외부의 침입자가 주로 노리는 시스템이 므로 일반 사용자의 계정을 만들지 않고 해킹의 대상이 될 어떠한 조건도 두지 않는 가장 완벽한 시스템으로서 운영되어야 한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방화벽 시스템은 이러한 베스쳔호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사. 이중 네트워크 호스트(Dual-Homed Hosts)

      이중 네트워크 호스트는 2개 이상의 네트워크에 동시에 접속된 호스트를 말하며 보통 게이트웨이 호스트라는 시스템이다. 2개의 네트워크는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의미하고, 이 두 네트워크간의 유일한 패스를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즉 동적인 경로 배정과 경로 정보 전달을 배제하므로 모든 내.외부 트래픽은 이 호스트를 통과하도록 하여 베스쳔 호스트의 기능을 여기에 구현하는 것이다.

    [그림 6] 이중 네트워크 호스트

    아. 스크린 호스트 게이트웨이(Screen Host Gateway)

      스크린 호스트 게이트웨이 개념은 이 시스템을 내부 네트워크에 두어 스크린 라우터가 내부로 들어가는 모든 트래픽을 전부 스크린 호스트에게만 전달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스크린 라우터는 내부에서 외부로 가는 모든 트래픽에 대해서도 스크린호스트에서 출발한 트래픽만 허용하고 나머지는 거부하게 된다. 그래서 내부와 내부네트워크사이의 경로는 외부 네트워크 - 스크린 라우터 - 스크린 호스트 - 내부 네트워크 이외의 경로는 결코 허용하지 않게 된다. 이 스크린 호스트도 결국 베스쳔 호스트, 이중 네트워크 호스트의 개념이 집합된 시스템이다.

    [그림 7] 스크린 호스트 게이트웨이

    자. 스크린 서브넷(Screen Subnet)

      스크린 서브넷은 일명 DMZ(DeMiliterization Zone)의 역할을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사이에 두겠다는 것으로서 완충 지역 개념의 서브넷을 운영하는 것이다. 여기에 스크린 라우터를 이용하여 이 완충 지역을 곧장 통과 못하게 하지만 외부 네트워크에서도 내부 네트워크에서도 이 스크린 서브넷에 접근할 수는 있다. 특히 어떤 기관에서 외부로 공개할 정보 서버(Information Server), 즉 익명FTP서버, 고퍼(Gopher) 서버, 월드와이드웹(WWW) 서버 등을 여기에서 운영하면 된다.

    [그림 8] 스크린 서브넷

    차. 암호 장치(Encryption Devices)

      암호 장치는 어떤 기관의 네트워크가 공공의 인터넷을 통해 여러 지역으로 분산되어 있을 경우에 적합하다. 즉 어떤 본사 네트워크가 방화벽 시스템을 구축하였을 때 지역적으로 떨어진 지점 네트워크도 본사 네트워크처럼 보호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본사와 지점 네트워크간에 인터네트로 연결되었다면 안전을 보장하기 어려우므로 두 지점 사이를 암호 장비를 이용하여 가상 사설 링크(VPL, Virtual Private Link)로 만들어 운영하면 된다. 그러므로 서 두 개의 네트워크는 하나의 안전한 네트워크로 만드는 것이다. 종단간 암호 방식은 데이터나 패스워드 등이 도청 되는 것을 막는 방식을 원하는 사설 백본(Private Backbone)에 여러 인터넷 접속점을 가진 기관에서 유용할 것이다.

    [그림 9] 암호 장치

    3. 방화벽 시스템 구축 방안

     방화벽 시스템을 구축하는 개념에는 2가지 유형 즉,

    * 네트워크 레벨(Network Level) 방화벽 시스템,

    * 응용 레벨(Application Level) 방화벽 시스템

     이 있다. 이러한 2가지 유형에 대해 어떤 것이 좋고 어떤 것이 나쁘다는 식의 판단을 내리기는 어려운 점이 있지만 기관의 요구사항에 어떤 것이 부합되는지를 잘 판단해야 한다.

      네트워크 레벨의 시스템은 IP 패킷의 Source/Destination 주소와 포트에 의해 결정된다. 단순한 라우터는 낡은 방식의 네트워크 레벨 방화벽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어떤 패킷이 동작하는지 어떠한 네트워크에서 왔는지를 판단해야 하는 복잡한 규칙에 대해 판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현재의 네트워크 레벨 방화벽은 매우 복잡해져서 허용된 접속들의 상태와 어떤 종류의 데이터 내용 등을 관리할 수 있다.

      한가지 중요한 차이점은 네트워크 레벨 방화벽이 라우트를 직접 제어할 수 있으며, 할당된 IP 블럭을 정당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이다. 네트워크 레벨 방화벽은 매우 빠르며, 사용자에게 투명한 서비스를 보장한다.

    * 네트워크 레벨 방화벽의 사례 : "스크린 호스트 방화벽" 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호스트에 대한 액세스 제어가 네트워크 레벨에서 동작하는 라우터에서 이루
                                                     어지며, 이때의 호스트가 베스쳔 호스트이다.

    * 네트워크 레벨 방화벽의 사례 : "스크린 서브넷 방화벽"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것은 네트워크 레벨에서 동작하는 라우터가 하나의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 제어를 할 수 있음을 말한다. 스크린 호스트의 네트워크란 점만 빼면 스크린 호스트와 유사한다.

      응용 레벨 방화벽은 2개의 네트워크 간에 항상 직접적인 트래픽을 막고, 트래픽에 대해 로그, Audit 기능 등이 지원되는 프락시를 실행하는 기계를 말한다. 프락시 응용은 방화벽의 소프트웨어 부분이므로 많은 로그와 액세스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좋다. 응용 레벨 방화벽은 주소 번환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어느 한 쪽에서 들어와 다른 쪽으로 나가기 때문에 처음 시도한 접속에 대해 효과적인 마스킹할 수 있다. 이렇게 중도에 응용을 가지는 것은 어떤 경우에는 성능에 문제를 가질 수 있으며,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TIS 툴킷 등에 구현된 것과 같은 초기 응용 레벨 방화벽은 일반 사용자에게 투명하지도 않으며, 어떤 연습이 필요하다. 최근의 응용 레벨 방화벽은 투명성이 보장되며, 보다 상세한 감사 보고와 네트워크 레벨 방화벽보다 보다 안전한 보안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 응용 레벨 방화벽 사례 : "이중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프락시를 실행하는 고도의 보안 기능이 제공되는 시스템이다. 이것은 2개의 네트
                                           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모든 트래픽이 그냥 통과되는 것을 막는다.

      미래의 방화벽 시스템은 네트워크 레벨과 응용 레벨 방화벽의 혼합형에 해당된다. 이는 네트워크 레벨에서는 보다 상위의 기능을 가지려 하고 응용 레벨에서는 보다 하위 기능을 갖고자 하기 때문이다. 최종 결과는 아마 매우 빠른 패킷 스크린 기능과 모든 트래픽에 대한 로그와 감사 등이 예측되며,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트래픽의 보호를 위해 암호 기법이 사용될 것이다.

    4. 방화벽 시스템 구축시 고려 사항

      앞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실질적으로 방화벽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대부분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데, 방화벽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목적인 내부 네트워크의 보호라는 관점에서 다음의 고려 사항을 염두에 두고 방화벽의 설계 및 사양을 작성하거나, 구현 혹은 설치를 어떻게 할 것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첫째, 가장 중요한 관심사로서 해당 조직이 어떻게 시스템을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정책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매우 중요한 네트워크에서의 작업을 제외하고는 모든 접속을 거부하는 식의 시스템을 운영할 것인가 아니면 덜 위협적인 방법으로 접속해 오는 트래픽에 대해 조사하고 점검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운영할 것인가라는 선택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보안 결정권자에 달려있다.

      둘째, 어느 정도 수준의 감시, 백업 및 제어를 원하는가 라는 문제이다. 첫번째 문제로서 기관이 받아들일 수 있는 위험 수준이 세워졌다면, 이제 어떤 것을 감시하고, 허용하고, 거부할 것인가라는 체크리스트를 작성해야 한다. 즉, 기관의 전체적인 목적을 결정하고 위험 평가에 근거한 필요성 분석을 하며, 구현하고자 계획하여 사양을 마련했던 목록과 구별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려낸다.

      셋째, 경제적인 문제이다. 우리가 여기에서 정확하게 지적할 수 있지는 못하지만 이것을 구매하는데 드는 비용과 구현에 드는 비용을 정확하게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완전한 방화벽 제품의 구매 비용은 무료에서 100,000 달러에 이를 수 있으며, 방화벽 시스템의 우선 설치 및 구현에 드는 비용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드는 비용과 지원비 등을 계산해야 한다.

      넷째, 기술적인 측면에서 몇 가지 결정해야 할 것이 있는데, 기관 내부의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 사이에서의 고정적 트래픽 라우팅 서비스 등에 대해서도 결정하야 한다. 트래픽라우팅은 라우터에서의 IP 수준의 스크린 규칙이나 혹은 프락시게이트웨이나 서비스에서의 응용 수준 등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다섯째, telnet, ftp, news 등의 프락시를 설치되는 외부에 노출된 기계가 외부 네트워크에 둘 것인가 혹은 하나 이상의 내부 기계와 통신을 허용하는 필터링으로서의 스크린 라우터를 만들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각각의 접근 방식은 장단점이 있는데, 프락시 기계가 고급 수준의 기록성과 잠재적인 보안 기능을 많이 구현해야 하는 만큼 또한 비용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프락시는 요구되는 서비스 마다 따로 설계되어야 하며, 편리성과 보안에 드는 비용은 상대적이다.

     그리고 앞의 내용과 중복되기는 하지만 다음 사항도 고려해야 한다.

    - 손실 제어(Damage Control) : 방화벽 시스템이 침해 당할 수 있다면,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기 위해 어떤 취약점들이 이용될 수 있으까?

    - 위험 지역(Zone of risk) : 일반적인 관리 상황에서 위험이 있는 곳이 얼마나 큰가? 이 것의 측정은 외부에서 손쉽게 접근 가능한 내부망의 호스트 수와 라우터 수이다.

    - 시스템 실패 환경(Failure mode) : 만약 방화벽 시스템이 침해 당한다면 얼마나 쉽게 이것을 탐지할 수 있는지, 얼마나 쉽게 미리 감지되어지는지, 침투 수법, 경로 등을 검사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얼마나 남아 있을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 쉬운 이용 환경(Ease of use) : 일반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방화벽 시스템이 얼마나 불편함을 주는지를 고려한다.

    - 기본 입장(Stance) : 자신의 기관에서 설치할 방화벽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축 개념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즉 네트워크 레벨의 방화벽을 구현할 것인가, 아니면 응용 레벨의 방화벽을 구현할 것인가 하는 것을 말한다.

    5. 결 론

      현재 어떤 기관이 인터넷에 연동할 때 가장 효과적인 보안 대책은 방화벽(Firewall)을 설치하는 것라고 할 수 있지만, 방화벽의 상용 제품은 하드웨어 플랫폼, 컨설팅, 네트워크 재 설계 등으로 인한 비용이 많이 된다. 따라서 비용에 해당하는 완벽한 보안 해결책을 제공받을 수 있는지 의문이 있을 수 있다.

      방화벽이 가장 우수한 해결책이라 하더라도, 먼저 공개 도구를 설치하거나 라우터 등에서 방화벽의 설치 및 운영 경험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라우터에서 제공하는 패킷 스크린 기능은 외부의 어떤 특정 네트워크, 호스트 등에 대해 또한 응용 프로토콜 등에 대한 액세스 제어 기능을 제공하므로 가장 기본적인 방화벽을 만들 수 있고 그밖에 필요한 사용자 인증, 응용 계층 프락시 등은 공개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여러 관리 지원 기능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방화벽이 완전한 보안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방화벽은 단지 인터넷 등의 전산망에서의 보안 격리만을 제공할 뿐이며, 또한 이에 대한 비효율적인 운영과 완전하지않은 정책 채택은 더 문제가 될 수 있다. 방화벽은 단순히 전산망의 기술적인 보안 문제를 해결할 뿐이며, 그 밖에 호스트에서의 보안 문제, 보안 감시, 중앙집중적인 보안 관리, 정책, 교육 등이 총 망라되어야 할 것이다. 집중적으로 보안을 담당할 인력을 보강하고 구체적인 대책과 관리에 신경을 쓴다면 효율적인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 네트워크 보안을 위해 자체적인 방화벽 환경의 구축,
    - 각 호스트별 접근 제어로서 TCPWRAPPER 등의 설치,
    - 시스템 및 각 응용 프로그램 등의 최신 버젼 패치(Patch),
    - 시스템 보안 감시 및 일일 주간 체크리스트의 활용,
    - 주기적인 부분/전체 백업,
    - 보다 우수한 사용자 인증 방법

    등의 채택은 가장 필수적인 보안 기술 대책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대책을 지원하는 공개 소프트웨어 도구는 많이 있으며, 또한 담당 인력의 주의와 노력이 요구된다.

    Posted by tornado
    |

    다양한 웹로그 분석 프로그램들이 존재하며, 지금 소개하려고 하는 AWStats 는 GNU GPL 을 따르는 훌륭한 웹 로그 분석 도구이다.

    다운로드는 http://awstats.sourceforge.net 에서 받을 수 있다. 공식 사이트에는 apache 와 iis 의 두가지를 설명하고 있지만, 현재 필자가 설치해본 것이 redhat linux 에서 apache 를 사용중인 경우였으므로 이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겠다. IIS의 경우도 그리 어렵지 않으니 IIS 유저들은 공식홈페이지의 문서를 참고하도록 하자.

    Apache 웹서버 웹서버의 로그가 NCSA combined/XLF/ELF 의 포맷으로 기록되도록 세팅해야 한다. 우선 초기 아파치 세팅시에 특별히 로그포멧을 건드린 기억이 없다면 지금 상태 그대로 두면 된다.

     

    시작


    아파치 설정파일인 httpd.conf (아마도 /usr/local/apache/conf 정도에 있을거라 생각한다. ) 를 열고, CustomLog 웹서버로그위치 common 이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찾는다.

    보통 CustomLog /usr/local/apache/logs/access_log common 이런식으로 되어있을것이다.

    이 부분을 찾아내서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CustomLog 웹서버로그위치 combined 

    (보통 기본값인 위와 같이 CustomLog /usr/local/apache/logs/access_log common  하면 된다)

     

    뒤에 붙은 common, combined 등은 httpd.conf 의 CustomLog 부분 바로 위에 LogFormat 이라는 이름으로 설정되어 있는 로그타입 중 하나이다.

    만약 자신의 httpd.conf 에 combined 라는 이름으로 정의된 LogFormat 이 없다면 다음과 같이 추가하도록 한다.(보통 다 있다)


    LogFormat "%h %l %u %t \"%r\" %>s %b \"%{Referer}i\" \"%{User-Agent}i\"" combined

     

    한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기존에 남아있던 로그내용이 현재의 새로 세팅한 로그내용과 달라서 AWStats 를 실행해도 분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아직 변경된 httpd.conf 의 내용을 웹서버가 읽어들이지 않았으므로

    1. 기존의 로그파일을 삭제하고

    2. 웹서버를 새로 시작하도록 한다. ( /usr/local/apache/bin/apachectl restart )

     

    그리고 나서 브라우저로 웹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로그파일(access_log)을 열어보도록 하자.

    다음과 같은 식으로 로그가 남으면 AWStats 를 실행할 준비가 끝난 것이다.

     

    62.161.78.75 - - [dd/mmm/yyyy:hh:mm:ss +0000] "GET / HTTP/1.1" 200 1234 "http://www.from.com/from.html" "Mozilla/4.0 (compatible; MSIE 5.01; Windows NT 5.0)"

     

    자신에게 적당한 AWStats 파일을 다운받도록 한다.

    awstats-6.1.tgz 를 /usr/local 에 다운받았다고 가정하자.

    tar xzvf awstats-6.1.tgz 라고 입력하면, /usr/local/awstats-6.1 이라는 경로 밑으로 파일들이 생성될 것이다.

    /usr/local/awstats-6.1/wwwroot/cgi-bin 으로 이동한 다음 awstats.pl, awstats.model.conf 파일과 lang, lib, plugins 서브디렉토리를 웹서버의 cgi-bin 디렉토리( /usr/local/apache/cgi-bin)로 복사한다. 

     

    (필자의 경우는 다운받은 다음 압축을 풀었는데 lang 디렉토리가 없었다. 아마 미러링 하는곳에서 압축을 잘못했던가 그랬던거 같다. 그래서 다른파일을 다운받은 다음 lang 디렉토리만 복사해 넣었다. Lang 디렉토리에는 AWStats 의 결과파일 생성시 언어변환 부분이 담겨 있으므로 중요하다. 없으면 다른파일에서라도 추출해서 꼭 복사해 넣도록 하자)

     

    그리고 마찬가지로 /usr/local/awstats-6.1/wwwroot/icon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들을 웹문서 루트경로인 /home/계정명디렉토리/public_html/icon 정도에 복사하면 될 것이다.

     

    /usr/local/apache/cgi-bin  디렉토리에 있는  awstats.model.conf 파일을 awstats.자기도메인명(myvirtualhostname).conf 으로 하나를 더 만든 후 /usr/local/awstats-6.1/wwwroot/cgi-bin 에 복사한다.

     

    awstats.자기도메인명(myvirtualhostname).conf 파일을 열고 다음의 내용을 편집한다.

     

    1.LogFile 의 내용을 웹서버의 httpd.conf 에서 설정한 것과 동일하게 셋팅한다.

    (위에서 /usr/local/apache/logs/access_log    와 같이 셋팅했다)

    2.LogFormat 을 1로 설정한다(기본 1, NCSA apache combined/ELF/XLF로그포맷의 의미)

    3.DirIcons 를 위에서 icon 을 복사한 그 경로로 설정해준다.(보통 /icon 으로 셋팅한다) 

    4.SiteDomain 을 자신의 웹서버의 도메인명으로 설정해준다. ( mydoman.com 같은식으로 )

    5.웹로그 분석내용이 한글로 보길 원하면, Lang 파라메터 부분을 찾아서 Lang="kr"로 수정.

     

    그 외에 필요한 부분은 읽어보고 수정을 하면 된다.(더 이상 할거 없당)

    설정내용을 보면 웹페이지상에서 웹로그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비롯해서 다양한 부가기능이 있다. 한번씩 시도해 보기 바란다.

     

    웹로그로부터 통계파일 생성하기

     

    우선 telnet 커맨드상에서 다음과 같이 실행해보도록 하자.

    스크립트 1

    ./awstats.pl -config=myvirtualhostname -update

    위의 라인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awstats.myvirtualhostname.conf 파일이 있어야 한다. 만약 이 파일이 없으면 awstats.conf 파일을 로딩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식의 결과가 출력될 것이다.

     

    Lines in file: 225730 Found 5 dropped records, Found 124 corrupted records, Found 0 old records, Found 225601 new records.


    다만 방금 로그파일을 삭제했던 사용자라면 로그가 얼마 없으므로 위와 같은 정도의 결과는 나오지 않을 것이다. 위와 같이 수행하면 웹로그파일을 분석한 결과가 텍스트로 cgi-bin 이하에 저장된다.

     

    웹로그가 쌓여도 위의 커맨드를 실행하지 않으면 반영되지 않으므로 crontab 등을 이용해서 정기적으로 통계내용을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awstats 의 권고안이다.

    - 10,000 visitors a month Launch AWStats once a day

    - 50,000 visitors a month Launch AWStats once every 4 hours

    - 250,000 visitors a month Launch AWStats once an hour

    - 1,000,000 visitors a month Launch AWStats once an hour

     

    위 얘기가 이얘기다.    한달에~
    - 10,000명의 방문자가 있다면 하루에 한번
    - 50,000명의 방문자가 있다면 매 4시간에 한번
    - 250,000명의 방문자가 있다면 한시간마다
    - 1,000,000명의 방문자가 있다면 한시간마다. 

    통계결과 읽기 통계파일을 읽어서 결과물로 html을 생성하도록 한다. 공식문서에는 하나하나 차례대로 만드는 걸 먼저 설명하고 있지만, 그렇게 할 부지런한(?) 독자는 없을거라 생각하고, 아주 게으르고 편리한 방법으로 해보도록 하자.

     

    awstats 를 처음 설치한 곳(/usr/local/awstats-6.1/tools/)를 보면 awstats_buildstaticpages.pl 이라는 파일이 있다. 이 펄 스크립트가 귀찮은 처리과정을 한번에 해결해주는 유틸리티이다.

    다음과 같이 입력해 보자.

     

    스크립트 2

    /usr/local/awstats-6.1/tools/awstats_buildstaticpages.pl -config=자기도메인명(myvirtualhostname) -awstatsprog=/usr/local/apache/cgi-bin/awstats.pl -dir=/usr/local/apache/htdocs/stats

     

    이와 같이 입력하면 각종 결과들이 /usr/local/apache/htdocs/stats 디렉토리에 만들어진다. (stats 디렉토리는 미리 만들어져 있어야 한다.)

    -awstatsprog 는 awstats.pl 이 있는 cgi-bin의 경로이고,

    -dir 은 결과가 만들어질 디렉토리이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스크립트 1 이 수행될때마다 스크립트 2를 수행해야 한다. crontab 에 시간차를 두고 두번 등록할 것인가? 이 또한 깔끔하지 못하다.

    이 문제는 단지 스크립트 2 의 뒤에다가 -update 옵션을 붙여주는 것으로 간단히 해결된다.

     

    /usr/local/awstats-6.1/tools/awstats_buildstaticpages.pl -config=자기도메인명(myvirtualhostname) -awstatsprog=/usr/local/apache/cgi-bin/awstats.pl -dir=/usr/local/apache/htdocs/stats -update


    그리고 바로 위의 내용을 그대로 카피해서 stats.cron 라는 화일로 만들어서 /etc/cron.daily/ 또는 /etc/cron.hourly/에 복사해넣으면 간단하게 해결된다.

     

    물론 이렇게 하면 처음에 설정했던 crond 작업(스크립트 1)은 crond 에서 제거해야 불필요한 서비스가 실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젠 웹브라우저에서 확인만 하면 된다.

    awstats.자기도메인명(myvirtualhostname).conf 의 자기도메인명(myvirtualhostname)을 아래에 적용한다.

     

    http://나의도메인주소/cgi-bin/awstats.pl?config=자기도메인명(myvirtualhostname 엔터

     

    끝이당...^^

     

     

    Posted by tornado
    |

    13장. 시스템과 관리자용 명령어

    시스템과 관리자용 명령어의 좋은 예는 /etc/rc.d 에 있는 시작, 종료 스크립트들입니다. 이 명령어들은 보통 시스템 관리나 파일시스템을 긴급하게 고치려고 할 때 루트가 사용합니다. 이들 몇몇은 잘못 쓰면 시스템을 망가트릴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를 요합니다.

    사용자와 그룹

    chown, chgrp

    chown 명령어는 파일의 소유권을 바꿔줍니다. root가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파일을 다른 사용자용으로 바꾸려고 할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파일조차도 소유권을 바꿀 수 없습니다. [1]

    root# chown bozo *.txt  

    chgrp 명령어는 파일의 그룹 소유권을 바꿔줍니다. 이 명령어를 쓰려면 그 파일의 소유자이고 바꾸려는 그룹의 멤버여야 합니다(혹은 root이거나).

    chgrp --recursive dunderheads *.data # $PWD 디렉토리의 모든 하위 디렉토리("recursive"에 의해)의 # 모든 "*.data" 파일들은 "dunderheads" 그룹이 그 소유권을 갖습니다.

    useradd, userdel

    관리자용 명령어인 useradd는 시스템에 사용자 계정을 추가해 주고 그 사용자용으로 지정된 홈 디렉토리를 만들어 줍니다. useradd와 쌍을 이루는 userdel는 시스템에서 사용자 계정을 삭제해 주고 [2] 해당 파일들도 삭제해 줍니다.

    참고: adduser 명령어는 useradd의 동의어로서, 보통 useradd를 가르키는 심볼릭 링크 파일입니다.

    id

    id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의 실제 ID와 유효 사용자 ID, 그룹 ID를 보여줍니다. 내부 bash 변수인 $UID, $EUID, $GROUPS와 짝을 이룹니다.

    bash$ id 
    uid=501(bozo) gid=501(bozo) groups=501(bozo),22(cdrom),80(cdwriter),81(audio)
    bash$ echo $UID 501

    예 9-4 참고.

    who

    시스템에 현재 로그인해 있는 모든 사용자를 보여줍니다.

    bash$ who 
    bozo tty1 Apr 27 17:45 bozo pts/0 Apr 27 17:46 
    bozo pts/1 Apr 27 17:47 bozo pts/2 Apr 27 17:49 

    -m을 주면 오직 현재 사용자에 대한 자세한 정보만을 보여줍니다. who am iwho The Man처럼 who에 아무 인자나 두 개 넘겨주면 who -m 이라고 한 것과 같습니다.

    bash$ who -m localhost.localdomain!bozo pts/2 Apr 27 17:49 

    whoamiwho -m 과 비슷하지만 사용자 이름만 보여줍니다.

    bash$ whoami bozo 

    w

    로그인 되어 있는 사용자와 그 사용자와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 줍니다. 이는 who의 확장 버전인데, w의 출력에 grep으로 파이프를 걸어서 특정한 사용자나 프로세스를 찾을 수 있습니다.

    bash$ w | grep startx bozo tty1 - 4:22pm 6:41 4.47s 0.45s startx
    logname

    현재 사용자의 로그인 이름을 /var/run/utmp에서 찾아서 보여줍니다. 위에서 설명한 whoami와 거의 동일한 명령어입니다.

    bash$ logname bozo bash$ whoami bozo

    그렇지만...

    bash$ su Password: ...... bash# whoami root bash# logname bozo
    su

    다른 사용자(substitute user)로 프로그램이나 스크립트를 실행 시킵니다. rjones란 사용자로 쉘을 새롭게 시작하고 싶으면 su rjones라고 하면 됩니다. 옵션 없이 su만 실행시키면 기본적으로 root 로 받아들입니다. 예 A-10를 참고하세요.

    users

    로그인 하고 있는 모든 사용자를 보여줍니다. 이 명령어는 who -q 와 거의 비슷한 명령어입니다.

    ac

    사용자가 로그인 해 있던 시간을 /var/log/wtmp 에서 읽어서 보여줍니다. 이 명령어는 GNU 계정 유틸리티(accounting utility) 중 하나입니다.

    bash$ ac  total 68.08
    last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로그인 한 시간을 /var/log/wtmp에서 읽어서 보여줍니다. 이 명령어는 외부에서 로그인 한 정보도 보여줄 수 있습니다.

    groups

    현재 사용자가 속해 있는 그룹을 보여줍니다. 내부 변수인 $GROUPS에 해당하는 명령어이지만 숫자가 아닌 그룹 이름으로 보여줍니다.

    bash$ groups bozita cdrom cdwriter audio xgrp 
    bash$ echo $GROUPS 501
    newgrp

    로그아웃 없이 사용자의 그룹 ID를 변경하기. 이 명령어를 쓰면 새 그룹의 파일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사용자는 보통 동시에 여러 그룹의 멤버이기 때문에 이 명령어를 쓸 일은 별로 없습니다.

    터미널

    tty

    현재 사용자의 터미널 이름을 보여줍니다. 서로 다른 한텀, 엑스텀 윈도우는 서로 다른 터미널로 인식되는것에 주의하세요.

    bash$ tty /dev/pts/1
    stty

    터미널 세팅을 보여주거나 변경해 줍니다. 이 복잡한 명령어는 스크립트에서 쓰여 터미널 동작이나 출력하는 방법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info 페이지를 참고하고, 조심해서 공부하세요.

    예 13-1. 지움 글자(erase character) 세팅하기

    #!/bin/bash # erase.sh: "stty"로 입력시의 지움 글자(erase character)를 세트하기.
     echo -n "이름이 뭐에요? " 
    read name # 아무 글자나 치고 지우려고 해보세요. # 안 될 겁니다. 
    echo "이름이 $name 군요." 
    stty erase '#' # "hashmark" (#) 를 지움 글자로 세트. 
    echo -n "이름이 뭐죠? " 
    read name # 마지막에 친 글자를 # 으로 지워보세요. 
    echo "$name 가 당신 이름이군요." exit 0

    예 13-2. 비밀스런 비밀번호: 터미널 에코 끄기

    #!/bin/bash echo echo -n "비밀번호를 넣으세요 " 
    read passwd 
    echo "비밀번호는 $passwd 입니다." 
    echo -n "누군가가 어깨 너머로 당신을 보고 있었다면, " 
    echo "당신의 비밀번호를 알아냈을 수도 있습니다." 
    echo && echo # "and list"로 묶인 라인 피드 두 줄" 
    stty -echo # 화면 에코를 끕니다. echo -n "비밀번호를 다시 넣으세요 " 
    read passwd echo echo "비밀번호는 $passwd 입니다." 
    echo stty echo # 화면 에코를 킵니다. exit 0

    stty를 창조적으로 써서 사용자가 ENTER를 안 눌러도 어떤 키를 눌렀는지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예 13-3. 키누름 알아내기

    #!/bin/bash # keypress.sh: 키누름 알아내기("hot keyboard"). 
    echo old_tty_settings=$(stty -g) # 현재 세팅을 저장. 
    stty -icanon Keypress=$(head -c1) # 
    GNU 시스템이 아니라면 
    # $(dd bs=1 count=1 2> /dev/null) 
    echo echo "\""$Keypress"\" 키가 눌렸습니다." 
    echo stty "$old_tty_settings" 
    # 원래 세팅으로 복구. 
    # Thanks, Stephane Chazelas. exit 0

    예 9-3 참고.

    tset

    터미널 세팅을 보여주거나 초기화 함. stty보다 기능이 떨어집니다.

    bash$ tset -r Terminal type is xterm-xfree86. Kill is control-U (^U). Interrupt is control-C (^C). 

    setserial

    시리얼 포트 매개변수를 세트하거나 보여줍니다. 루트로 실행시켜야 하고 보통은 시스템 셋업 스크립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 /etc/pcmcia/serial 스크립트에서 발췌: IRQ=`setserial /dev/$DEVICE | sed -e 's/.*IRQ: //'` setserial /dev/$DEVICE irq 0 ; setserial /dev/$DEVICE irq $IRQ

    getty, agetty

    터미널용 초기화 프로세스가 gettyagetty를 써서 사용자의 로그인을 설정해 줍니다. 이 명령어들은 사용자의 쉘 스크립트에서 쓰이지 않기 때문에 쉘 스크립트에서 이런 기능을 쓰려면 stty를 쓰기 바랍니다.

    mesg

    현재 사용자의 터미널에 대한 쓰기 접근을 제어합니다. 접근을 못 하게 설정되면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사용자가 현재 터미널로 write를 하지 못하게 해 줍니다.

    작은 정보: 여러분이 텍스트 파일을 편집하고 있는데 갑자기 피자 주문 메세지가 뜨면 아주 짜증날 것입니다. 다중 사용자 네트워크에서는, 방해받기 싫을 때 여러분의 터미널에 대한 쓰기 접근을 막고 싶은 경우가 생길겁니다.

    wall

    "write all"의 앞글자를 따서 wall이 된 이 명령어는 현재 로그인 되어 있는 모든 사용자에게 메세지를 날립니다. 원래는 유용한 시스템 관리자용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서 잠깐 동안 다운 시켜야 할 필요가 생겼을 때 모든 사용자들에게 경고를 할 수 있게 해 줍니다(예 17-2 참고).

    bash$ wall System going down for maintenance in 5 minutes! Broadcast message from bozo (pts/1) Sun Jul 8 13:53:27 2001... System going down for maintenance in 5 minutes! 

    참고: mesg로 쓰기가 막혀있는 터미널은 wall 메세지를 받을 수 없습니다.

    dmesg

    시스템 부팅 메세지를 표준출력으로 보여 줍니다. 디버깅 할 때, 어떤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설치됐는지 확인할 때, 사용중인 시스템 인터럽트가 무엇인지 확인할 때 편하게 쓸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에서 dmesg의 출력을 grep이나 sed, awk로 파싱해서 쓸 수 있습니다.

    정보및 통계

    uname

    시스템 사양(OS, 커널 버전등)을 표준출력으로 보여줍니다. -a 옵션을 주면 시스템 정보를 아주 자세하게 보여주고(예 12-4 참고), -s 옵션을 주면 OS 종류만 보여줍니다.

    bash$ uname -a Linux localhost.localdomain 2.2.15-2.5.0 #1 Sat Feb 5 00:13:43 EST 2000 i686 unknown bash$ uname -s Linux
    arch

    시스템 아키텍쳐를 보여줍니다. uname -m 과 동일한 명령어입니다. 예 10-24를 참고하세요.

    bash$ arch i686 bash$ uname -m i686
    lastcomm

    /var/account/pacct 파일에 저장돼 있는 이전 명령어들에 대한 정보를 알려줍니다. 옵션으로 명령어와 사용자 이름을 지정해 줄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GNU 계정 유틸리티(accounting utility)중의 하나입니다.

    lastlog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시간을 보여줍니다. 이 명령어는 /var/log/lastlog 파일을 참조합니다.

    bash$ lastlog root tty1 Fri Dec 7 18:43:21 -0700 2001 bin **Never logged in** daemon **Never logged in** ... bozo tty1 Sat Dec 8 21:14:29 -0700 2001 bash$ lastlog | grep root root tty1 Fri Dec 7 18:43:21 -0700 2001 

    경고

    /var/log/lastlog 파일에 읽기 퍼미션이 없는 사용자가 이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실패합니다.

    lsof

    현재 열려 있는 파일들을 보여줍니다. 이 명령어는 현재 열려 있는 모든 파일들에 대한 자세한 표와 각각의 파일에 대한 소유자, 크기, 관련 프로세스등의 정보를 보여 줍니다. 당연히, lsof의 출력은 파이프를 통해 grepawk로 넘겨서 파싱해서 분석할 수 있습니다.

    bash$ lsof COMMAND PID USER FD TYPE DEVICE SIZE NODE NAME init 1 root mem REG 3,5 30748 30303 /sbin/init init 1 root mem REG 3,5 73120 8069 /lib/ld-2.1.3.so init 1 root mem REG 3,5 931668 8075 /lib/libc-2.1.3.so cardmgr 213 root mem REG 3,5 36956 30357 /sbin/cardmgr ... 

    strace

    시스템 콜과 시그널을 추적해서 진단하고 디버깅해 주는 도구입니다. 가장 간단하게 실행시키는 방법은 strace COMMAND라고 치는 것입니다.

    bash$ strace df execve("/bin/df", ["df"], [/* 45 vars */]) = 0 uname({sys="Linux", node="bozo.localdomain", ...}) = 0 brk(0) = 0x804f5e4 ... 

    이 명령어는 리눅스에서의 truss 입니다.

    free

    메모리와 캐쉬 사용량을 탭이 들어간 형태로 보여줍니다. 이 명령어의 출력은 grep이나, awk, Perl을 써서 파싱하기에 알맞은 형태입니다. procinfo 명령어는 free가 보여주는 정보 이외에 더 많은 정보도 보여줍니다.

    bash$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30504 28624 1880 15820 1608 16376 -/+ buffers/cache: 10640 19864 Swap: 68540 3128 65412

    사용하지 않는 램 용량을 보려면:

    bash$ free | grep Mem | awk '{ print $4 }' 1880
    procinfo

    /proc 가상 파일시스템에서 여러 정보와 통계를 뽑아내서 광범위하고 자세하게 보여 줍니다.

    bash$ procinfo | grep Bootup Bootup: Wed Mar 21 15:15:50 2001 Load average: 0.04 0.21 0.34 3/47 6829
    lsdev

    설치된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bash$ lsdev Device DMA IRQ I/O Ports ------------------------------------------------ cascade 4 2 dma 0080-008f dma1 0000-001f dma2 00c0-00df fpu 00f0-00ff ide0 14 01f0-01f7 03f6-03f6 ... 

    du

    디스크의 파일 사용량을 재귀적으로 보여줍니다. 특별히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디렉토리에 대해서 동작합니다.

    bash$ du -ach 1.0k ./wi.sh 1.0k ./tst.sh 1.0k ./random.file 6.0k . 6.0k total
    df

    파일시스템 사용량을 탭이 들어간 형태로 보여 줍니다.

    bash$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hda5 273262 92607 166547 36% / /dev/hda8 222525 123951 87085 59% /home /dev/hda7 1408796 1075744 261488 80% /usr
    stat

    주어진 파일(디렉토리나 디바이스 파일도)에 대해서 자세한 통계(statistics)를 알려줍니다.

    bash$ stat test.cru  File: "test.cru" Size: 49970 Allocated Blocks: 100 Filetype: Regular File Mode: (0664/-rw-rw-r--) Uid: ( 501/ bozo) Gid: ( 501/ bozo) Device: 3,8 Inode: 18185 Links: 1 Access: Sat Jun 2 16:40:24 2001 Modify: Sat Jun 2 16:40:24 2001 Change: Sat Jun 2 16:40:24 2001 

    존재하지 않는 파일에 대해서 stat을 실행시키면 에러 메세지를 냅니다.

    bash$ stat nonexistent-file nonexistent-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vmstat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통계(statistics)를 보여줌.

    bash$ vmstat  procs memory swap io system cpu r b w swpd free buff cache si so bi bo in cs us sy id 0 0 0 0 11040 2636 38952 0 0 33 7 271 88 8 3 89 

    netstat

    라우팅 테이블이나 활성화되어 있는 네트워크 연결같은 네트워크 통계와 정보를 보여 줍니다. 이 유틸리티는 /proc/net(28장)에서 정보를 얻어 옵니다. 예 28-2을 참고하세요.

    uptime

    시스템이 얼마나 오랫동안 돌고 있었는지 관련 통계와 함께 보여줍니다.

    bash$ uptime 10:28pm up 1:57, 3 users, load average: 0.17, 0.34, 0.27
    hostname

    시스템의 호스트명을 보여줍니다. 이 명령어는 /etc/rc.d 에 들어 있는 셋업 스크립트에서 호스트명을 설정해 줍니다(/etc/rc.d/rc.sysinit이나 비슷한 스크립트). uname -n과 동일한 명령어이고 내부 변수인 $HOSTNAME과 연관이 있습니다.

    bash$ hostname localhost.localdomain bash$ echo $HOSTNAME localhost.localdomain
    hostid

    호스트 머신에 대한 32비트 16진수 구분자를 에코해 줍니다.

    bash$ hostid 7f0100

    참고: 이 명령어는 특정 시스템에 대해 "유일한"(unique) 시리얼 숫자를 구해줍니다. 몇몇 상업용 제품의 등록 과정에서 이 숫자를 이용해 사용자 라이센스를 만들어 냅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hostid는 오직 네트워크 주소를 두 바이트 단위로 뒤집어 16진수로 리턴해 줍니다.

    네트워크에 물리지 않은 리눅스 머신의 전형적인 네트워크 주소는 /etc/hosts에서 알아낼 수 있습니다.

    bash$ cat /etc/hosts 127.0.0.1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

    공교롭게도 127.0.0.1을 두 바이트 단위로 뒤집으면 0.127.1.0이 되고 이를 16진수로 변환하면 007f0100이 되는데 이는 위에서 살펴본 hostid가 리턴하는 값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결국 동일한 hostid를 갖는 리눅스 머신이 수 백만 개가 존재하게 되는 것입니다.

    시스템 로그

    logger

    사용자가 만들어낸 메세지를 시스템 로그(/var/log/messages)에 추가 시킵니다. 이 명령어는 일반 사용자도 쓸 수 있습니다.

    logger Experiencing instability in network connection at 23:10, 05/21. # 자, 이제 'tail /var/log/messages' 라고 해 보세요.

    스크립트에 logger 명령어를 넣어서 디버깅 정보를 /var/log/messages에 쓸 수 있습니다.

    logger -t $0 -i Logging at line "$LINENO". # "-t" 옵션은 logger 엔트리용 태그를 지정합니다. # "-i" 옵션은 프로세스 ID를 지정합니다. # tail /var/log/message # ... # Jul 7 20:48:58 localhost ./test.sh[1712]: Logging at line 3.

    logrotate

    이 유틸리티는 시스템 로그 파일들을 적당하게 로테이트 시키고, 압축하고, 지우고, 메일을 보내는 일들을 처리해 줍니다. 보통 crondlogrotate를 가장 기본적인 하루 일과로 삼습니다.

    /etc/logrotate.conf에 적당한 내용을 적어주면 시스템 전체 로그뿐만 아니라 개인용 로그 파일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작업 제어

    ps

    프로세스 통계(Process Statistics):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들을 사용자와 PID(프로세스 아이디)에 의해서 보여줌. 보통은 ax 옵션을 줘서 부르고, grep이나 sed로 파이프를 걸어서 특정 프로세스를 찾습니다(예 11-8예 28-1 참고).

    bash$  ps ax | grep sendmail 295 ? S 0:00 sendmail: accepting connections on port 25
    pstree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나무"(tree) 형태로 보여 줍니다. -p 옵션을 주면 프로세스 이름뿐만 아니라 PID까지 보여 줍니다.

    top

    cpu를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최신 정보를 계속 보여줍니다. -b 옵션은 결과를 텍스트 모드로 보여주기 때문에 파싱을 하거나 스크립트에서 접근할 수가 있습니다.

    bash$ top -b  8:30pm up 3 min, 3 users, load average: 0.49, 0.32, 0.13 45 processes: 44 sleeping, 1 running, 0 zombie, 0 stopped CPU states: 13.6% user, 7.3% system, 0.0% nice, 78.9% idle Mem: 78396K av, 65468K used, 12928K free, 0K shrd, 2352K buff Swap: 157208K av, 0K used, 157208K free 37244K cached PID USER PRI NI SIZE RSS SHARE STAT %CPU %MEM TIME COMMAND 848 bozo 17 0 996 996 800 R 5.6 1.2 0:00 top 1 root 8 0 512 512 444 S 0.0 0.6 0:04 init 2 root 9 0 0 0 0 SW 0.0 0.0 0:00 keventd ... 

    nice

    백그라운드 작업의 우선순위를 바꿔줍니다. 우선순위는 19(제일 낮음)에서 -20(제일 높음)까지 인데, 오직 root만이 음수(높은) 우선순위를 줄 수 있습니다. 관련 명령어로는 renice, snice, skill이 있습니다.

    nohup

    사용자가 로그 아웃을 하더라고 명령어가 계속 돌게 해 줍니다. 명령어에 &를 붙여 실행하지 않으면 포그라운드로 실행이 될 것입니다. nohup을 스크립트에서 쓸 때는, 고아 프로세스나 좀비 프로세스가 생기지 않도록 wait과 같이 써야 합니다.

    pidof

    실행중인 작업의 프로세스 ID(pid)를 식별해 줍니다. kill이나 renice같은 작업 제어 명령어들은 프로세스 이름이 아니라 pid에 대해 동작하기 때문에 종종 pid로 구분할 필요가 생깁니다. pidof 명령어는 내부 변수인 $PPID와 거의 쌍을 이룹니다.

    bash$ pidof xclock 880 

    예 13-4. pidof 로 프로세스를 죽이기

    #!/bin/bash # kill-process.sh NOPROCESS=2 process=xxxyyyzzz # 존재하지 않는 프로세스를 가지고, # 그냥 데모용임... # ... 실제로 돌고 있는 어떤 프로세스도 죽이려고 하는게 아니니까. # # 하지만, 예를 들어 인터넷에서 로그오프하고 싶다면 #+ process=pppd #+ 됩니다. t=`pidof $process` # $process의 pid(프로세스 ID)를 찾고, # 'kill'은 프로그램 이름이 아니라 pid를 쓰기 때문에 if [ -z "$t" ] # 해당 프로세스가 없다면 'pidof'는 널을 리턴함. then echo "$process 는 현재 실행중이 아니므로 그냥 종료합니다." exit $NOPROCESS fi kill $t # 잘 죽지 않는 프로세스라면 'kill -9'라고 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 죽지 않게 돼 있는 프로세스일수도 있기 때문에 # 다시 한 번 " t=`pidof $process` " 로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위 전체 스크립트는 # kill $(pidof -x process_name) # 이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면 교육적이지는 않은것 같군요. exit 0
    fuser

    어떤 파일이나, 파일 집합, 디렉토리에 접근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PID로 식별해 줍니다. -k 옵션을 쓰면 해당 프로세스를 죽일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시스템 보안 차원에서 아주 흥미로운 구현인데 주로 스크립트에서 쓰여 시스템 서비스에 대해 허가 받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막는 용도로 쓰입니다.

    crond

    시스템 관리용 스케쥴러 프로그램으로서, 시스템 로그 파일을 정리하고 지운다거나 slocate 데이타 베이스를 업데이트 하는 등의 일을 해 줍니다. at의 루트 사용자 버전용 명령어입니다(물론, 각 사용자는 crontab 명령어를 써서 자신만의 crontab 파일을 가질수도 있습니다). 데몬으로 돌면서 /etc/crontab의 내용들을 스케쥴에 따라 실행시켜 줍니다.

    프로세스 제어및 부팅

    init

    init 명령어는 모든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로서, 시스템 부팅 과정의 제일 마지막에 불리면서 /etc/inittab을 읽어서 시스템의 런레벨을 결정합니다. 오직 루트만이 별명인 telinit으로 부를 수 있습니다.

    telinit

    init를 가르키는 심볼릭링크로서, 시스템 런레벨을 바꿀 때 쓰는데 보통은 시스템 관리나 긴급하게 파일시스템을 수리해야 할 때 씁니다. 오직 루트만 이 명령어를 쓸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아주 위험하기 때문에 쓰기 전에 이 명령어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runlevel

    현재와 바로 전의 런레벨을, 시스템이 정지 상태인지(런레벨 0), 단일 사용자 모드인지(1), 다중 사용자 모드인지(23), X 윈도우 모드인지(5), 리부팅 중인지(6)등으로 보여 줍니다. 이 명령어는 /var/run/utmp 파일을 통해 정보를 얻어 옵니다.

    halt, shutdown, reboot

    보통 시스템 전원을 끄기 전에 시스템을 정지시키는 명령어들.

    네트워크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및 튜닝 유틸리티. 이 명령어는 부팅시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때나 리부팅때 인터페이스를 내리기 위해 쓰입니다.

    # /etc/rc.d/init.d/network 의 일부분 # ... # 네트워킹이 가능한지 확인. [ ${NETWORKING} = "no" ] && exit 0 [ -x /sbin/ifconfig ] || exit 0 # ... for i in $interfaces ; do if ifconfig $i 2>/dev/null | grep -q "UP" >/dev/null 2>&1 ; then action "Shutting down interface $i: " ./ifdown $i boot fi # "grep"의 GNU 전용인 "-q" 옵션은 "quiet"를 뜻하고, 어떤 출력도 하지 않게 합니다. # 따라서 출력을 /dev/null 로 재지향 하는 것이 꼭 필요하지 않습니다. # ... echo "현재 동작중인 디바이스:" echo `/sbin/ifconfig | grep ^[a-z] | awk '{print $1}'` # ^^^^^ globbing 을 막기 위해 쿼우트 시켜야 합니다. # 다음도 역시 동작합니다. # echo $(/sbin/ifconfig | awk '/^[a-z]/ { print $1 })' # echo $(/sbin/ifconfig | sed -e 's/ .*//') # S.C.가 주석을 더 넣어 줬습니다. 고마워요.
    예 30-5 참고.

    route

    커널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보거나 바꿀 수 있게 해 줍니다.

    bash$ rout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SS Window irtt Iface pm3-67.bozosisp * 255.255.255.255 UH 40 0 0 ppp0 127.0.0.0 * 255.0.0.0 U 40 0 0 lo default pm3-67.bozosisp 0.0.0.0 UG 40 0 0 ppp0 

    chkconfig

    네트워크 설정을 체크해줌. 이 명령어는 /etc/rc?.d 디렉토리에 들어있고 부팅시 시작되는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보여주고 관리해 줍니다.

    원래는 IRIX에 있던 것을 레드햇 리눅스가 포팅한 것으로 다른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기본 설치에 속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bash$ chkconfig --list atd 0:off 1:off 2:off 3:on 4:on 5:on 6:off rwhod 0:off 1:off 2:off 3:off 4:off 5:off 6:off ... 

    tcpdump

    네트워크 패킷 "스니퍼". 주어진 기준에 맞는 패킷 헤더의 덤프를 떠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해 줍니다.

    bozovillecaduceus 두 호스트간의 IP 패킷 트래픽을 덤프:

    bash$ tcpdump ip host bozoville and caduceus 

    당연히 tcpdump의 출력은 앞에서 논의했던 텍스트 처리 유틸리티들을 이용해서 파싱할 수가 있습니다.

    파일시스템

    mount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해 줍니다. 보통은 플로피나 시디롬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 대해서 쓰입니다. /etc/fstab에 가능한 파일시스템이나 파티션, 디바이스, 옵션등을 적어 놓으면 자동이나 수동으로 마운트를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etc/mtab 파일은 /proc 같은 가상 파일시스템도 포함해서 현재 마운트 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을 보여 줍니다.

    mount -a/etc/fstab에 들어 있는 파일 시스템과 파티션중에 noauto 옵션이 있는 항목만 빼고 모두 마운트 해 줍니다. 부팅될 때, 모든 파티션이 마운트 되도록 /etc/rc.d 디렉토리에 들어 있는 시스템 구동 스크립트(rc.sysinit이나 비슷한 것)에서 이 명령어를 부릅니다.

    mount -t iso9660 /dev/cdrom /mnt/cdrom # CDROM 마운트 mount /mnt/cdrom # /mnt/cdrom 이 /etc/fstab 에 들어 있을 경우 짧게 부르기

    이 다재다능한 명령어는 보통 파일을 블럭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파일 시스템처럼 마운트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능력은 루프백 디바이스(loopback device)라고 하는 파일을 이용해서 가능해 집니다. 이 루프백 디바이스를 적용한 예로서, ISO9660 이미지를 CDR로 굽기 전에 마운트해서 테스트 해보는 것이 있습니다. [3]

    예 13-5. CD 이미지 확인하기

    # 루트로... mkdir /mnt/cdtest # 마운트 포인트가 없다면 준비함. mount -r -t iso9660 -o loop cd-image.iso /mnt/cdtest # 이미지 마운트. # "-o loop" 옵션은 "losetup /dev/loop0" 와 같음. cd /mnt/cdtest # 이제 이미지를 확인. ls -alR # 이미지에 들어있는 디렉토리 트리에 들어 있는 파일들을 나열. # 기타 등등...
    umount

    현재 마운트 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을 언마운트 해 줍니다. 이미 마운트 되어 있는 플로피나 시디롬 디스크를 빼기 전에 꼭 umount를 해 줘야 합니다. 안 그러면 파일 시스템이 깨질 수도 있습니다.

    umount /mnt/cdrom # 이제 이젝트 버튼을 눌러 디스크를 안전하게 뺄 수 있습니다.

    참고: automount 유틸리티가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다면 플로피나 시디롬 디스크에 접근시나 제거시에 자동으로 마운트와 언마운트를 할 수 있습니다. 플로피나 시디롬 드라이브를 꼈다 뺐다 할 수 있는 랩탑에서는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sync

    버퍼에 들어 있는 최신 데이타를 하드 드라이브로 즉시 쓰게 합니다(버퍼와 드라이브를 동기화). 이 명령어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시스템 관리자나 사용자에게 자신들이 변경한 데이타가 갑작스런 전원 이상에도 살아남을 수 있게 해 줍니다. 예전에는 sync; sync(아주 확실히 하기 위해서 두 번 내림)라고 해서 시스템을 리부팅하기 전의 유용한 예방책으로 쓰였습니다.

    파일을 안전하게 지우거나(예 12-33) 천장의 전등이 깜빡이기 시작했을 때 버퍼를 즉시 플러쉬시키고 싶을 때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losetup

    루프백 디바이스를 설정해 줍니다.

    예 13-6. 한 파일에서 한번에 파일 시스템 만들기

    SIZE=1000000 # 1 meg head -c $SIZE < /dev/zero > file 
    # 지정된 크기로 파일을 설정. losetup /dev/loop0 file
    # 루프백 디바이스로 설정. mke2fs /dev/loop0 
    # 파일 시스템 만들기. mount -o loop /dev/loop0 /mnt 
    # 마운트. # Thanks, S.C.
    mkswap

    스왑 파티션이나 스왑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이 명령어 다음에는 꼭 swapon으로 활성화를 시켜줘야 합니다.

    swapon, swapoff

    스왑 파티션이나 스왑 파일을 활성화/비활성화 시켜 줍니다. 이 명령어는 보통 부팅시나 셧다운시에 효력을 갖습니다.

    mke2fs

    리눅스 ext2 파일시스템을 만들어 줍니다. 이 명령어는 루트로 실행 시켜야 합니다.

    예 13-7. 새 하드 드라이브 추가하기

    #!/bin/bash # 시스템에 두 번째 하드 드라이브 추가하기. 
    # 소프트웨어 설정. 하드웨어가 이미 마운트돼 있다고 가정함. 
    # 본 문서의 저자가 "Linux Gazett", http://www.linuxgazette.com, 38호에
     # 쓴 기사에서 발췌. ROOT_UID=0 
    # 이 스크립트는 루트로 실행 시켜야 됩니다. E_NOTROOT=67 
    # root 가 아닌 경우의 종료 에러. 
    if [ "$UID" -ne "$ROOT_UID" ] then echo "이 스크립트는 루트만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exit $E_NOTROOT fi # 이 스크립트는 정말 주의해서 쓰기 바랍니다! # 만약 무언가가 잘못된다면 여러분의 파일 시스템을 홀라당 날려먹을 수 있습니다. NEWDISK=/dev/hdb # /dev/hdb 가 비어 있다고 가정함. 꼭 확인해 볼 것! MOUNTPOINT=/mnt/newdisk # 아니면 다른 마운트 포인트 지정. fdisk $NEWDISK mke2fs -cv $NEWDISK1 # 배드 블럭 확인및 자세한 출력. # 주의: /dev/hdb 가 *아니라* /dev/hdb1 입니다! mkdir $MOUNTPOINT chmod 777 $MOUNTPOINT # 새 드라이브는 모든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함. # 자, 테스트를 해 보죠. # mount -t ext2 /dev/hdb1 /mnt/newdisk # 디렉토리를 만들어 보고 잘 된다면 umount 한 다음 하던 일을 계속하면 됩니다. # 마지막 단계: # 다음을 /etc/fstab 에 추가해 주세요. # /dev/hdb1 /mnt/newdisk ext2 defaults 1 1 exit 0

    예 13-6예 29-3 도 참고하세요.

    tune2fs

    ext2 파일 시스템을 튜닝해 줍니다. 최대 마운트 숫자같은 파일 시스템 매개변수를 바꾸는데 쓰일 수 있습니다. 루트로 실행해야 됩니다.

    주의

    이 명령어는 굉장히 위험합니다. 부주의하게 쓴다면 여러분 파일 시스템을 박살낼 수도 있기 때문에 여러분 스스로 책임을 지고 써야 합니다.

    dumpe2fs

    아주 자세한 파일 시스템 정보를 표준출력으로 덤프해 줍니다. 루트로 실행되야 합니다.

    root# dumpe2fs /dev/hda7 | grep 'ount count' dumpe2fs 1.19, 13-Jul-2000 for EXT2 FS 0.5b, 95/08/09 Mount count: 6 Maximum mount count: 20
    hdparm
    Posted by tornado
    |
    운영체제가 부팅하면서 시작하는 작업인 로그파일에 대하여 알아본다. 현재의 시스템에서 일어나고 있는 모든 작업이 로그파일에 기록이 된다. 그러므로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로그분석이다. 로그파일은 서비스하고 있는 상황에 따라 하루에 몇기가씩 쌓일 수도 있다. 운영체제와 외부에 서비스하고 있는 로그파일만으로 하드디스크가 꽉 채워질 수 있고 DDOS 등의 공격을 받아서도 짧은 시간에 엄청난 속도로 늘어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정확하게 분석하는 작업과 함께 주기적으로 파일을 로테이션시켜 부하를 줄여야 한다.





    1. 로그파일의 종류

    리눅스에서 로그파일은 일반적으로 /var/log에 기록이 된다. 로그파일은 운영하는 서비스에 따라서 차이가 나며 syslog.conf 설정에 따라 다르다. (**주1**)

    파일명
    기능

    boot.log
    부팅 및 각종 서비스 시작 및 중지에 대한 기록

    cron.log
    크론 활동 관련 기록

    dmesg
    시스템 부팅 관련 기록

    lastlog
    사용자의 마지막 로그인 시간 기록 (last 명령 이용 확인)

    maillog
    메일 서비스 관련 기록

    messages
    커널 에러, 리부팅 메시지, 로그인 실패 등 시스템 콘솔에서 출력된 결과를 기록하고 syslog에 의하여 생성된 메시지도 기록

    secure
    로그인 인증 및 보안 관련 주요 로그

    wtmp
    사용자 로그인, 로그아웃 시간, 시스템 종료 시간등 기록

    (last 명령 이용 확인)

    xferlog
    ftp 접근 관련 기록

    utmp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한 상태 기록

    (w, who 등 이용 확인) 레드햇에서는 /var/run/wtmp에 있음

    .history
    사용자 홈디렉토리에 있으며 사용자가 쉘상에서 작업한 것을 기록











    사용자에 따라 sulog, pacct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여러 인터넷 서비스에 따라 로그기록을 한다. 또한 일반 텍스트 형태의 파일만 있는 것이 아니라 utmp, utmp 등 바이너리 형태로 로그 기록을 하는 경우도 있다. 로그파일은 시스템에서 발생했던 상황을 모두 기록으로 남기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출발점이 될 수 있으며 크래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utmp 파일은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 이름, 터미널 장치 이름, 원격 로그인시 원격 호스트 이름, 사용자가 로그인한 시간 등을 기록한다. 일반 텍스트 파일이 아니기 때문에 who, w 등을 이용하여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 w

    11:40pm up 18:25, 3 users, load average: 0.05, 0.05, 0.00

    USER TTY FROM LOGIN@ IDLE JCPU PCPU WHAT

    taejun pts/2 211.55.2.161 10:43am 1.00s 0.14s ? -

    taejun pts/5 211.52.1.151 10:53am 17:11 0.08s 0.08s -bash





    wtmp 파일은 사용자의 로그인과 로그아웃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시스템의 부팅이나 재부팅에 대한 내용도 포함을 하고 있는 중요한 파일이다. last를 이용하여 확인을 할 수 있다.

    lastlog 파일은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로그인을 한 기록을 남기며 시스템에 다시 로그인을 할때마다 갱신이 된다. lastlo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 lastlog

    Username Port From Latest

    root tty1 Sun Jul 15 02:54:21 +0900 2001

    bin **Never logged in**

    daemon **Never logged in**

    mail **Never logged in**

    nobody **Never logged in**

    mylove pts/1 211.50.6.251 Sun Jul 15 14:40:53 +0900 2001

    mysql **Never logged in**

    named **Never logged in**





    그런데 크래커가 바보가 아니라면 당연히 크래킹을 해놓고도 그 기록을 계속 남기지는 않을 것이다. 정상적인 로그인 절차를 거칠 경우 사용자의 접속 내역은 utmp, wtmp, lastlog에 기록을 하게 되지만 백도어나 rootkit 등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사실을 모를 수가 있다. 시스템 accounting 기능(**주2**) 을 이용하면 시스템에서 어떠한 프로그램이 얼마만큼 자원을 차지하고 있는지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그인한 사용자가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했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는 단서가 된다. 그렇지만 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는 아니며 별도로 설정을 해야 한다.

    history 파일은 각 사용자가 접속하여 어떠한 명령을 수록했는지 기록하고 있다. 히스토리 파일을 이용하여 공격자의 행위를 파악할 수 있다.

    secure 파일은 위에서 설명을 했던대로 보안과 관련한 로그를 기록하며 telnet, ftp, pop등 인중을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기록을 남긴다. 메일서버, 웹서버, 네임서버 등도 응용프로그램 차원에서 개별 로그를 남기며 특정한 서비스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먼저 로그기록부터 확인을 하여 문제점을 찾고 그 대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여기서 걸리는 문제는 계속 쌓여만 가는 로그파일을 계속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아주 간단하게 자신이 주로 살펴볼 필요가 있는 로그파일에 대하여 grep으로 뽑아내거나 전문적인 로그 관련 유틸리티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swatch 나 logcheck 등을 활용하기 바란다. (**주3) 로그 모니터링툴을 활용하는 경우 제대로 필터링을 하지 않으면 엄청난 스팸 메일이 되어 돌아온다는 것을 기억하기 바란다.





    2. 로그파일 설정 - syslog 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로깅 기능은 syslog를 이용하여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지정을 한다. 배포판 설치시 로그파일을 기록하는 패키지가 자동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패키지가 syslogd 패키지이다.



    # rpm -ql sysklogd

    /etc/logrotate.d/syslog

    /etc/rc.d/init.d/syslog

    /etc/rc.d/rc0.d/K99syslog

    /etc/rc.d/rc1.d/K99syslog

    /etc/rc.d/rc2.d/S30syslog

    /etc/rc.d/rc3.d/S30syslog

    /etc/rc.d/rc5.d/S30syslog

    /etc/rc.d/rc6.d/K99syslog

    /etc/syslog.conf

    /sbin/klogd

    /sbin/syslogd

    /usr/doc/sysklogd-1.3.31

    /usr/doc/sysklogd-1.3.31/ANNOUNCE

    /usr/doc/sysklogd-1.3.31/INSTALL

    /usr/doc/sysklogd-1.3.31/NEWS

    /usr/doc/sysklogd-1.3.31/README.1st

    /usr/doc/sysklogd-1.3.31/README.linux

    /usr/doc/sysklogd-1.3.31/Sysklogd-1.3.lsm

    /usr/man/man5/syslog.conf.5.gz

    /usr/man/man8/klogd.8.gz

    /usr/man/man8/sysklogd.8.gz

    /usr/man/man8/syslogd.8.gz





    시스템 로깅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부팅시 초창기에 실행이 된다. 이에 대한 설정은 /etc/syslog.conf를 이용한다. 아래 내용은 필자가 주석을 첨가하였다.





    # cat /etc/syslog.conf



    # Log all kernel messages to the console.

    # Logging much else clutters up the screen.

    kern.* /dev/console

    # 모든 커널 메시지를 콘솔로.



    # Log anything (except mail) of level info or higher.

    # Don't log private authentication messages!

    *.info;mail.none;authpriv.none /var/log/messages

    # 모든 info를 messages에 기록. 여기서 mail, authpriv 관련 기록은 제외



    # The authpriv file has restricted access.

    authpriv.* /var/log/secure

    # 모든 로그인 인증 관련 기록. su, login 등을 모두 여기 기록



    # Log all the mail messages in one place.

    mail.* /var/log/maillog

    # 모든 메일 메시지



    # Everybody gets emergency messages, plus log them on another

    # machine.

    *.emerg *

    # 비상 메시지(emerg)는 현재 로그인한 모든 사용자에게 알림



    # Save mail and news errors of level err and higher in a

    # special file.

    # uucp,news.crit /var/log/spooler

    # uucp, news 의 crit 정보 기록



    # Save boot messages also to boot.log

    local7.* /var/log/boot.log

    # 부트 메시지 기록





    설정파일은 매우 간단하다. 빈 행과 # 으로 시작되는 행은 무시된다. (참고로 리눅스는 BSD 형식으로 로그를 구성한다)



    설정행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facility.level destination



    facility는 메시지를 보내는 서브시스템의 이름이며 level(priority)은 메시지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facility는 다음과 같다.

    auth, authpriv, cron, daemon, kern, lpr, mail, news, syslog, user, uucp, local0 - local7



    facility에서 auth 대신 auth_priv를 사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읽어보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크론(cron, at), 대몬, 커널 메시지, 로컬에서 사용, 프린터, 메일, 뉴스, syslog, 사용자 레벨 메시지, UUCP.



    priority는 다음과 같으며 중요도에 따라 나열하고 있다.

    debug, info, notice, warning, warn (warning), err, error (err), crit, alert, emerg, panic (emerg)



    상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emerg : 시스템 패닉

    alert : 에러 경고. 즉각 알려야할 내용

    crit : 하드 장치 에러와 같은 임계 에러(critical error)

    err : 에러

    warn : 경고

    notice : 비임계 메시지

    info : 정보 메시지

    debug :문제 추적을 돕는 특수 정보

    만약 none 이라고 하면 그에 대한 모든 로그 메시지를 제외하라는 뜻이다.



    모든 facility 나 priority 를 지정하려면 * 를 쓰면 되며 여러개를 지정하려면 , 를 사용하면 된다. 그런데 여기서 반드시 알아두야할것이 priority를 지정하면 그와같은 priority부터 그 위의 priority에 관련된 로그를 기록한다는 것이다. 만약 info 를 지정하면 emerg 부터 info 사이의 모든 로그를 기록한다. 만약 단일한 priority를 지정하려면 = 를 사용하면 된다. !는 priority 범위를 제한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예를 참고하자.

    (리눅스에서 syslogd는 원래 BSD 소스에 몇가지 기능이 추가되었다. =, ! 등이 이에 속한다.)



    로그파일을 기록으로 남기는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가장 먼저 파일형태(/var/log/messages), named pipe, 터미널과 콘솔(/dev/console), 원격 머신(@), 사용자, 로그인한 전체 사용자(*) 등이다.



    보통 위의 내용이 일반적인 배포판 구성이다. 아마 kernel 메시지에는 주석이 되어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err /dev/tty8 를 추가해보자. 놀고있는 tty8 콘솔에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에러를 볼 수 있다.



    *.* @taejun



    이건 모든 메시지를 taejun 이라는 원격 호스트에서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어떤 경우 이게 유용할까? 모든 syslog 메시지를 한 대의 시스템으로 모을 수 있기 때문에 여러대의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한곳에서 모든 로그를 처리할 수 있고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원격 시스템에 로그를 남기므로 설사 시스템이 붕괴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문제를 찾을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위의 기본 설정말고 몇가지 예를 더 보자.



    # Store critical stuff in critical

    #

    *.=crit;kern.none /var/adm/critical



    # 커널을 제외하고 모든 crit 에 해당하는 메시지 기록

    # (여기서 = 를 지정한 차이점에 대해서 이해해야함)



    # Kernel messages are first, stored in the kernel

    # file, critical messages and higher ones also go

    # to another host and to the console

    #

    kern.* /var/adm/kernel

    kern.crit @finlandia

    kern.crit /dev/console

    kern.info;kern.!err /var/adm/kernel-info



    # 커널 관련 모든 기록은 kernel 파일에,

    # 커널에서 crit 이상의 메시지는는 콘솔과 원격 호스트로.

    # 두번째 부분(원격 호스트)이 유용한 것은 만약 시스템이

    # 붕괴해서 디스크에서 복구할 수 없는 에러가 났더라도

    # 원격 호스트에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인을

    # 찾을 수 있다.

    # 이제 네번째 줄. 이건 info 부터 err 이전 그러니깐

    # info , notice, warn 에 대한 메시지를 기록한다.

    # 로그 범위을 제한하는 것이다.



    # The tcp wrapper loggs with mail.info, we display

    # all the connections on tty12

    #

    mail.=info /dev/tty12

    # mail.info에 관련된 메시지를 12번째 콘솔에 기록.



    # Store all mail concerning stuff in a file

    #

    mail.*;mail.!=info /var/adm/mail



    # mail.info 만 제외하고 모든 mail 메시지.



    # Log all mail.info and news.info messages to info

    #

    mail,news.=info /var/adm/info

    # mail 과 news의 info 만 기록



    # Log info and notice messages to messages file

    #

    *.=info;*.=notice;\

    mail.none /var/log/messages



    # info 와 notice 에 해당하는 모든 메시지 기록.

    # 여기서 mail의 모든 메시지만 제외.



    # Log info messages to messages file

    #

    *.=info;\

    mail,news.none /var/log/messages



    # 모든 info 에 관련된 메시지.

    # 단, 메일, 뉴스의 모든 메시지는 제외



    # Emergency messages will be displayed using wall

    #

    *.=emerg *

    # 모든 emergency 메세지를 현재 로그인한 모든 사용자에게.

    # 이는 wall 과 같다.



    # Messages of the priority alert will be directed

    # to the operator

    #

    *.alert root,taejun

    # 모든 alert 이상 메시지를 root 와 taejun 사용자에게



    *.* @taejun

    # 모든 메시지를 taejun 이라는 원격 호스트로

    # 위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클러스터링 시스템에서

    # 모른 로그 메시지를 한곳에 기록하는 경우 유용





    logger 유틸리티는 쉘 스크립트에서 syslog 기능을 이용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 logger -p authpriv.alert -t oh_no_login "test"



    # tail -f secure

    Jul 10 23:42:12 tunelinux oh_no_login: test





    위에서 설명을 한 대로 특정 시스템의 로그를 다른 원격 서버로 보내어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있다.



    /etc/services 파일에 아래의 내용이 있는지 확인해보자.

    syslog 514/udp



    로그를 만드는 쪽과 받는 쪽 두군데에서 다 필요하다. 보통 기본 설정되어있을 것입니다. 메시지를 주고받는데 UDP 포트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로그를 생성하는 서버에서 설정을 하자. /etc/syslog.conf 에 아래의 내용을 추가한다.



    mail.info @admin



    이건 mail.info 에 해당하는 로그를 admin 이라는 호스트로 보내는 것이다. 이왕이면 admin은 DNS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etc/hosts에 등록해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필요하다면 *.* 을 이용 전부를 다 보낼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시스템에 아주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고 하더라도 원격 호스트에 로그 파일이 남으므로 나중에 분석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 로그를 원격에서 받아 기록하는 서버의 설정을 한다. syslogd 대몬을 시작할때 추가 옵션이 필요하다. 레드햇(또는 호환 계열) 배포판의 경우 시작파일은 다음과 같은 형태이다.



    /etc/rc.d/init.d/syslog



    여기서 대몬을 시작하는 옵션으로



    daemon syslogd -m 0 -r -h



    이렇게 설정을 한다. 세부 옵션은 아래와 같다.



    -m 0 : 기본설정되어있는것으로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이건 지정한 분동안에 MARK 라고 로그파일에 기록을 한다. 0이면 기록을 하지 않는다.

    -r : 인터넷 도메인 소켓을 이용해 네트웍에서 메시지를 받는 옵션

    -h : 기본적으로 syslogd는 원격 호스트에서 받은 메시지를 로그 기록으로 전송하지 않는다. 이 옵션을 사용하여 원격 호스트에서 받은 로그파일을 전송한다. (전송이란 받은 쪽의 로그 파일에 기록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3. logrotate 이용한 로그 파일 관리

    보안과 시스템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측면에서 로그파일이 중요하지만 계속 쌓이기만 하는 로그파일을 그대로 둔다면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소규모로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로그파일에 그다지 신경을 쓰는 일이 없다. 그렇지만 제공하는 서비스가 많아지고 규모가 커질 경우 예상치 못한 곳에서 문제가 생기는 일이 많다. 그중 하나가 엄청나게 증가하는 로그파일문제이다. 메일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전자메일이 전송된 경우 필자의 시스템에서는 maillog와 messages에 동시에 기록이 된다. pop3도 마찬가지이다. 전자메일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560바이트 정도 되었고 pop3로 메일을 가져올 경우에는 500바이트 정도 되었다. 여기서 메일주소가 잘못되어 반송된 경우에 남은 로그는 1.2k 정도가 되었다. 웹서버 로그를 보자. 웹서버 로그의 경우 로그기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른데 common이 아니라 access, agent, referer를 모두 기록하는 combined를 이용할 경우 한번 접속당 160바이트가 증가한다. common에 비해서는 두배이상 되는 규모이다. Mysql에서도 모든 sql문에 대하여 기록을 남기는 기능을 이용할 경우 db에서 진행되는 모든 sql문이 로그파일에 그냥 기록이 되므로 규모가 큰 파일을 dump하여 다시 import 하였을 경우 로그 파일의 규모가 dump 크기에 비례하여 엄청나게 늘어난다. 로그파일의 크기가 늘어나서 불필요한 하드디스크 공간이 낭비되고 심지어 서비스가 중지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 초래될 수가 있다. 더 나아가 서비스하는데 투여되어야 할 시스템 자원이 로그파일을 기록하는데 데에만 신경을 써서 정작 서비스 자체의 속도나 질이 형편없이 떨어질 가능성도 크다.



    리눅스에서 로그 로테이션을 담당하는 패키지가 logrotate 이다.



    # rpm -qa | grep logrotate

    logrotate-3.3-1





    # rpm -ql logrotate

    /etc/cron.daily/logrotate

    /etc/logrotate.conf

    /etc/logrotate.d

    /usr/man/man8/logrotate.8.gz

    /usr/sbin/logrotate





    logrotate는 계속 커지는 로그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자동으로 로테이션을 시켜주고, 압축, 제거, 메일로 보내주기 등의 작업을 한다. 초기 리눅스 설치시 자동으로 cron에 추가가 된다.





    # cat /etc/cron.daily/logrotate

    #!/bin/sh

    /usr/sbin/logrotate /etc/logrotate.conf



    위에서 보면 logrotate 가 프로그램이고 logrotate.conf가 설정파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conf 파일대신 특정 디렉토리를 지정하면 그 해당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사용해 작업을 한다. logrotate 에 여러가지 옵션이 있지만 그다지 사용할 일은 없을 것 같다. 혹시나 궁금하면 man 으로 확인해보면 된다.



    먼저 rotate 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rotate 3 라면 cron 로그라고 했을 경우를 가정해본다.. /var/log 디렉토리에 cron이 제일 처음 생성되고 순환간격마다 예전 cron 은 cron.1 이, cron.1은 cron.2, cron.2 는 cron.3 으로 된다. 기존의 cron.3은 삭제가 될 것이다. 그러니깐 새로 생성한 메일로그외에 이전의 로그를 3개까지 기록하는 것이다.



    설정파일을 살펴보자. 한글로 되어있는 부분은 필자가 주를 단 것이다.



    # cat /etc/logrotate.conf



    # see "man logrotate" for details

    # rotate log files weekly

    weekly

    # 기본적으로 일주일마다 로그파일을 순환시킴



    # keep 4 weeks worth of backlogs

    rotate 4

    # 이전 로그파일을 4주동안 간직.

    # 위에서 순환간격을 1주일로 했으므로.



    # send errors to root

    errors root

    # 에러가 생길경우 root 에게 메일로.



    # create new (empty) log files after rotating old ones

    create

    # 예전 로그파일을 순환시킨후 새로운 로그파일 생성



    # uncomment this if you want your log files compressed

    #compress

    # gzip 을 이용 압축한다.



    # RPM packages drop log rotation information into this directory

    include /etc/logrotate.d

    # /etc/logrotate.d 파일 또는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을 읽어들인다.

    # 참고로 필자의 서버에는 다음과 같은 기본설정 파일이 있다.

    # ls /etc/logrotate.d

    # apache cron ftpd named syslog

    # 여기서 가장 중요한 syslog는 messages, secure, maillog, spooler,

    # bootlog 로 구성



    # no packages own lastlog or wtmp -- we'll rotate them here

    /var/log/wtmp {

    monthly

    create 0664 root utmp

    rotate 1

    }

    # 매월마다 순환시킴

    # create 는 순환후 즉시 (postrotate 스크립트를 실행시키기전에)

    # 로그 파일을 생성한다. 뒤에서 설명할 것이지만 postrotate는

    # 로그파일을 순환한후 진행할 작업을 명시한다.

    # 0664 는 생성하는 파일의 허가권, root 는 소유자, utmp 는 그룹

    # rotate 1 은 위에서 설명했다. 그런데 개별적으로 설정하면

    # 초기에 설정한 weekly 는 무시되 개별 설정을 따른다

    #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이전의 로그파일이 1개만 남을것이다.

    # (원본 제외)

    # 참고로 기본적으로 syslog에서는 600으로 허가권을 설정한다.

    # 다른 누구도 로그파일에 접근하면 안되기 때문이다.



    /var/log/lastlog {

    monthly

    rotate 1

    }

    # system-specific logs may be configured here





    몇가지 주요한 옵션에 대해서 설명을 하겠다.



    ㅇ 순환할 기간 설정 : daily, weekly, monthly 등.

    여기에 size 를 이용해 크기까지 설정할 수 있다.접속이 많아서 로그파일이 엄청나게 늘어나는 경우에는 size(기본 kilobytes)를 이용 제어해야 할 것이다.

    size 100k(= size 100)



    ㅇ 압축설정 : compress

    gzip으로 이전 로그파일을 압축한다.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 옵션을 없애려면 주석을 달든지 아니면 nocompress(기본값) 사용



    ㅇ 메일설정 : error, mail

    error taejun -> 에러를 taejun 이라는 사용자에게 보냄

    mail taejun -> 로그파일을 순환시키고 나중에 삭제해야 할 때 삭제하지 않고 메일로 보냄



    ㅇ 로그파일 생성 : create mode owner group (기본값)

    create 를 지정하면 순환후 로그 파일을 생성한다. 반대는 nocreate



    ㅇ 순환간격 : rotate count

    이전 로그파일이 삭제되거나 메일로 보내기전에 순환을 할 횟수 지정. 여기서 0으로 지정하면 예전 로그파일은 무조건 삭제된다.



    ㅇ 지정한 로그파일이 없을 경우 : missingok, nomissingok

    로그파일이 없으면 기본은 에러를 낸다(nomissingok, 기본값). missingok 를 지정하면 로그파일이 없더라도 에러를 내지는 않는다.



    ㅇ 로그파일의 내용이 없을 경우(비어있을경우)

    기본은 ifempty로 내용이 비었어도 순환을 한다.

    순환을 하지 않도록 하려면 notifempty 를 지정하면 된다.



    ㅇ 순환 후 작업 : postrotate/endscript

    순환하기전 작업을 하려면 prerotate/endscript 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는 순환후 작업을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메일관련 로그를 새로 생성했으면 syslogd를 다시 가동시켜야 할 것이다. 이런것들을 지정한다.



    ㅇ 파일 또는 디렉토리 포함 : include

    다른 파일이나 디렉토리안의 파일을 포함할 경우





    위의 내용을 토대로 메일 로그를 조정해보자.



    여기서는 /etc/logrotate.d/syslog 에서 메일서버의 로그만 따로 처리를 해보겠다.



    # cat /etc/logrotate.d/maillog

    weekly

    size 500k

    rotate 4

    compress

    errors admin

    mail admin

    nomissingok

    create 0600 root root

    /var/log/maillog {

    postrotate

    /usr/bin/killall -HUP syslogd

    endscript

    }



    /var/log/messages {

    postrotate

    /usr/bin/killall -HUP syslogd

    endscript

    }



    매주마다 한번식 순환시키고 크기가 500k가 넘지 않도록 하며 순환한 파일은 압축을 한다. 에러를 admin 이라는 사용자에게 보내고 순환후 삭제할 파일을 메일로 admin 에게 보낸다. 만약 로그파일이 없으면 에러를 내며 순환후 파일을 생성시키고 이 파일의 모드는 0600 으로 소유자와 그룹은 root 로 한다.



    웹서버를 여러 대 운영하고 있고 하루에 한번씩 로그파일을 로테이션시킨다면 logrotate 설정에 중앙의 로그분석 서버로 보내는 작업을 집어넣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런 경우에는 ncftput등의 명령이나 rsync를 이용할 수 있는데 필자는 rsync를 즐겨 쓰는 편이다. (**주4) 알아두면 편리한 프로그램으로 시스템간의 자료 동기화에 주로 사용하며 미러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에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4. 임시파일 관리에 대하여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상황에 따라 필요하면 임시파일을 생성한다. 보통 /tmp나 /var/tmp를 이용하며 이외에도 맨페이지 등에서 사용하는 임시파일이 있다. 이런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 tmpwatch 패키지이다. cron.daily에 설정이 되어 자동으로 작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 cat /etc/cron.daily/tmpwatch

    /usr/sbin/tmpwatch 240 /tmp /var/tmp

    [ -d /var/cache/man ] && /usr/sbin/tmpwatch -f 240 /var/cache/man/{X11R6/cat?,cat?,local/cat?}

    [ -d /var/catman ] && /usr/sbin/tmpwatch -f 240 /var/catman/{X11R6/cat?,cat?,local/cat?}



    필요에 따라 임시파일을 생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악용이 된다면 시스템을 공격하는데 사용될 수가 있다. 또한 불필요한 파일 때문에 하드 디스크 공간을 낭비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위의 스크립트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find 명령을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이 지난 파일을 주기적으로 삭제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Posted by tornado
    |

    출처: KLDP

     

    [강좌] 시스템 최적화 - 로그파일 분석 및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글쓴날 : 2000년 2월 22일(화)
    글쓴이 : 문태준
    (http://www.taejun.pe.kr, taejun@taejun.pe.kr, taejun@hitel.net)


    참고자료
    man syslogd.conf
    man sysklogd
    man logrotate

    20만통의 전자메일과 sendmail(마소 99년 5월)중 로그 파일 관리부분
    기타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 관리 관련 서적

     


    0. 들어가며
    시스템에는 사용자 로그인, 메일등 모든 시스템 활동에 대한 로그를 기록
    하고 이를 가지고 시스템의 문제에 대해서 분석할 수 있다.
    시스템의 로그가 어떤 식으로 기록되고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이를 어떻게 활용해야할지 시스템 관리자라면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소규모로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로그파일에 그다지 신경을 쓰는 일이 없다.
    그렇지만 제공하는 서비스가 많아지고 규모가 커질 경우 예상치 못한 곳에
    서 문제가 생기는 일이 많다. 그중 하나가 엄청나게 증가하는 로그파일문제
    이다.

     

    예를 들어보자. 하루에 10만통의 전자메일을 처리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sendmail은 전자메일을 전송하면서 그 결과 메시지른 syslogd를 이용
    /var/log/maillog에 저장한다. (이는 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여기에 pop3를 사용해 메일을 가져간 기록과 메일을 전송한 기록까지
    저장되어야한다.

     

    정상적으로 전자메일이 전송되는 경우 기록되는 메시지는 560 바이트정도
    이다. 그렇지만 전송시 에러가 나는 경우에는 그 에러 횟수에 따라 에러
    메시지가 추가된다. 평균 하나의 전자메일이 1KB 정도의 로그를 기록한다
    고 해보자.

     

    하루에 10만개의 메일을 전송한다면 하룻동안 로그의 크기만
    100M 이고 일주일이면 700MB이다.
    여기에 메일계정이 1000명이고 각 사용자가 5분마다 pop3로 메일을 확인
    한다고 했을 경우를 추가해야한다. 한번에 약 0.2KB의 로그가 쌓이면
    시간당 12번(5분에 한번씩 확인하는 경우), 하루 8시간 근무시 96번이고
    96*0.2KB = 192kb이다. 1000명이므로 192MB가 되고 일주일이면 일요일을
    제외하더라도 1.15G정도가 된다.


    한 사람당 메일용량을 10M씩 할당하면 전자메일을 저장할 용량만으로
    10G가 필요하고 로그를 위해 2G 이상이 필요하다. 여기서 그냥 2G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rotate 값이 4라면 8G가 된다. 가히 끔찍한 상황이
    예상되지 않는가?

     

    여기서만 끝나는 것이 아니다. syslogd는 maillog를 열어놓고 계속 로그
    를 기록하는데 로그파일이 1M이상 넘어가면 하나의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시스템 자원을 10% 이상 사용한다고 하며 10M가 넘으면 40% 이상,
    100M가 넘으면 80% 이상의 시스템 자원을 사용한다고 한다.

     

     (물론 이는자신의 시스템 상황을 끊임없이 모니터링해서 자신에 맞추어야 할 것이
    다) 결국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자원을 사용해야하는데 엄청나게 커진
    로그파일때문에 시스템의 자원이 없어져서 나중에는 전자메일 전송이
    아니라 로그 기록에 모든 cpu 시간을 사용해야한다.

     

    하드 디스크를 빈번하게 사용하는 작업이 많으면 시스템의 성능은 급격하게 떨어진다.

    이제 웹서버로그 기록을 살펴보자. 이용자가 접속할 때마다 기록되는
    access_log는 한번 접속당 약 85Byte가 증가한다. 하루 10만번 접속
    하면 8.5M이다. 일주일이면 59.5M이다. 한달이면 255M이다. 서비스하
    는 규모가 더 크다면 로그파이을 액세스하고 갱신하는데는 더 많은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것이다.


    서론을 이렇게 장황하게 이야기한것은 관리자가 로그 기록에 신경을
    쓰지 않는다면 대규모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얼마나 큰 문제가 생길수
    있는지를 알려주고자 하기 위함이다. 필자의 개인 홈페이지에서야
    그런 문제가 생기지는 않겠지만....

     

    로그 기록을 어떤 식으로 설정할 것인가? 정책에 관한 것은 관리자가
    해야 할 몫이라 생각하며 여기에서는 로그 파일의 설정 및 로테이션
    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필자가 책을 그다지 뒤져보지 않아서 그런지
    는 모르겠는데 유닉스 서버 관리 서적에도 이에 대해서는 그리 자세히
    나와있지 않아서 이번 기회를 이용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시스템 로그 기록 (syslog)
    일반적으로 배포판 설치시 로그파일을 기록하는 패키지가 자동으로
    설치된다.

    # rpm -qa | grep log

    logrotate-3.3-1       --->> 로그 로테이트(순환)
    sysklogd-1.3.31-12         --->> 시스템 로그 기록


    # rpm -ql sysklogd
    /etc/logrotate.d/syslog
    /etc/rc.d/init.d/syslog
    /etc/rc.d/rc0.d/K99syslog
    /etc/rc.d/rc1.d/K99syslog
    /etc/rc.d/rc2.d/S30syslog
    /etc/rc.d/rc3.d/S30syslog
    /etc/rc.d/rc5.d/S30syslog
    /etc/rc.d/rc6.d/K99syslog
    /etc/syslog.conf  --->> 설정파일
    /sbin/klogd   --->> 커널 로그 대몬
    /sbin/syslogd   --->> 시스템 로그 대몬
    /usr/doc/sysklogd-1.3.31
    /usr/doc/sysklogd-1.3.31/ANNOUNCE
    /usr/doc/sysklogd-1.3.31/INSTALL
    /usr/doc/sysklogd-1.3.31/NEWS
    /usr/doc/sysklogd-1.3.31/README.1st
    /usr/doc/sysklogd-1.3.31/README.linux
    /usr/doc/sysklogd-1.3.31/Sysklogd-1.3.lsm
    /usr/man/man5/syslog.conf.5
    /usr/man/man8/klogd.8
    /usr/man/man8/sysklogd.8
    /usr/man/man8/syslogd.8

     


    참고로 문서디렉토리의 내용은 사용과 관련해서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맨페이지가 도움이 되었다.

     


    # ps aux | head -n10
    USER       PID %CPU %MEM   VSZ  RSS TTY      STAT START   TIME COMMAND
    root         1  0.0  0.1  1168   56 ?        S    14:07   0:05 init [3]
    root         2  0.0  0.0     0    0 ?        SW   14:07   0:00 [kflushd]
    root         3  0.0  0.0     0    0 ?        SW   14:07   0:00 [kupdate]
    root         4  0.0  0.0     0    0 ?        SW   14:07   0:00 [kpiod]
    root         5  0.0  0.0     0    0 ?        SW   14:07   0:05 [kswapd]
    root         6  0.0  0.0     0    0 ?        SW<  14:07   0:00 [mdrecoveryd]
    root       285  0.0  0.5  1232  180 ?        S    14:07   0:00 syslogd -m 0
    root       296  0.0  0.0  1464    0 ?        SW   14:07   0:00 [klogd]

     

    보통 위와 같이 로그 대몬은 시스템의 부팅시 초창기에 실행이 된다.

     

     


    그러면 가장 먼저 /etc/syslog.conf 를 살펴보자. syslod의 설정 파일이다.

     

    # cat /etc/syslog.conf


    # Log all kernel messages to the console.
    # Logging much else clutters up the screen.
    #kern.*       /dev/console


    # Log anything (except mail) of level info or higher.
    # Don't log private authentication messages!
    *.info;mail.none;authpriv.none    /var/log/messages

    # The authpriv file has restricted access.
    authpriv.*      /var/log/secure

    # Log all the mail messages in one place.
    mail.*       /var/log/maillog

    # Everybody gets emergency messages, plus log them on another
    # machine.
    *.emerg       *

    # Save mail and news errors of level err and higher in a
    # special file.
    uucp,news.crit      /var/log/spooler

    # Save boot messages also to boot.log
    local7.*      /var/log/boot.log

     

     

     

    설정파일은 매우 간단하다. 빈 행과 # 으로 시작되는 행은 무시된다.


    (참고로 리눅스는 BSD 형식으로 로그를 구성한다)
    설정행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facility.level destination

    facility는 메시지를 보내는 서브시스템의 이름이며
    level(priority)은 메시지의 중요성(엄격도)을 나타낸다.

    facility는 다음과 같다.
    auth, authpriv, cron, daemon, kern, lpr, mail, news, syslog,
    user, uucp, local0 - local7

    priority는 다음과 같다. (엄격도가 감소하는 순서)
    debug,  info,  notice, warning, warn (same as warning),
    err, error (same as err),  crit,  alert,  emerg,
    panic (same as emerg)

     

    각자에 대한 설명은 아래를 참고하자.

     

    # man 3 syslog


       facility
           The facility argument is used to specify what type of pro
           gram is logging the message.  This lets the  configuration
           file  specify that messages from different facilities will
           be handled differently.

           LOG_AUTH
           security/authorization  messages (DEPRECATED   Use
           LOG_AUTHPRIV instead)

           LOG_AUTHPRIV
           security/authorization messages (private)

           LOG_CRON
           clock daemon (cron and at)

           LOG_DAEMON
           other system daemons

           LOG_KERN
           kernel messages

           LOG_LOCAL0 through LOG_LOCAL7
           reserved for local use

           LOG_LPR
           line printer subsystem

           LOG_MAIL
           mail subsystem

           LOG_NEWS
           USENET news subsystem

           LOG_SYSLOG
           messages generated internally by syslogd

           LOG_USER(default)
           generic user-level messages

           LOG_UUCP
           UUCP subsystem


       level
           This determines the importance of the message.  The levels
           are, in order of decreasing importance:

           LOG_EMERG
           system is unusable

           LOG_ALERT
           action must be taken immediately

           LOG_CRIT
           critical conditions

           LOG_ERR
           error conditions

           LOG_WARNING
           warning conditions

           LOG_NOTICE
           normal, but significant, condition

           LOG_INFO
           informational message

           LOG_DEBUG
           debug-level message


    auth 대신 auth_priv를 사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읽어보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크론, 대몬, 커널 메시지,
    로컬에서 사용, 프린터, 메일, 뉴스, syslog, 사용자 정의,
    UUCP. (auth는 로그인 인증 시스템)

    emerg : 시스템 패닉
    alert : 에러 경고. 즉각 알려야할 내용
    crit : 하드 장치 에러와 같은 임계 에러(critical error)
    err : 에러
    warn : 경고
    notice : 비임계 메시지
    info : 정보 메시지
    debug :문제 추적을 돕는 특수 정보
    만약 none 이라고 하면 그에 대한 모든 로그 메시지를 제외하라는 뜻입니다.


    모든 facility 나 priority 를 지정하려면 * 를 쓰면 되며
    여러개를 지정하려면 , 를 사용하면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반드시 알아두야할것이 priority를 지정하면 그와
    갈은 priority부터 그 위의 priority에 관련된 로그를 기록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info 를 지정하면 emerg 부터 info 사이의 모든
    로그를 기록하는 것이지요.

     

    만약 단일한 priority를 지정하려면 = 를 사용하면 됩니다.
    !는 priority 범위를 제한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예를 참고하세요.

     

    ** 리눅스에서 syslogd는 원래 BSD 소스에 몇가지 기능이 추가
    되었다. =, ! 등이 이에 속한다.


    로그파일을 기록으로 남기는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가장 먼저 파일형태(/var/log/messages). named pipe.
    터미널과 콘솔(/dev/console). 원격 머신(@). 사용자.
    로그인한 전체 사용자(*)

    자 가장 먼저 /etc/syslog.conf 를 살펴보자.

    # cat /etc/syslog.conf

     

    # Log all kernel messages to the console.
    # Logging much else clutters up the screen.
    kern.*       /dev/console

    # 모든 커널 메시지를 콘솔로.


    # Log anything (except mail) of level info or higher.
    # Don't log private authentication messages!
    *.info;mail.none;authpriv.none    /var/log/messages

    # 모든 info를 messages에 기록. 여기서 mail, authpriv 관련 기록은 제외


    # The authpriv file has restricted access.
    authpriv.*      /var/log/secure

    # 모든 로그인 인증 관련 기록. su, login 등을 모두 여기 기록


    # Log all the mail messages in one place.
    mail.*       /var/log/maillog

    # 모든 메일 메시지


    # Everybody gets emergency messages, plus log them on another
    # machine.
    *.emerg       *

    # 비상 메시지(emerg)는 현재 로그인한 모든 사용자에게 알림


    # Save mail and news errors of level err and higher in a
    # special file.
    uucp,news.crit      /var/log/spooler

    # uucp, news 의 crit 정보 기록


    # Save boot messages also to boot.log
    local7.*      /var/log/boot.log

    # 부트 메시지 기록

     

    보통 위의 내용이 일반적인 배포판 구성이다.
    아마 kernel 메시지에는 주석이 되어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err  /dev/tty8 를 추가해보자.
    놀고있는 tty8 콘솔에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에러를 볼 수 있다.

    *.*  @taejun

    이건 모든 메시지를 taejun 이라는 원격 호스트에서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어떤 경우 이게 유용할까? 이건 클러스터링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아주 유용할 것이다. 모든 syslog 메시지를 한대의
    시스템으로 모을 수 있으니깐.


    그러면 위의 기본 설정말고 몇가지 예를 더 보자.


          # Store critical stuff in critical
          #
          *.=crit;kern.none     /var/adm/critical


          # 커널을 제외하고 모든 crit 에 해당하는 메시지 기록
          # (여기서 = 를 지정한 차이점에 대해서 이해해야함)

     

          # Kernel messages are first, stored in the kernel
          # file, critical messages and higher ones also go
          # to another host and to the console
          #
          kern.*      /var/adm/kernel
          kern.crit      @finlandia
          kern.crit      /dev/console
          kern.info;kern.!err    /var/adm/kernel-info

         
          # 커널 관련 모든 기록은 kernel 파일에,
          # 커널에서 crit 이상의 메시지는는 콘솔과 원격 호스트로.
          # 두번째 부분(원격 호스트)이 유용한 것은 만약 시스템이
          # 붕괴해서 디스크에서 복구할 수 없는 에러가 났더라도
          # 원격 호스트에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인을
          # 찾을 수 있다.
          # 이제 네번째 줄. 이건 info 부터 err 이전 그러니깐
          # info , notice, warn 에 대한 메시지를 기록한다.
          # 로그 범위을 제한하는 것이지요.

     

          # The tcp wrapper loggs with mail.info, we display
          # all the connections on tty12
          #
          mail.=info     /dev/tty12

          # mail.info에 관련된 메시지를 12번째 콘솔에 기록.


          # Store all mail concerning stuff in a file
          #
          mail.*;mail.!=info    /var/adm/mail


          # mail.info 만 제외하고 모든 mail 메시지.


          # Log all mail.info and news.info messages to info
          #
          mail,news.=info     /var/adm/info

          # mail 과 news의 info 만 기록


          # Log info and notice messages to messages file
          #
          *.=info;*.=notice;\
        mail.none  /var/log/messages
         
          # info 와 notice 에 해당하는 모든 메시지 기록.
          # 여기서 mail의 모든 메시지만 제외.

     

          # Log info messages to messages file
          #
          *.=info;\
        mail,news.none /var/log/messages
          
          # 모든 info 에 관련된 메시지.
          # 단, 메일, 뉴스의 모든 메시지는 제외

     

          # Emergency messages will be displayed using wall
          #
          *.=emerg      *

          # 모든 emergency 메세지를 현재 로그인한 모든 사용자에게.
          # 이는 wall 과 같다.

     

          # Messages of the priority alert will be directed
          # to the operator
          #
          *.alert      root,taejun

          # 모든 alert 이상 메시지를 root 와 taejun 사용자에게


          *.*      @taejun

          # 모든 메시지를 taejun 이라는 원격 호스트로
          # 위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클러스터링 시스템에서
          # 모른 로그 메시지를 한곳에 기록하는 경우 유용

     


    logger 유틸리티는 쉘 스크립트에서 syslog 기능을 이용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 logger -p authpriv.alert -t oh_no_login  \
       '태준이가 이상한 곳에서 로그인했어요... 오옷 이런~~'


    # tail -f secure


    Feb 22 18:31:42 taejun oh_no_login: 태준이가 이상한 곳에서
                                      로그인했어요... 오옷 이런~~          


    좀 유치한 예이지요????

    참고로 /var/log/wtmp 를 이용, last 명령으로
    사용자의 로그인과 관련된 기록을 볼 수 있다.

    위 설정파일에서 /var/log/에 있는 로그파일에 대해서
    어느정도 설명을 다 하였다. 여기서 언급하지 않은 것이
    xferlog 인데 이는 ftp 서버에 대한 로그파일이다.


    위 내용을 참고로 자신의 서버에 맞는 로그 기록을 설정해보자.

     

     

    2. logrotate 이용한 로그 파일 관리
    서문에서 말을 한대로 로그파일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대형 서버의 경우 로그파일때문에 하드디스크 공간이 남아나지
    않고 또 로그파일 처리로 버벅거리게 된다.

    대부분 레드햇 기반의 배포판에서는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다.


    # rpm -qa | grep logrotate
    logrotate-3.3-1


    # rpm -ql logrotate
    /etc/cron.daily/logrotate
    /etc/logrotate.conf
    /etc/logrotate.d            
    /usr/man/man8/logrotate.8
    /usr/sbin/logrotate        

    logrotate는 계속 커지는 로그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자동으로 로테이션을 시켜주고, 압축, 제거, 메일로 보내주기 등의
    작업을 한다.

    초기 리눅스 설치시 자동으로 cron에 추가가 된다.

    /etc/cron.daily/logrotate

    내용은 다음과 같다.

    # cat /etc/cron.daily/logrotate

    #!/bin/sh

    /usr/sbin/logrotate /etc/logrotate.conf


    위에서 보면 logrotate 가 프로그램이고 logrotate.conf가
    설정파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conf 파일대신 특정 디렉토리를 지정하면
    그 해당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사용해 작업을 한다.
    logrotate 에 여러가지 옵션이 있지만 그다지 사용할 일은
    없을 것 같다. 혹시나 궁금하면 man 으로 확인.

    먼저 rotate 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rotate 3 라면 cron 로그라고 했을 경우.
    /var/log 디렉토리에 cron이 제일 처음 생성되고
    순환간격마마 예전 cron 은 cron.1 이, cron.1은 cron.2,
    cron.2 는 cron.3 으로 된다. 기존의 cron.3은 삭제가 될 것이다.
    그러니깐 새로 생성한 메일로그외에 이전의 로그를 3개까지 기록
    하는 것이다.

     

    자 그러면 이제 설정파일을 한번 살펴보자.

    # cat /etc/logrotate.conf


    # see 'man logrotate' for details
    # rotate log files weekly
    weekly

    # 기본적으로 일주일마다 로그파일을 순환시킴


    # keep 4 weeks worth of backlogs
    rotate 4

    # 이전 로그파일을 4주동안 간직.
    # 위에서 순환간격을 1주일로 했으므로. 

     

    # send errors to root
    errors root

    # 에러가 생길경우 root 에게 메일로.


    # create new (empty) log files after rotating old ones
    create

    # 예전 로그파일을 순환시킨후 새로운 로그파일 생성


    # uncomment this if you want your log files compressed
    #compress

    # gzip 을 이용 압축한다.


    # RPM packages drop log rotation information into this directory
    include /etc/logrotate.d

    # /etc/logrotate.d 파일 또는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을 읽어들인다.
    # 참고로 필자의 서버에는 다음과 같은 기본설정 파일이 있다.
    # ls /etc/logrotate.d
    # apache  cron  ftpd  named  samba  squid  syslog
    # 여기서 가장 중요한 syslog는 messages, secure, maillog, spooler,
    # bootlog 로 구성

     

    # no packages own lastlog or wtmp -- we'll rotate them here
    /var/log/wtmp {
        monthly
        create 0664 root utmp
        rotate 1
    }

    # 매월마다 순환시킴
    # create 는 순환후 즉시 (postrotate 스크립트를 실행시키기전에)
    # 로그 파일을 생성한다. 뒤에서 설명할 것이지만 postrotate는
    # 로그파일을 순환한후 진행할 작업을 명시한다.
    # 0664 는 생성하는 파일의 허가권,  root 는 소유자, utmp 는 그룹
    # rotate 1 은 위에서 설명했다. 그런데 개별적으로 설정하면
    # 초기에 설정한 weekly 는 무시되 개별 설정을 따른다
    #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이전의 로그파일이 1개만 남을것이다.
    # (원본 제외)
    # 참고로 기본적으로 syslog에서는 600으로 허가권을 설정한다.
    # 다른 누구도 로그파일에 접근하면 안되기 때문이다.


    /var/log/lastlog {
        monthly
        rotate 1
    }

    # system-specific logs may be configured here

     

    이제 몇가지 주요한 옵션에 대해서 살펴보자.

    ㅇ 순환할 기간 설정 : daily, weekly, monthly 등
    여기에 size 를 이용해 크기까지 설정할 수 있다.
    접속이 많아서 로그파일이 엄청나게 늘어나는 경우에는
    size(기본 kilobytes)를 이용 제어해야 할 것이다.
    size 100k(= size 100)


    ㅇ 압축설정 : compress
    gzip으로 이전 로그파일을 압축한다.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 옵션을 없애려면 주석을 달든지 아니면
    nocompress(기본값) 사용

    ㅇ 메일설정 : error, mail
    error taejun    -> 에러를 taejun 이라는 사용자에게 보냄
    mail taejun -> 로그파일을 순환시키고 나중에 삭제해야할때
                   삭제하지 않고 메일로 보내는 것이다.

    ㅇ 로그파일 생성
    create mode owner group (기본값)
    위에서 사용예는 설명했다. create 를 지정하면 순환후 로그
    파일을 생성한다. 반대는 nocreate

    ㅇ 순환간격 : rotate count
    이전 로그파일이 삭제되거나 메일로 보내기전에 순환을 할
    횟수 지정. 여기서 0으로 지정하면 예전 로그파일은
    무조건 삭제된다.


    ㅇ 지정한 로그파일이 없을 경우 : missingok, nomissingok
    로그파일이 없으면 기본은 에러를 낸다(nomissingok, 기본값).
    missingok 를 지정하면 없더라도 에러를 내지는 않는다.


    ㅇ 로그파일의 내용이 없을 경우(비어있을경우)
    기본은 ifempty로 내용이 비었어도 순환을 한다.
    순환을 하지 않도록 하려면 notifempty 를 지정하면 된다.


    ㅇ 순환후 작업 : postrotate/endscript
    순환하기전 작업을 하려면 prerotate/endscript
    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는 순환후 작업을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메일관련 로그를 새로 생성했으면 syslogd를
    다시 가동시켜야 할 것이다. 이런것들을 지정한다.

    ㅇ 파일 또는 디렉토리 포함 : include
    다른 파일이나 디렉토리안의 파일을 포함할 경우

     


    자 이에 위의 내용을 토대로 메일의 로그를 조정해보자.
    여기서는 /etc/logrotate.d/syslog 에서 메일서버의
    로그만 따로 처리를 해보겠다. 

    # vi /etc/logrotate.d/maillog
    weekly
    size 500k
    rotate 4
    compress
    errors admin
    mail admin
    nomissingok
    create 0644 root root
    /var/log/maillog   {
     postrotate
      /usr/bin/killall -HUP syslogd
     endscript
    }


    /var/log/messages  {
     postrotate
      /usr/bin/killall -HUP syslogd
     endscript
    }
     

    위의 예제는 그냥 참고로 만든 것이므로 따라할 필요는 없다.
    매주마다 한번식 순환시키고 크기가 500k가 넘지 않도록 하며
    순환한 파일은 압축을 한다. 에러를 admin 이라는 사용자에게
    보내고 순환후 삭제할 파일을 메일로 admin 에게 보낸다.
    만약 로그파일이 없으면 에러를 내며 순환후 파일을 생성시키고
    이 파일의 모드는 0644 로 소유자와 그룹은 root 로 한다.


    서비스의 규모에 따라 로그파일을 순환할 주기를 더 짧게 잡아야
    한다. 크기를 지정하는것이 여러모로 효율적일 것이다.

     


    3. 마치며
    여기까지 읽었다면 대략 시스템의 로그가 어떻게 작성되고
    어떻게 관리를 해야할지 감을 잡았을 것이다.
    시스템이 나쁘다는 것을 탓하지 전에 관리자가 얼마나
    시스템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최적화하는지가
    중요하다.

     


    ### 참고 : 서버 로그를 다른 호스트에 기록하기

    클러스터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여러 서버로 로그가 나누어집니다.
    이럴 경우 중앙의 관리자용 서버로 로그를 집중시킬 수 있습니다.


    1. 먼저 확인해야 할 것
    /etc/services
    syslog 514/udp

    로그를 만드는 쪽과 받는 쪽 두군데에서 다 필요합니다.
    보통 기본 설정되어있을 것입니다.
    메시지를 주고받는데 UDP 포트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2. 로그를 작성하는 서버에서 필요한 설정.

    /etc/syslog.conf

    mail.info @admin

    이건 mail.info 에 해당하는 로그를 admin 이라는 호스트로 보내는 것입니다.

    이왕이면 admin은 DNS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etc/hosts에 등록해
    두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필요하다면 *.* 을 이용 전부를 다 보낼 수도 있겠지요.
    이게 좋은게 뭐냐면 시스템이 맛이 가더라도 원격 호스트에도 로그 파일이
    남으므로 나중에 분석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3. 로그를 받는 서버에서 필요한 설정
    syslogd 대몬을 시작할때 추가 옵션이 필요합니다.
    레드햇의 경우 시작파일은 다음과 같은 형태일 것입니다.

    /etc/rc.d/init.d/syslog

    여기서 대몬을 시작하는 옵션으로

    daemon syslogd -m 0 -r -h

    이렇게 사용을 합니다.

    -m 0 : 기본설정되어있는것으로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건 지정한 분동안에
     MARK 라고 로그파일에 기록을 합니다. 0이면 기록을 하지 않는 것이지요.
    -r : 인터넷 도메인 소켓을 이용해 네트웍에서 메시지를 받는 옵션
    -h : 기본적으로 syslogd는 원격 호스트에서 받은 메시지를 로그 기록으로 전송하지
           않습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여 원격 호스트에서 받은 로그파일을 전송합니다.
          (전송이란 받은 쪽의 로그 파일에 기록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man syslogd 를 해보면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syslogd의 보안을 위한 보안 패키지도 있습니다.

    http://www.core-sdi.com/english/freesoft.htm
    secure system logging tool 입니다.
    그런데 지원하는 것을 보면 슬랙웨어이군요.
    컴파일하여 설치하는 것이니깐 무난히 설치될 것이라 예상되네요.

     

     

     

     

     

     

     

    막상 퍼왔지만.. 읽어 보니 .. 당체 감이 안오는 군여..^.^;

     

    언젠가는 이내용을 이해할수 잇을 정도의 내공을 쌓겟져..머...헤헤..

    Posted by tornado
    |
    제 목 : 서버 모니터링 툴의 강자, RRDtool 가이드 (작성중. alpha 버전)
    작성자 : 좋은진호(truefeel)
    작성일 : 2003.9.22(월)~

    그래픽 모니터링 툴인 RRDtool과 그 프론트엔드 툴 HotSaNIC의 설치, 운영가이드이다.

    1. RRDtool의 이해
    2. RRDtool 설치
    3. HotSaNIC 설치
    4. RRDtool 직접 다루기
    5. 문제 해결
    6. 이용 사례



    1. RRDtool의 이해

    RRDtool에 대해 들어가기 전에 먼저 MRTG 툴을 설명할 필요가 있을 듯 하다.
    MRTG(Multi Router Traffic Grapher)는 이름에서도 드러난대로, SNM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라우터를 거쳐가는 트래픽을 실시간 그래픽을 통해 모니터링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한다.
    이외에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여러 addon들이 있다.
    DISK 사용량, CPU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데몬, 세션 개수 등..
    심지어는 P2P인 당나귀의 트래픽, 프락시 서버인 Squid 트래픽까지 실시간(실시간이라기
    보다는 특정 시간간격으로 변화하여 보여준다는게 더 정확하지만)으로 웹에서 볼 수 있다.

    RRDtool은 MRTG처럼 실시간 그래픽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보다 더 개선된 형태의
    툴이다. 보다 빠르고 시스템 로드를 덜 잡아먹는다. 또한 MRTG의 제약이었던 2개 이상의 데이터를
    하나의 그래픽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픽의 유연성(?)면에서도 단연 RRDtool이 압도한다.

    [ MRTG로 트래픽 모니터링하는 화면 ]


    [ RRDtool과 HotSaNIC으로 CPU 사용률을 모니터링하는 화면 ]


    2. RRDtool 설치

    RRDtool :
    http://people.ee.ethz.ch/~oetiker/webtools/rrdtool/

    RRDtool의 시스템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Perl 5.005 (컴파일시에 문제가 발생하면 더 최신 것을 설치해본다.)
    GNU make
    GNU gcc

    위 RRDtool 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을 받아온다. /usr/local/rrdtool에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 tar xvfz rrdtool-1.0.45.tar.gz
    # cd rrdtool-1.0.45
    # ./configure --prefix=/usr/local/rrdtool
    # make install
    # make site-perl-install
    ... 중략 ...
    Installing /usr/lib/perl5/site_perl/5.8.0/RRDp.pm
    Installing /usr/share/man/man3/RRDp.3pm
    ... 생략 ...


    3. HotSaNIC 설치

    HotSaNIC :
    http://hotsanic.sourceforge.net/archive/

    HotSaNIC은 RRDtool을 사용하는 툴로 시스템 통계정보를 그래프로 생성해준다.

    * 시스템 요구 사항

    - RRDtool
    - iptables 또는 ipchains (네트워크 트래픽 통계용으로 쓰기 위함)

    위 사이트에서 받은 최신 버전은 컴파일없이 환경설정만으로 바로 사용하므로
    /usr/local에서 압축을 푼다.


    # cd /usr/local
    # tar xvf HotSaNIC-0-5-0-pre3.tgz ( HotSaNIC/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
    # cd HotSaNIC



    1) 제공하는 모듈

    HotSaNIC은 어떤 모듈을 통해 시스템 통계를 제공하는지 알아보고,
    그 모듈을 사용할 것인지 안할 것인지를 판단해보자.


    ---------   ----------------------------------------------------------- ---------------
    모듈      처리하는 통계 정보                      truefeel의 권장
    ---------   ----------------------------------------------------------- ---------------
    APCUSV    APC UPS의 현황 (apcaccess 툴 사용)             N
             (APC UPS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있더라도 서버와 연결하여

                        모니터링중이 아니라면 N)
    APPS     데몬, 응용프로그램별 프로세스 현황                Y
              (프로세스 이름 별도 설정 필요)
    DISKIO     각 HDD별(파티션별이 아님) 입출력                   Y
              (별도 설정 필요)
    DNET     Distributed.Net관련 RC5, OGR, DES, CSC ???         N
    NETWORKS  네트워크 트래픽 (별도 설정 필요)                     Y
    PART    파티션별 사용량                                  Y
    PING     지정한 서버로 ping time 결과 (ping서버 설정 필요)        ping할 서버가

                                                                                                                있다면
    SENSORS CPU, 마더보드 등의 온도, 전압등의 수치              원하는대로
    SHOUTCAST 지정한 서버와 포트로의 스트링 현황 (서버, 포트 설정 필요)  N
    SYSTEM  시스템의 프로세스 수, CPU 사용률, load, 메모리 사용률, ...      Y
    TRAFFI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별(eth0, ...) 트래픽                   Y
            (SNMP를 통해 라우터나 다른 서버의 트래픽도 모니터링 가능,
             물론 이 때는 별도 설정 필요)
    WORMS  웹로그 파일을 이용한 님다, 코드레드 등의 웜 공격 건수           Y
           (웹로그 경로 설정 필요. 문자열 지정으로 다른 웜 공격도 설정 가능)
    --------- ----------------------------------------------------------- ----------------


    2) setup.pl로 기본 환경 파일 생성

    이제 setup.pl 으로 기본 환경 설정을 해보자.
    과정은 길지만 간단하다. 모듈을 보고 Y로 할 것인, N로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 설정은 나중에 ./setup.pl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맘 편하게 진행해라.
    (반복되는 내용이라 메시지 중간중간 생략하였다.)


    # ./setup.pl
    Configuring modules:


    Module found: APCUSV
    ----------------------------------------
    Do you want to use this module ? (Y)es / (n)o > n

    Module found: APPS
    ----------------------------------------
    Do you want to use this module ? (Y)es / (n)o >
    Do you want to show this module's graphs on the webpage ? (Y)es / (n)o >

    ... 중략 ...

    Module found: DISKIO  ... 중략 ...
    Module found: DNET   ... 중략 ...
    Module found: NETWORKS
    ----------------------------------------
    Do you want to use this module ? (Y)es / (n)o >
    Do you want to show this module's graphs on the webpage ? (Y)es / (n)o >

    setting up networks ...

    Configuring local interfaces.
    (i)nternal means an interface pointiong to your local machines (intranet)
    (e)xternal means an interface connecten with the internet
    (n)one means you don't want to account this interface.

    Please answer these:
    found: eth0 - (i)nternal, (e)xternal or (n)one ? e

    found: lo - (i)nternal, (e)xternal or (n)one ? n

    ... 중략 ...

    Module found: PART   ... 중략 ...
    Module found: PING   ... 중략 ...
    Module found: SENSORS  ... 중략 ...
    Module found: SHOUTCAST ... 중략 ...
    Module found: SYSTEM  ... 중략 ...
    Module found: TRAFFIC
    ----------------------------------------
    Do you want to use this module ? (Y)es / (n)o >
    Do you want to show this module's graphs on the webpage ? (Y)es / (n)o >

    setting up traffic ...

    Configuring local interfaces. Please answer these:
    found: eth0 - (y)es or (n)o ? y

    found: lo - (y)es or (n)o ? n


    Please check the settings file and adapt it to satisfy your needs.
    If you have any interfaces slower than 100 MBit, please change the
    corrosponding default values.

    ... 중략 ...

    Module found: WORMS  ... 중략 ...
    ----------------------------------------
    Ok.
    Writing main settings ...
     checking for OS-type (current: not configured)
    OSTYPE="Linux"
     checking path to "rrdtimer" (current: not configured)
    DAEMONDIR="/usr/local/HotSaNIC"
     checking path to "rrdtool" (current: not configured)
    the following possibilities have been detected:
    0 /usr/bin
    1 /usr/local/rrdtool/bin

    which one shall i use (0=default ... 1) ? > 1 ( rrdtool이 2군데 설치된 경우이다.)
    BINPATH="/usr/local/rrdtool/bin" (RRDtool 실행이 있는 디렉토리)
    LOGDIR="$DAEMONDIR/var/log/"   (로그가 저장될 디렉토리)
    PIDFILE="$DAEMONDIR/var/rrdtimer.pid"
    DIAGRAMLOG="last"
    LOGSIZE="200000"
    LOGBACKUPS="5"
    DEBUGLEVEL="-1"
    STIME="120"
    SCHEDULE_MIN="100"
    SCHEDULE_MAX="200"
    RUN="apcusv apps diskio dnet networks part ping sensors shoutcast system traffic worm
    s"
    WEBDIR="not configured"
    WIDTH="600"
    HEIGHT="200"
    IMAGEFORMAT="gif"
    SHOW="apcusv apps diskio dnet networks part ping sensors shoutcast system traffic wor
    ms"
    ORDER="traffic system part ping dnet sensors"
    DTIME="15" (15분 간격으로 이미지를 갱신한다.)
    CTIME="24" (24시간 간격으로 통계화면 메인에 표시될 작은 크기의 이미지를 갱신한다.)
     guessing convert method...
     checking for Image::Magick perl module... not found
     checking path to "convert" from ImageMagick (current: not configured)
    detected: /usr/bin/convert
    is this corrrect? (y)
     checking path to "snmpwalk" (current: not configured)
    detected: /usr/bin/snmpwalk
    is this corrrect? (y)
    SNMPWALK="/usr/bin/snmpwalk"
     checking path to "snmpget" (current: not configured)
    detected: /usr/bin/snmpget
    is this corrrect? (y)
    SNMPGET="/usr/bin/snmpget"
    checking path to "snmpbulkwalk" (current: not configured)
    detected: /usr/bin/snmpbulkwalk
    is this corrrect? (y)
    SNMPBULKWALK="/usr/bin/snmpbulkwalk"

    --- Main settings generated. ---

    Writing start/stop script "rrdgraph" ... Ok.

    Now adapt all settings files to satisfy your needs.
    They are all linked to the directory /var/settings .


    3) 필요한 디렉토리 생성

    이제 RRDtool의 웹용 이미지와 html이 저장될 디렉토리와 로그 파일 저장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디폴트로 로그는 HoSaNIC 홈의 var/log에 생성된다.
    (html 홈은 /usr/local/apache/htdocs/ 라고 가정)


    # mkdir /usr/local/apache/htdocs/rrdtool
    # mkdir var/log


    4) 환경 파일의 주요 설정

    HoSaNIC 홈/settings가 주 설정 파일이고
    HoSaNIC 홈/modules/모듈명/settings는 각 모듈별 설정 파일이다.

    주 settings 파일에서 주요 설정을 살펴보자.(반드시 확인할 것에 * 표시해둠)


    # BINPATH  = rrdtool 실행 파일이 있는 경로 (*)
    BINPATH="/usr/local/rrdtool/bin"

    # LOGDIR   = HoSaNIC의 로그 파일 경로
    # LOGSIZE  = 로그 파일 크기
    # LOGBACKUPS = 지정한 개수만큼 로그는 로데이터션되어 백업된다.
    #       로그 파일명은 HotSaNIC.log, HotSaNIC.log.1, ...
    LOGDIR="$DAEMONDIR/var/log/"
    LOGSIZE="200000"
    LOGBACKUPS="5"

    # RUN  = 실행할 모듈 목록 (*)
    # SHOW = 웹페이지로 표시할 모듈 목록 (*)
    # ORDER = 표시할 모듈의 순서를 지정(먼저 쓴 것부터 왼쪽에 표시함)
    RUN="apps diskio networks part ping sensors system traffic"
    SHOW="apps diskio networks part ping sensors system traffic"
    ORDER="traffic system part ping sensors"

    # WEBDIR   = 생성된 이미지, html이 저장될 디렉토리 (*)
    # IMAGEFORMAT = 이미지 파일 형식 (gif 또는 png)
    WEBDIR="/usr/local/apache/htdocs/rrdtool"
    IMAGEFORMAT="gif"

    # DTIME = 지정한 간격으로 이미지를 생성한다. (단위는 분)
    # CTIME = 지정한 간격으로 모니터링 메인화면의 작은 이미지를 생성한다. (단위는 시간)
    #     따라서 처음 설치한 후 지정한 시간내에 convert.pl 명령을 하지 않으면 메인화면의
    #     이미지는 최소 지정 시간동안 볼 수 없다.
    DTIME="15"
    CTIME="24"

    # CONVERTPATH = ImageMagick 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convert 경로를 지정한다.
    CONVERTPATH="/usr/bin/convert"

    # REFRESH = 지정한 초단위로 웹페이지를 리프레쉬해서 보여준다. 기본 300초(5분)
    REFRESH="300"



    각 모듈별 설정은 해당 디렉토리의 settings을 보면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다.
    여기서는 ping, diskio, apps에 대해서만 예를 들어본다.

    * ping 모듈 ( HoSaNIC홈/modules/ping/settings )

     192.168.123.15(파일서버)에 대해 ping을 한다면, 다음을 추가하면 된다.


    HOST=192.168.123.15,File Server


     설정했는데 ping 이미지가 생성안된다면 '5. 문제해결'에 해결방법을 설명해뒀다.

    * diskio 모듈 ( HoSaNIC홈/modules/ping/settings )

    /proc/stat 에서 disk_io 라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disk_io: (2,0):(1,1,2,0,0) (3,0):(306090,39930,942826,266160,5212040)
    (3,1):(55015,28746,1435800,26269,909568) (8,0):(50,50,253,0,0)

    여기서 (3,0) = hda, (3,1) = hdb, (8,0) = sda를 각각 의미한다.
    따라서 hda와 hdb의 disk 입출력을 보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DEV=3_0,hda
    DEV=3_1,hdb


    * apps 모듈 ( HoSaNIC/modules/apps/settings )


    APP=httpd,Apache
    APP=sendmail,Sendmail
    APP=mysqld,Mysql Server
    APP=hanterm,hanterm
    APP=xmms,xmms
    APP=MozillaFirebird-bin,Mozilla Web Browser


    5) 실행

    자~ 이제 웹페이지를 생성하고 rrdgraph만 실행하면 모니터링할 수 있다.


    # ./makeindex.pl
    # ./rrdgraph start



    이제 웹브라우저를 띄우고 보면 된다. 아직 이미지도 안나온는데 뭘 보라는 것일까?
    최소 15분(settings의 DTIME)이 지내야 모듈내의 큰 이미지들이 생성되고
    24시간(CTIME)이 지나면 메인의 작은 이미지가 보일 것이다.
    24시간 전이라도 적당한 시기에 ./convert.pl을 실행하면 메인에서도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부팅할 때 자동으로 rrdgraph가 실행되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rrdgraph 스크립트를 /etc/rc.d/init.d 에 복사를 한 후 chkconfig로 서비스를 추가한다.


    # cp rrdgraph /etc/rc.d/init.d
    # chkconfig -add rrdgraph



    4. RRDtool 직접 다루기

    HoSaNIC은 이미 정해진 모듈을 통해서 RRDtool을 다루는 것이다.
    이제 시스템관리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RRDtool로 직접 조작하여 통계용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간단히 과정을 정리해보면.

    - RRDtool용 자체 DB(일반적으로 .rrd로 지정)를 생성한다.(create) ->
    -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거나 (update) 가져온다.(fetch) ->
    - 이미지를 생성한다. (graph)

    1) rrdtool 명령 익히기

    DB 생성, 이미지 만드는 것은 모두 RRDtool홈/bin/rrdtool 명령을 통해서 한다.


    * 형식 : rrdtool [명령] [명령 옵션...]
    * 예  : rrdtool create coffeenix_status.rrd DS:....


    rrdtool에서 사용 가능한 명령은 무엇이 있을까?


    ---------- -----------------------------------------------------------------------
    명 령   설 명
    ---------- -----------------------------------------------------------------------
    create   새로운 RRD DB를 만든다.
    update   DB에 새 데이터를 저장한다.
    graph    저장된 DB자료를 이용해서 이미지를 생성한다. (.gif 또는 .png)
    dump    RRD DB의 데이터를 XML 포맷으로 뽑아준다.
    restore   XML 포맷에서 RRD DB로 저장한다.
    fetch    RRD DB에서 데이터를 얻어온다.
    tune    RRD DB의 설정을 변경한다.
    last    RRD DB의 최종 업데이트 시간을 알려준다.
    info    RRD DB의 헤더 정보를 보여준다. (파일명, 최근업데이트일, 설정값...)
    rrdresize  RRA 크기를 변경한다. 가능하면 사용하지 말기를
    xport    RRD DB의 데이터를 XML 포맷으로 뽑아준다. (출력 포맷 지정)
    ---------- -----------------------------------------------------------------------


    2) 샘플 DB 생성

    3) 이미지 만들기

    5. 문제 해결

    1) HoSaNIC 로그 파일을 보니 Can't locate RRDs.pm in @INC (@INC contains... 오류가 있습니다.

      RRDtool 설치할 때 make site-perl-install 를 하지 않아 RRDs.pm 펄 모듈이
      설치되지 않아서 입니다.
      RRDtool 소스 디렉토리에 가서 make site-perl-install을 하세요.
     
    2) makeindex.pl 실행할 때 다음 오류가 발행합니다.
      WEBDIR (path to HotSaNIC's output directory) does not exist.

      시스템 모니터링 결과가 저장될 웹디렉토리를 생성하지 않았다.
      위 글중 '3 - 3) 필요한 디렉토리 생성'을 확인해봐라.

    3) 시간이 한참지났는데 ping 이미지가 생성이 안됩니다. 물론 ping설정은 했습니다.
      로그를 보니 Can't locate asm/unistd.ph in @INC (did you run h2ph?).. 가 있습니다.

      펄용 헤더 파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펄 헤더로 변환해주는 h2ph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cd /usr/include; h2ph -r -l .

    6. 이용 사례

  • http://kornet.hanirc.org/chanstat/
     HanIRC의 채널별 사용자 통계를 보여준다. 5분간격의 데이터를 1시간 단위로 자동 업데이트한다.
     장혜식님의 py-rrdtool을 사용한 페이지
    http://people.ee.ethz.ch/~oetiker/webtools/rrdtool/gallery/

    * 참고 자료
  • RRDtool 매뉴얼
     
    http://people.ee.ethz.ch/~oetiker/webtools/rrdtool/manual/index.html
  • itup님의 RRDtool 튜토리얼, 논문 자료
     
    http://myhome.hanafos.com/~itup/index.html
     
  • 이은태님의 'RRDTool로 서버의 상황을 파악하자.'
     
    http://kltp.kldp.org/stories.php?story=03/02/13/1717339

  •  
    Posted by tornado
    |

     

    웹 로그분석의 절대강자는?

     

    웹 로그분석은 말그대로 아파치나 IIS 웹 서버들이 남겨놓은 웹 서버 접속 정보를 바탕으로 이를 분석하고 통계를 내어 보기좋게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오픈소스 OS인 리눅스와 역시 오픈소스 웹서버인 아파치를 많이 사용하는 인터넷 환경에서 웹 로그분석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하겠다. 1998년까지만 하더라도 제대로 된 리눅스용 웹 로그분석기가 없어서 기업 시장에 제대로 접근하기가 힘들었지만 요즘에는 적지 않은 웹 로그분석기들이 나와있어 오히려 어떤 걸 선택해야할지 고민해야하는 시점에 이르렀으니 참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다.

    레드햇 리눅스 9에 기본으로 깔려있는 분석기는 웹얼라이저(Webalizer)인데 간단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보다 훨씬 많은 분석과 통계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로는 AW스테이츠(AWStats)가 있고, 이 중간쯤에서 비주얼한 보고서를 출력하는 것으로는 아날로그(Analog)가 있는데 이 소프트웨어는 비주얼한 보고서를 출력하는 리포트매직(Report Magic)이라는 소프트웨어와 연동해서 움직인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웹로그 분석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웹얼라이저와 AW스테이츠, 아날로그+리포트매직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1.웹얼라이저 (GPL)

    웹얼라이저는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CD만 집어넣어 다시 설치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설치한 후에 설정파일만 손보면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아주 편리하다.

    웹얼라이저가 제공하는 기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홈페이지: http://www.mrunix.net/webalizer/)

    메시지가 한글로 번역된 버전: http://www.oops.org ftp://mirror.oops.org/pub/Linux


    공식 사이트에서 소프트웨어를 내려받아도 되고 김정균님이 메시지를 한글로 번역한 소프트웨어를 내려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웹얼라이저가 분석하고 통계를 낸 웹 화면1)



    (웹얼라이저가 분석하고 통계를 낸 웹 화면2)


    웹얼라이저는 C로 작성되어 있어 실행이 아주 빠른 반면 기능이 비교적 적다. 제공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월별 통계 (총 히트수, 파일수, 페이지수, 방문자수, 데이터 전송량 및 평균/최대값)
    응답코드
    일별 통계(그래프 및 표)
    시간별 통계(그래프 및 표)
    히트 URL 순위
    접속 시작/종료에 사용된 주요 페이지
    페이지 참조 통계
    접속시 사용한 웹브라우저 및 OS (아주 간단히)


    위와 같이 비교적 기본 기능을 제공하는데, 아울러 제공하는 그래프는 그리 세련되지는 않다.


    2.AW스테이츠 (GPL)




    (공식 페이지: http://awstats.sourceforge.net/)


    AW스테이츠는 Perl 스크립트로 만든 로그분석기로 비교적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언뜻 보기에는 웹 서버가 남겨놓은 로그를 하나도 남김없이 분석하고 통계를 낸다는 느낌마저 들 정도다. 일목요연한 출력에 비교적 깔끔한 그래프와 표를 보여주지만 그래프를 보면 항목과 떨어져있어 한눈에 이해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데모 페이지: http://awstats.sourceforge.net/cgi-bin/awstats.pl)


    AW스테이츠는 데모 페이지를 따로 마련해두었는데 위 페이지를 접속하면 소프트웨어를 내려받아 사용하기 전에 마음껏 기능을 음미해볼 수 있어 아주 편리하다.

    제공하는 분석 및 통계 내용을 잠깐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간단한 전체 요약 및 월별 통계 (순 사용자, 방문횟수, 페이지수, 히트수, 전송용량)
    상기 항목에 대한 일별(4 항목)/요일별 통계(3 항목=페이지, 히트, 용량)
    시간별 통계 (3 항목)
    접속 국가 (3 항목)
    접속 호스트 (3 항목 + 최종 접속 일시)
    로봇/스파이더 방문자 (히트수, 데이터용량, 최종 방문 일시)
    접속해서 끊기까지의 시간
    파일 타입(php, html, asp 등에 대한 히트수, 전송용량 등)
    많이 본 페이지 URL, 접속 및 끊기 시 사용된 페이지
    운영체제 (히트수 및 비중)
    브라우저
    경유 사이트(다이렉트/북마크, 뉴스그룹 링크, 인터넷 서치 엔진 경유, 서치 엔진 이외 다른 사이트 경유)
    검색에 사용된 단어 및 구절
    HTTP 응답 코드





    웹얼라이저에 비해 아주 자세한 통계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로봇/스파이더 방문자를 순 방문자와 구별하여 통계를 내어주는 것은 AW스테이츠의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경유 사이트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실제 기업 마케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아울러 AW스테이츠는 웹서버 뿐만 아니라 FTP, 메일 서버까지 분석해준다.



    (메일 서버 분석 통계)


    3.아날로그 + 리포트매직

    아날로그는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공개 소프트웨어로 GPL과는 달리 배포 및 수정에 제한을 두고 있다. 또한 아날로그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리포트 매직은 개인 소유를 기본으로 'Artistic License'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두 소프트웨어는 GPL과는 거리가 있지만 기업이나 개인이 사용하는 데는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아날로그 공식 페이지: http://www.analog.cx/)



    (리포트매직 공식 페이지: http://www.reportmagic.org/)


    리포트매직 사이트는 아날로그와 리포트매직을 함께 사용해서 데모를 시연하고 있다.



    (데모 사이트: http://www.reportmagic.org/sample/index.html)



    (운영체제 통계)


    리포트매직이 제공하는 정보의 양은 웹얼라이즈와 AW스테이츠 중간 정도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통계 요약 및 주간/일별/시간별 보고서
    접속 도메인/단체
    실패한 참조 및 경유 사이트
    검색에 사용된 단어
    브라우저/운영체제
    응답코드
    파일크기, 파일 타입, 디렉토리 보고
    실패한 요청
    접속 페이지 및 파일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3D 그래프와 파이는 매력적이지만 항목별로 자세하지 않은 정보라든지 언급되지 않은 항목도 있어 아쉬움을 남긴다.


    4.웹로그 분석기의 강자는?


    무릇 소프트웨어는 사용 용도와 사용자의 의도에 맞으면 그것이 최고다. 기능이 많든 적든 그림이 멋지든 안 멋지든에 상관없이 말이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지금까지 살펴본 웹얼라이저와 AW스테이츠, 아날로그는 나름대로 일장일단을 가지고 있다.



    (주요 웹로그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정밀하게 비교 분석해놓은 AW스테이츠 메인 페이지)


    상기 사이트는 주요 웹로그 소프트웨어들(지금까지 살펴본 세 가지 소프트웨어 + 히트박스)의 기능을 정밀하게 비교 분석하고 있다. 자신에게 알맞는 소프트웨어를 결정하기 전에 필요한 기능을 미리 확인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이중에서 굳이 강자를 뽑아야한다면 AW스테이츠의 손을 들어주고 싶다. 아주 자세하고 꼼꼼한 정보는 웹 사이트 운영자에게 단순한 정보제공뿐만이 아니라 웹 사이트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해준다. 그리고 웹 서버 뿐만 아니라 메일 서버, FTP 서버에 대한 통계는 또 나름대로 쓰일 일이 있을지도 모른다.

    정밀한 접속 분석/통계를 필요로 하는 본격 웹 사이트에는 AW스테이츠를, 간단한 정보를 간편히 보고 싶은 사이트에는 웹얼라이즈를, 멋진 그래프와 고급스러운 디자인이 우선이라면 아날로그를 권하고 싶다.

    지금까지 살펴본 소프트웨어들은 대다수 소스를 함께 제공한다. 따라서 저작권에 따라 다소 다르겠지만 자유 소프트웨어인 경우 소스를 고쳐 자신의 웹 사이트에 적용하거나 아니면 이를 필요로하는 고객들에게 공급해줄 수도 있겠다.

    자유 소프트웨어와 함께 즐거운 삶이 되기를!

     

    OSS로고

     

    Posted by tornado
    |
    흔히들 리눅스를 설치하고 그냥 외부에 공개해버리는 서버들이 간혹있습니다.
    이에 따른 버그조차조 패치를 않하고 기본적으로 사용을 하는 분들이 많이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이며, 버젼별로 버그 패치를 꼭 해주셔야 합니다.
    또한 각종 remote bug가 허용되는것들은 조심을 하셔야 한다고 생각되며
    아래에 보안 리눅스 디폴트 퍼미션을 공개합니다. 마음대로 설정은 하셔도
    되며 저에게는 어떠한 책임이 없음을 여기서 밝혀드립니다.

    ▶ 표준 보안 퍼미션 설정
    /bin/ root.root 711
    /boot/ root.root 700
    /dev/ root.root 711
    /dev/audio* root.audio 600
    /dev/dsp* root.audio 600
    /etc/ root.adm 711
    /etc/conf.modules root.adm 640
    /etc/cron.daily/ root.adm 750
    /etc/cron.hourly/ root.adm 750
    /etc/cron.monthly/ root.adm 750
    /etc/cron.weekly/ root.adm 750
    /etc/crontab root.adm 640
    /etc/dhcpcd/ root.adm 750
    /etc/dhcpcd/* root.adm 640
    /etc/esd.conf root.audio 640
    /etc/ftpaccess root.adm 640
    /etc/ftpconversions root.adm 640
    /etc/ftpgroups root.adm 640
    /etc/ftphosts root.adm 640
    /etc/ftpusers root.adm 640
    /etc/gettydefs root.adm 640
    /etc/hosts.allow root.adm 640
    /etc/hosts.deny root.adm 640
    /etc/hosts.equiv root.adm 640
    /etc/inetd.conf root.adm 640
    /etc/rc.d/init.d/ root.adm 750
    /etc/rc.d/init.d/syslog root.adm 740
    /etc/inittab root.adm 640
    /etc/ld.so.conf root.adm 640
    /etc/lilo.conf root.adm 600
    /etc/modules.conf root.adm 640
    /etc/motd root.adm 644
    /etc/printcap root.lp 640
    /etc/profile root.root 644
    /etc/rc.d/ root.adm 640
    /etc/securetty root.adm 640
    /etc/sendmail.cf root.adm 640
    /etc/shutdown.allow root.root 600
    /etc/ssh_config root.root 644
    /etc/ssh_host_key root.adm 640
    /etc/ssh_host_key.pub root.adm 644
    /etc/sshd_config root.adm 640
    /etc/syslog.conf root.adm 640
    /etc/updatedb.conf root.adm 640
    /home/ root.adm 751
    /home/* current 700
    /lib/ root.adm 751
    /mnt/ root.adm 750
    /root/ root.root 700
    /sbin/ root.adm 751
    /tmp/ root.root 1777
    /usr/ root.adm 751
    /usr/* root.adm 751
    /usr/X11R6/ root.xgrp 751
    /usr/bin/ root.adm 751
    /usr/bin/* root.root 755
    /usr/sbin/ root.adm 751
    /usr/sbin/* root.root 755
    /var/ root.root 755
    /var/log/ root.root 711
    /var/log/* root.root 600
    /var/spool/mail/ root.mail 771

    ▶툴들에 대한 퍼미션 설정

    1. 컴파일 툴들의 퍼미션 설정
    chmod 0700 /usr/bin/gcc
    chmod 0700 /usr/bin/g++
    chmod 0700 /usr/bin/cc
    chmod 0700 /usr/bin/colorgcc

    2. 시스템 툴들의 퍼미션 설정
    chmod 0700 /usr/bin/w
    chmod 0700 /usr/bin/who
    chmod 0700 /usr/bin/finger

    3. 네트워크 툴들의 퍼미션 설정
    chmod 0700 /bin/ping
    chmod 0700 /usr/bin/telnet (이나 아마 /bin/telnet일겁니다.)
    chmod 0700 /usr/bin/ssh (만일 여러분이 ssh를 설치하였다면)
    chmod 0700 /usr/sbin/traceroute

    ▶물리적 보안
    보통 서버가 외부 사람이 많이 오는곳에 설치되어있다면 그 사람들중에
    물리적 크래킹을 하기위하여 다가오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에 방어
    할수 있는것은 바로 lilo와 root로 조인을 못하게 설정하는것입니다.

    1. lilo.conf의 설정
    /etc/lilo.conf 의 맨위에다가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합니다.
    #My LILO password
    password=foobar <-- 비번입니다.

    저장을 하고 나서,
    chmod a-r /etc/lilo.conf
    아무도 못보게 설정을 합니다.

    그다음 /sbin/lilo를 구동시켜 새로운 설정을 적용시킵니다.

    2. /etc/inittab 의 설정
    로컬에서는 루트로도 접근이 가능합니다.
    허나 이를 막기 위하여 이 파일을 수정하셔야 합니다.
    ca::ctrlaltdel:/sbin/shutdown -t3 -r now
    이라고 보이실겁니다. 이것을 아래와 같이 변경을 합니다.
    ca::ctrlaltdel:/sbin/shutdown -a -t3 -r now
    저장을 하시고 나서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수행합니다.
    #telinit q
    #
    위와 같이 한후에 보시게 되면 /etc/에 shadow.allow가 만들어질것입니다.
    그것이 있다면 아무나 리부팅을 못하는것이죠.

    3./etc/securetty 의 설정
    /etc/securetty 파일을 열게 되면 아마도 아래와 같이 있을것입니다.

    # /etc/securetty
    tty1
    tty2
    tty3
    tty4
    tty5
    tty6

    이것은 로컬에서 root로 들어올수 있는것이죠.
    그래서 이것을 막게 하는것입니다. 그래야 공개된 석상에서 아무도 root를
    뚫고 들어오지를 못할테니까여... 설령 linux single로도...
    그래서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합니다.
    # /etc/securetty
    #tty1
    #tty2
    #tty3
    #tty4
    #tty5
    #tty6

    이후에 telinit q를 실행하여 지금 방금 설정한것에 대한 적용을
    시킵니다.
    그후 로그인을 해봅니다.
    Kernel 2.2.13-pre3 on an i686 / tty3
    H4cker login: root
    Password:
    Login incorrect

    login: root
    Password:
    Login incorrect

    Done, root is not allowed login.

    위와 같이 떨어지겠죠? 그렇다면 아무리 공개된 석상에 서버를 가져다 놓아도
    크래킹 당할 염려가 없답니다. 그사람이 암호를 알지 못하는 이상...
    그럼 즐~~
    Posted by tornad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