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 : rsync의 소개와 설치 | |
![]() | |
일반적으로 웹서비스를 시작하는 회사에서 사용자가 늘어감에 따라서 웹서버의 증설을 하는 경우 시스템 관리자가 첫번째로 맞닥뜨리는 문제중에 하나가, 각각의 웹서버에 있는 정보의 동기화입니다. 웹서버가 한대일경우는 이러한 문제로 고민할 필요가 없겠지만, 트래픽증가로 웹서버를 증설했을경우 각각의 웹서버로 매일 업데이트되는 정보를 일일이 올려준다면 정말 귀찮은 작업이 되겠죠? 그렇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리눅스의 rsync가 이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해 드릴테니까요. 눈치 빠른 분들은 rsync가 무엇인지 앞의 말들로 어느정도 이해 하셨으리라 봅니다. 간단하게 rsync는 여러대의 서버들이 동일한 정보를 가질수 있도록 해주는 서버동기화 프로그램이라고 할수있습니다. NT를 접해보신 분들이라면 미러링(mirroring)에 대해서 아실겁니다. 로컬에서는 특정하드디스크나 파티션의 정보를 다른 하드디스크나 파티션으로 동일하게 복제해주는것이죠. 미러링의 개념은 NT에만 국한된것은 아닙니다. NT에서 자체제공하는 옵션으로 미러링을 제공하듯이 리눅스에서도 rsync나 기타 다른 프로그램으로 미러링을 지원하죠. 물론 rsync는 로컬에서 로컬로는 미러링을 할수없지만, 로컬과 원격지의 미러링을 지원합니다. 보통 anonymous ftp서버나 웹서버의 미러링에 많이 쓰이죠. rsync의 개념이 대강 잡히시죠? 그럼 이제부터 rsync라는 녀석을 어떻게 설정해야할지, 또 어떻게 써야할지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redhat배포판 6.2에는 rsync-2.4.1-2 버젼이, 또 7.1-kr에는 rsync-2.4.6-2버젼이 기본으로 깔려있습니다. 만약 없으시다면, http://rsync.samba.org/ftp/rsync/ 에서 최신판을 받아서 설치하세요. 우선 받으시면 컴파일을 하셔야겠죠?
|
|
|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하게 ftp 에 접속하는법 (0) | 2004.07.06 |
---|---|
[펌] rsync 의 미러링 기능을 이용한 백업 (0) | 2004.07.05 |
리눅스 서비스에 있던것들 종류.. (0) | 2004.07.05 |
proftpd 로그 파일 지정 (0) | 2004.07.05 |
Proftpd 접속 느릴때.... (0) | 2004.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