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Linux(RedHat), FreeBSD, Windows에 Java Path 설정 조회 35 | 추천 | 스크랩
IT 상식 | 2004-11-16 00:08:04  
PATH 지정의 목적 : 현재 디랙토리가 어디이던 JDK의 "bin"폴더에 있는java.exe, javac.exe등을 실행시키기 위한 경로를 지정
 
 
 
Linux
=====
 
 .bash_profile 또는 .bashrc에서
export PATH=$JAVA_HOME/bin을 지정
 
#설치 위치 : /usr/local/j2sdk1.4.2_02/ (/usr/local/jdk 로 심볼릭 링크)
#export JAVA_HOME=/usr/local/jdk
#export CLASSPATH=$JAVA_HOME/classes12.zip:/root/j2sdk1.4.2_02/lib
#export PATH=$PATH:$JAVA_HOME/bin:$JAVA_HOME/jre/lib
 
 
# .bash_profile
# Get the aliases and functions
if [ -f ~/.bashrc ]; then
 . ~/.bashrc
fi
# User specific environment and startup programs
PATH=$PATH:$HOME/bin
BASH_ENV=$HOME/.bashrc
USERNAME="root"
export USERNAME BASH_ENV PATH
export PATH=$PATH:$usr/java/j2re1.4.2_06/bin/
 
 
 

 

 
FreeBSD
========
 
/etc/profile 또는 $HOME/.bash_profile $HOME/.bashrc, .cshrc
(env 명령으로 쉘을 확인한 후 어떤 쉘을 쓰는지 확인)
 
# tcsh 쉘의 설정(.cshrc)
----------------------
# alias
alias l  ls -alF
alias ns netstat -nr
alias pp ps -aux
 
# path
set path = (/sbin /bin /user/sbin /usr/bin /usr/local/sbin /usr/local/bin /usr/X11R6/bin)
set path = ($path $HOME/bin)
 
# 환경변수
setenv LANG ko_KR.EUC
 
# 쉘 프롬프트
set prompt = "$user %c2> "
set prompt = "$user $cwd> "
set prompt = "`hostname -s`> "
 
# jdk
setenv JDK /usr/local/jdk1.1.8
set path = ($path $JDK/bin)
setenv CLASSPATH $JDK/lib/classes.zip:.
setenv LD_LIBRARY_PATH $JDK/lib/i386
 
# stty
stty erase ^H

 
# Bourne Shell의 설정(.profile)
-----------------------------
# alias
alias l='ls -alF'
 
# 로케일
LANG="ko_KR.EUC"; export LANG
 
#path
PATH=/sbin:/bin:/usr/sbin:/usr/bin:$HOME/bin; export PATH
 

 
Windows
========

도스창을 열고 set path=...... 명령을 넣으면 그 도스창을 띄운 프로세스에만 적용
 
autoexec.bat에 아래 내용 추가후 Rebooting
예) set path=%path%;c:JDK설치위치bin
설명 ) path라는 변수를 셋팅하는데 "기존의 path 변수에 있는 설정값"을 가져오고(%path%) , 추가로(;) "c:j2sebin"라는 폴더를
패스를 잡아서 어디서든지 그 안에 있는 명령어들을 쓸수있게 한다
 
환경변수를 아래와 같이 수정
예) '시작' > '설정' > '제어판' > '시스템' 으로 가서... '고급'tab > '환경변수' 버튼 클릭
     > '시스템 변수'에 "path" 더블 클릭 >  ;c:JDK설치위치bin 내용 추가
Posted by tornado
|

7월부터의 대장정을 시작하여.. 드뎌 끝났다...

 

32권짜리 도쿠가와 이에야스... 다 읽음..

 

아침저녁으로 지하철에서 잠깐씩 읽었는데 다 읽었다니 ^^

 

 

'이것저것 >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힘들다구 불평하지 말아요..  (0) 2004.12.03
3700 히트 이벤트!!!  (0) 2004.12.03
3600 히트 이벤트!!!  (0) 2004.11.24
[펌] 난감한 교통사고  (0) 2004.11.23
헐... 삽질 ㅜㅜ  (0) 2004.11.19
Posted by tornado
|
[방문히트이벤트] 3600 히트를 잡아라!
아오이님이 당첨되었습니다.

'이것저것 >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3700 히트 이벤트!!!  (0) 2004.12.03
드뎌 다 읽었당  (0) 2004.11.25
[펌] 난감한 교통사고  (0) 2004.11.23
헐... 삽질 ㅜㅜ  (0) 2004.11.19
3500 히트 이벤트!!!  (0) 2004.11.12
Posted by tornado
|

   document.dailyReport.encoding = "multipart/form-data";
   document.dailyReport.action  =  "<%= request.getContextPath() %>/Report/DailyReportWrite.GND";
   document.dailyReport.submit();

 

 

첫째줄 처럼 FormName.encoding =  하고 지정하니 되네여 ^^

Posted by tornado
|

'이것저것 >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뎌 다 읽었당  (0) 2004.11.25
3600 히트 이벤트!!!  (0) 2004.11.24
헐... 삽질 ㅜㅜ  (0) 2004.11.19
3500 히트 이벤트!!!  (0) 2004.11.12
3400 히트 이벤트!!!  (0) 2004.11.09
Posted by tornado
|

'JAVA > J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k] 자바 검색 봇~  (0) 2005.01.11
[펌] [Collection Framework ] List, Set and Map  (0) 2004.12.29
[허가없는 링크^^] 패턴  (0) 2004.10.25
[펌] JAVA application 성능향상..  (0) 2004.10.07
[펌 http://raytrust.pe.kr/] signed applet  (0) 2004.09.06
Posted by tornado
|

자바스크립트에서...

 

var type = "request.getParameter("type");

 

이렇게 하니 나오냐... <%= %> 는 어따 내버리고 와서리 ㅎㅎㅎ

'이것저것 >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00 히트 이벤트!!!  (0) 2004.11.24
[펌] 난감한 교통사고  (0) 2004.11.23
3500 히트 이벤트!!!  (0) 2004.11.12
3400 히트 이벤트!!!  (0) 2004.11.09
[펌] (동영상모음) 어리버리한 빼꼼씨리즈  (0) 2004.11.09
Posted by tornado
|
[방문히트이벤트] 3500 히트를 잡아라!
이클립스님이 당첨되었습니다.

'이것저것 >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난감한 교통사고  (0) 2004.11.23
헐... 삽질 ㅜㅜ  (0) 2004.11.19
3400 히트 이벤트!!!  (0) 2004.11.09
[펌] (동영상모음) 어리버리한 빼꼼씨리즈  (0) 2004.11.09
오늘의 삽질..  (0) 2004.11.04
Posted by tornado
|

FreeBSD설치 안내서 입니다.

pdf포맷이고 한글이며 저작권에 관해서는 파일내를 참고하세요...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Apache] httpd.conf 환경설정  (0) 2004.12.08
[엠파스 펌] netstat 에서 state 설명  (0) 2004.12.02
[펌] Installing Oracle9i on FreeBSD  (0) 2004.11.11
[펌] FreeBSD 5.0 설치하기  (0) 2004.11.11
[펌]sendmail 인증 사용하기..  (0) 2004.11.05
Posted by tornado
|

Copy & Paste 가 제대로 안되서 그냥 pdf파일로 만듬


내가 FreeBSD를 설치를 하고 거기에 Oracle까지 설치를 하게 될줄은 몰랐음...


재미있긴했으나...


OS를 설치하는건 역시 노가다였음-_-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엠파스 펌] netstat 에서 state 설명  (0) 2004.12.02
[펌] FreeBSD설치 안내서  (0) 2004.11.11
[펌] FreeBSD 5.0 설치하기  (0) 2004.11.11
[펌]sendmail 인증 사용하기..  (0) 2004.11.05
[bbs.kldp.org에서 펌] 분할 압축하기...  (0) 2004.10.14
Posted by tornado
|

r1.2과 현재 버전의 차이점

FreeBSD(프비라고 부르겠다)는 분명 편리하고 강력한 OS 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 이유에는 관련 자료나 번역 문서의 부족도 한 몫 할 것이다.
이 문서에서는 프비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각 과정마다 캡처를 해서 구성했기 때문에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나는 프비 5.1 을 VMware 에 설치했다. 현재 최신 버전은 5.2 이지만, VMware 에서 원활히 설치가 안되는 관계로 5.1 로 설치했다. 비록 VMware 로 설치했지만, 일반 서버나 데스크탑에서와 거의 같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 문서에서는 프비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각 과정마다 캡처를 해서 구성했기 때문에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나는 프비 5.1 을 vmware 에 설치했다. 현재 최신 버전은 5.2 이지만, vmware 에서 원활히 설치가 안되는 관계로 5.1 로 설치했다. 비록 vmware 로 설치했지만, 일반 서버나 데스크탑에서와 거의 같을 것으로 생각한다.
우선 프비를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ftp://ftp4.kr.freebsd.org/pub/FreeBSD/releases/i386/ISO-IMAGES/]
@@ -187,7 +187,7 @@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39.GIF

나의 경우는 VMware를 사용해서 설치를 하고 있기 때문에 '29. VMWare guest OS (generic)' 을 선택했다. 예전에는 xfree86에서 VMware을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설치후에 vmware-tool 을 설치해서 따로 잡아주어야 했지만, xfree86 4.3.x 에서 부터는 공식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참 좋아졌다. ^^;
나의 경우는 vmware를 사용해서 설치를 하고 있기 때문에 '29. VMWare guest OS (generic)' 을 선택했다. 예전에는 xfree86에서 vmware을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설치후에 vmware-tool 을 설치해서 따로 잡아주어야 했지만, xfree86 4.3.x 에서 부터는 공식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참 좋아졌다. ^^;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40.GIF



들어가기 전에 #

FreeBSD(프비라고 부르겠다)는 분명 편리하고 강력한 OS 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 이유에는 관련 자료나 번역 문서의 부족도 한 몫 할 것이다.
이 문서에서는 프비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각 과정마다 캡처를 해서 구성했기 때문에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나는 프비 5.1 을 vmware 에 설치했다. 현재 최신 버전은 5.2 이지만, vmware 에서 원활히 설치가 안되는 관계로 5.1 로 설치했다. 비록 vmware 로 설치했지만, 일반 서버나 데스크탑에서와 거의 같을 것으로 생각한다.
우선 프비를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CD 설치를 할 것이므로 받은 파일을 CD로 굽도록 한다.

설치 하기 #

CD롬 부팅을 하면, 아래 그림이 뜬다. 이는 프비 5.x 들어서부터 생긴 부팅화면인데, 옆에 서있는 데몬(프비의 마스코드다)가 귀엽기만 하다 ^^;
총 7개의 메뉴가 있다. 간단히 설명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번호 설명
1 기본적인 부팅이다. 일반적으로 설치를 할때 선택한다.
2 ACPI 기능을 활성화 시켜서 부팅한다.
3 안전모드로 부팅한다.
4 싱글 모드로 부팅한다. 비상시에 사용한다.
5 verbose logging 모드로 부팅한다.
6 부트로더 프롬프트로 빠져나간다.
7 재부팅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1.GIF

앞에서 1 번을 선택하고 성공적으로 부팅하면 다음과 같이 설치 화면이 뜬다. 여기서도 각 메뉴에 따라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번호 설명
Standard 가장 기본적인 설치 방법이다.
Express 좀더 빠른 설치 방법이다. 전문가에게 권장
Custom 설치하고 싶은 것만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다. 역시 전문가에게 권장
Configure 설정을 추가하거나, 변경하고 싶을 때 선택한다.
Doc 설치 관련 문서를 볼 수 있다.
Keymap 키보트 타입을 설정한다.
Options 설치옵션을 보거나 설정할 수 있다.
Fixit 비상모드로 고칠때 선택한다.
Upgrade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할 때 선택한다.
Load Config 설치 설정 파일을 읽어 들인다.
Index 함수를 검색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2.GIF

위에서 'Standard' 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FDISK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는 프비를 설치할 전체 파티션 하나만 정해주면 된다. 혹시나 리눅스에서 처럼 각 파티션을 지정주지 않아도 된다. 나중에 각각의 파티션을 지정하는 부분이 있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3.GIF

프비를 설정할 전체 파티션을 정했으면, 그 파티션을 'Set Bootable' 로 설정해준다. 모든 설정이 끝났으면, 'Q' 를 눌러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자.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4.GIF

부트로더 설정 화면이다. 여기서는 하드에 프비만 설치를 할 것이기 때문에 'Standard' 를 선택한다. 만일 동일 하드에 다른 파티션에 다른 OS 가 설치되어 있다면, '?BootMgr' 이나 'None' 을 선택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5.GIF

다음은 앞에서 설정해준 전체 파티션에서 각각의 세부적인 파티션으로 지정해주는 단계이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6.GIF

파티션을 지정해 줄때 주의할 점이 있다. 리눅스와 같이 루트(/) 파티션과 스왑 파티션만으로 설치를 하게 되면, 다음에 부팅이 안된다는 점이다.
내가 삽질을 했던 부분인데, 나중에 알게된 사실이지만, 프비에서는 최소한 / , swap , /var , /usr 파티션으로 나눠주어야 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7.GIF

다음은 설치 유형을 지정해주는 부분이다. 여기서는 'All' 을 선택했다. 각자 자신에 목적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8.GIF

설치할 매체를 지정해주는 부분이다. 보다시피 프비는 여러가지 설치매체를 지원한다. 앞에서 우리는 CD로 구웠기 때문에 'CD/DVD' 를 선택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9.GIF

프비 베이스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는 모습이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10.GIF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설치가 성공했다는 축하 메세지가 뜬다. 아직 설치가 끝난 것이 아니다.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11.GIF

랜카드를 설정해주는 과정이다. 위와 같은 메세지가 뜨지 않았다면, 불행하지만, 프비에서 인식을 못했다는 얘기다. 왠만하면, 프비에서 지원하는 랜카드를 쓰기를 권장한다. 'Yes' 로 선택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12.GIF

아래 그림과 같이 맨 위에 잡힌 랜카드 종류와 장치명이 보일 것이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13.GIF

각자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설정을 해주면 된다. 유동 IP 라면, DHCP를 선택하면 되고, 고정 IP 라면, STATIC을 선택하면 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14.GIF

다음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서버로 사용할 것인지를 묻는다. 여기서는 'No' 를 선택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15.GIF

다음은 inetd 서비스 데몬을 설정할 것인지를 묻는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16.GIF

익명(anonymous)으로 FTP 서버에 접속이 가능하게 할 것인지를 묻는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17.GIF

NFS(network file system)을 설정할 것인지를 묻는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18.GIF

보안 레벨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프비는 보안설정을 상, 중, 하로 설정할 수가 있다. 따로 지정을 해주지 않으면 중간으로 선택이 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19.GIF

나의 경우 따로 지정을 해주지 않았기에 'Moderate' 에 대한 설정을 하고 있다. 센드메일(sendmail) 과 SSH 를 허용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20.GIF

시스템 콘솔을 설정할 수 있다. 나는 'No' 를 선택했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21.GIF

시스템 시간을 세팅해주는 부분이다. 여기서는 'Yes' 를 선택했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22.GIF

시간을 CMOS 에 지정되어 있는 설정으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따로 설정을 해줄 것인지를 지정한다. 여기서는 'No' 를 선택했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23.GIF

여기서는 현재 살고 있는 지역을 선택해주면 된다. 시스템 시간대를 맞추기 위한 설정이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24.GIF

프비에서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게 하는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겠는지를 묻는다. 여기서는 'Yes' 를 선택했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25.GIF

다음은 마우스 설정이다. X window 를 사용한다면, 반드시 있어야 한다. 마우스가 있다면, 'Yes' 를 선택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26.GIF

마우스의 종류나 타입(type)를 정해주는 곳이다. 2 번(Enable)을 선택해서 마우스 포인터가 제대로 나오는지, 잘 움직이는 지를 확인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27.GIF

X server 를 설치 여부를 묻는다. 여기서는 'Yes' 를 선택했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28.GIF

X server 를 설치하기 위해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모두 X server 설정을 위한 도구지만, 각각 설정하는 방법들이 다르다. 나는 4번(xf86config)을 선택했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29.GIF

현재 마우스 데몬이 실행되고 있고, '/dev/sysmouse' 로 선택해주면 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30.GIF

본격적인 xf86config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 'Enter' 입력해서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31.GIF

마우스 설정이다. 여기서는 '1. Auto' 선택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32.GIF

에뮬레이션 3버튼을 사용할 것인가 여부를 묻는 과정이다. 여기서는 'y' 를 선택했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33.GIF

마우스 장치를 지정해주는 부분이다. 앞에서 것과 같이 그냥 'Enter' 치고 넘어가면 기본적으로 '/dev/sysmouse' 로 설정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34.GIF

키보드 설정이다. '1. Generic 101-key PC' 선택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35.GIF

키보드 언어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Korean' 이 없으므로, '1. U.S. English' 을 선택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36.GIF

모니터 설정이다. 정확히 현재 모니터의 해상도를 모른다면, 가장 근접한 값을 선택하면 된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모니터 메뉴얼을 보고 정확한 값을 입력하는 방법을 권장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37.GIF

수평 해상도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38.GIF

그래픽 카드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자신의 그래픽카드의 정보를 정확히 알고 있다면, 굳이 xfree86 이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 목록을 안봐도 되겠지만 보는 것을 강력 추천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39.GIF

나의 경우는 vmware를 사용해서 설치를 하고 있기 때문에 '29. ?VMWare guest OS (generic)' 을 선택했다. 예전에는 xfree86에서 vmware을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설치후에 vmware-tool 을 설치해서 따로 잡아주어야 했지만, xfree86 4.3.x 에서 부터는 공식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참 좋아졌다. ^^;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40.GIF

그래픽 카드 메모리를 지정해준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42.GIF

해상도를 설정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43.GIF

가상(virtual) 화면이 물리(physical) 화면보다 클때 사용할 것이지를 물어본다. 여기서는 'y' 선택했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44.GIF

색상의 수를 설정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45.GIF

이제 모든 X 설정이 끝났다. /etc/X11?/XF86Config 파일에 설정 내용을 저장할 것이지를 묻는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46.GIF

X Manager 를 선택할 차례다. 프비는 많은 X Manager 를 지원하고 있다. 여기서는 'GNOME 2' 선택했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47.GIF

여기서는 패키지를 선택해서 설치하는 과정이다. 보면 알겠지만, 프비가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엄청나게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필요한 것만 체크해서 설치하면 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48.GIF

일반 계정 유저를 만들기를 권하고 있다. root 로 로그인해도 되지만, 이것은 매우 위험하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49.GIF

마지막으로 위에서의 과정에서 설정을 수정한다거나, 제거한다거나, 추가할 것이 있으면, 'Yes' 를 선택한다.

http://fat81.org/moniwiki/images/freebsd_install/50.GIF

이렇게 해서 길고긴(?) 프비 설치를 모두 마쳤다. 재부팅을 하고 나면, 프비 5.1 이 여러분을 맞이할 것이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FreeBSD설치 안내서  (0) 2004.11.11
[펌] Installing Oracle9i on FreeBSD  (0) 2004.11.11
[펌]sendmail 인증 사용하기..  (0) 2004.11.05
[bbs.kldp.org에서 펌] 분할 압축하기...  (0) 2004.10.14
[펌] SNMP개요및 설치,운용  (0) 2004.08.21
Posted by tornado
|
질문,광고 등록 절대금지! 질문은 Q&A로
글쓴이:슈퍼개발 완전 로딩후 페이지 보여주기 (onreadystatechange)조회수:926

http://www.mytechnic.com
http://msdn.microsoft.com/library/default.asp?url=/workshop/browser/mshtml/reference/ifaces/document2/get_readystate.asp

최근에 완전로딩후에 페이지를 보는 방법에 대한 팁이 자주 보고,  아래에 어떤 분이 readystate에 대한 언급을 해 주셔서,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내용은 아주 간단합니다.

lib.php ------------------------------------
<?php
function loadding()
{
    echo ("
        <div ID='waitingDiv' style='position:absolute; overflow:hidden; border:0px; z-index:1;'>
        <table width='880' height='500'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tr>
            <td align='center'>
                <table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tr>
                    <td>
                        <table width='500' border='0' cellpadding='10' cellspacing='1' bgcolor='#D0D0D0'>
                        <tr bgcolor='#F5F5F5'>
                            <td align='center'>
                                <table width='400'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tr>
                                    <td><font style='font-size:9pt;' color='#FF0000'>처리중입니다.</font></td>
                                </tr>
                                <tr>
                                    <td><font style='font-size:9pt;' color='#6600FF'>잠시 기다려 주세요.</font></td>
                                </tr>
                                <tr height='50'>
                                    <td></td>
                                </tr>
                                <tr>
                                    <td><img src='http://www.mytechnic.com/_logo/logo.gif' width='126' height='39' border='0'></td>
                                </tr>
                                </table>                        
                            </td>
                        </tr>
                        </table>
                    </td>
                </tr>
                </table>
            </td>
        </tr>
        </table>
        </div>

        <SCRIPT LANGUAGE='JavaScript'>
        <!--
        document.onreadystatechange = fnStartInit;
        function fnStartInit()
        {
           if (document.readyState=='complete')
           {
                if (document.all['waitingDiv']) {
                    document.all['waitingDiv'].style.visibility = 'hidden';
                }
           }
        }
        //-->
        </SCRIPT>");
        flush();
}
?>

demo.php ------------------------------------
<?php
include("lib.php");
loadding();

// PHP 코딩 시작하세요.



?>

Posted by tornado
|
오른쪽 마우스단추 누름 금지 에서는 오른쪽 단추를 누를 경우
경고 메시지가 떴지만, 여기서는 경고메시지도 뜨지 않고,
텍스트영역을 선택할 수 없게 할 수도 있습니다.

body 태그안에 <body oncontextmenu="return false">
라고 쓰면 되지여.

또한
마우스로 텍스트영역 선택도 할 수도 없게 하려면
ondragstart="return false" onselectstart="return false" 를 더 추가해서
<body oncontextmenu="return false" ondragstart="return false" onselectstart="return false">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Posted by tornado
|

fieldset를 이용하면 테두리를 여러모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겉보기에는 테이블과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약간 다릅니다.
한 칸으로 구성된 박스를 만들 때 테이블을 사용하면 tr 이나 td 도 따로 넣어야 하는 수고가 따르지만,
fieldset 은 그런 번거로움이 없습니다.
제목을 박스 위의 테두리에 걸치게 할 수 있는것도 특이하죠.

제목내용

<fieldset><legend align="center">제목</legend>내용</fieldset>
 

제목field 크기 정하기

<fieldset style="width:300; height:100">크기 정하기</fieldset>
 

제목두께, 모양, 색 바꾸기

<fieldset style="border:1 solid #9FB6FF">두께, 모양, 색 바꾸기</fieldset>

제목여백 넣기

<fieldset style="padding:15">여백 넣기</fieldset>

응용하면 아래와 같은 모양으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여어자우리가 산다는 것은
누군가에게 빚지며 사는 것
그 누군가 나를 향해 미소 지을 때
그때야 비로소 내가 살아 있는 것
우리가 산다는 것은
누군가에게 진 빚 되 갚으며 사는 것
그 누군가가 나를 향해 내민 손의 온기
또 다른 누군가에게 전해 주며 사는 것

<fieldset style="border:1 solid navy; background: url(bg.gif) no-repeat right bottom; width:300; height:200; padding:20">
<legend align="center">제목</legend>내용</fieldset>

1은 테두리 굵기, navy는 테두리 색, bg.gif는 배경그림의 경로 및 이름
300은 박스의 가로 크기, 200은 박스의 세로 크기, 20은 박스 내부의 여백


Posted by tornado
|

 

 

 /**
 * 문자 사이의 공백을 제거한다.
 * @param str  공백제거할 문자열
 * @return  공백제거된 문자열
 */
 function removeBlank(str){ 
  str = str.replace(/\s/g,'');

  return str;

 }

 

 

Posted by tornado
|

톰캣과 사투를 벌이던중 자바서비스넷에서 발견한 유용한 정보가 있어서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requestmon은 자바서비스넷의 이원영씨가 제작한 것으로 서블렛엔진이나 WAS에서 서비스중인

servlet 이나 JSP의 목록을 실시간으로 보여주고, 필요한 경우, 응답이 느린 서비스들만 대상으로 하여 특별한 로그파일에 기록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애진단및 디버깅을 하기 위해 각 서비스들을 관찰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클래스를 만든후 컴파일해서

/WEB-INF/classes/filters 에 둔후..


package filters;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public class RequestMonFilter implements Filter {
    protected FilterConfig filterConfig = null;

    public void doFilter(ServletRequest request, ServletResponse response,
                         FilterChain chain)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org.jdf.requestmon.ServiceTrace trace =
             org.jdf.requestmon.ServiceTrace.getInstance();
        trace.startTrace((HttpServletRequest)request);
        try {
        chain.doFilter(request, response);
        }finally {
         trace.endTrace((HttpServletRequest)request);
        }
    }

    public void destroy() {
        this.filterConfig = null;
    }
   
    public void init(FilterConfig filterConfig) throws ServletException { }
}

requestmon3.5.2-4.jar를 /WEB-INF/lib 폴더아래에 둡니다.

물론 jar파일은 filter 컴파일에도 필요합니다.

requestmon.jsp는 다른 JSP두는 적당한 곳에 두시구요.

/WEB-INF/web.xml을 열고 다음을 추가합니다.

    <filter>
        <filter-name>Request Monitor Filter</filter-name>
        <filter-class>filters.RequestMonFilter</filter-class>
    </filter>

    <filter-mapping>
        <filter-name>Request Monitor Filter</filter-name>
        <url-pattern>/*</url-pattern>
    </filter-mapping>

이제 톰캣을 구동시키고 /requestmon.jsp 를 호출해보면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실행속도가 3초이상 걸리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tomcat_home%/bin 디렉토리에 trace.log에 로그가 남겨집니다.

일단 제가 톰캣에 적용시켜서 잘 돌아가는걸 확인했구요..

다른 서블릿엔진에서도 문제없이 돌아가리라고 생각합니다..

 

출처 : 자바서비스넷

Posted by tornado
|

출처 : http://www.zdnet.co.kr/techupdate/lecture/os/0,39024998,39130016,00.htm

SP2 출시로 인해 윈도우 사용자들은 보안과 설정에 대한 선택권이 보다 넒어졌다. 그러나 기본적인 보안 기능을 강화됨에 따라 웹사이트 개발자들에게는 그 동안 별 문제 없이 사용되던 웹사이트의 기능들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윈도우 XP 서비스팩2는 8월 11일 RTM 버전이 출시 되었고, 9월 2일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해 모든 윈도우 XP 사용자에게 배포 되게 된다. 또한, 10월 1일부터는 모든 윈도우 XP를 탑재하는 PC에 기본 탑재돼 출시 된다. 우리 나라가 윈도우 XP 사용자가 해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고, 주요 제한 기능들이 팝업과 액티브X 컨트롤 등 우리 나라에서 큰 거부감 없이 사용되던 기술이어서 갑작스런 변경에 혼란이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

이 글에서는 XP 서비스팩2로 인해 웹사이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기능의 제한점들을 소개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해결 방법들을 알려 주고자 한다. 이 방법들은 XP 서비스팩2가 주는 장점들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웹사이트 이용자들에게 줄 혼란을 미연에 방지하고, 편의성을 높여 주는 측면에서 제공하는 것이다.

팝업창 차단과 해법
서비스팩2에 포함된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대한 대대적인 업데이트이다. 이 중 다른 브라우저에 탑재되어 많은 사용자들의 호응을 받았던 기능 중 하나가 팝업창 차단이다. 이 기능이 브라우저에 기본값으로 설정되며, 웹사이트에 따라 브라우저 주소 표시줄 아래에 표시되는 '알림 표시줄'을 통해 사용자가 차단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팝업창을 차단한다고 해서 모두 다 차단하는 것은 아니다. onload와 window.open을 통해 자동으로 오픈되는 팝업창만 차단된다. 즉, 사용자의 액션으로 열리는 팝업창이나 인트라넷 영역에서는 팝업이 허용된다.


이렇게 되면, 싸이월드의 경우 주소를 치면 미니 홈피가 자동으로 뜨던 것을 할 수가 없게 된다. 또한 팝업 광고나 알림을 위해 웹사이트에서 띄우는 공지들도 모두 차단되는 것이다.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것이 팝업 차단 기능을 해제하거나, 자신의 사이트에서는 팝업을 허용하도록 하는 가이드를 만들어 공지하는 일이다. 그 다음으로 자동으로 뜨는 팝업창이 어떤 액션을 수행하게 될 때 팝업창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경고를 사용자에게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팝업창이 차단되면 window.open()함수는 리턴 값으로 null을 반환하므로 이를 이용해 차단 여부를 알 수 있다. 아래 내용이 팝업창 차단을 확인해 그 여부를 알려주도록 수정된 자바스크립트 코드다.

수정 전
<script language = "javascript" >
function onLoad()
{

var objPopup = window.open("popup.htm", "");
location.href = "other.html";
}
</script>
<body onload= "onLoad()" >

수정 후
<script language = "javascript">
function onLoad()
{
var objPopup = window.open("popup.htm", "");
if (objPopup == null) {
alert("차단된 팝업창을 허용해 주십시오.");
}
else {
location.href = "other.html";
}
}
</script>
<body onload= "onLoad()" >

예를 들어 팝업창을 자동으로 띄우고 원래 페이지가 다른 페이지로 이동한다거나 창을 닫거나 하는 경우가 있으면 팝업창 차단 여부를 확인하도록 스크립트를 바꿔야 한다.

액티브X 컨트롤 자동 설치 차단과 해법
웹사이트를 돌아다니다 보면 직사각형의 보안 경고창을 흔히 볼 수 있다. 이것은 웹페이지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하는 액티브X 컨트롤을 다운로드 하기 위한 확인창이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직관적으로 예를 누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면 악의적인 코드를 담고 있는 프로그램을 PC에 설치할 수 있어 많은 문제가 돼 왔다.

이번 XP 서비스팩2에서는 아예 이러한 창 자체가 뜨지 않는다. 즉 액티브X 기능을 포함하는 페이지의 경우, 현재 보고 있는 페이지에 액티브X가 포함돼 있으며 설치하려면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알림 표시줄'에 뜬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온라임 게임 뿐 아니라 인터넷 뱅킹, 전자 지불, 사이버 트레이딩에 기본적으로 인증용 액티브X가 사용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학습되지 않은 사용자들의 고객 문의 폭주가 예상된다고 하겠다. 웹페이지는 정상적으로 표시되지만 액티브X 컨트롤이 안 깔려 있는 상황에서는 알림 표시만 하고,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국세청의 홈택스 서비스의 경우 2~3개 회사의 여러 액티브X가 웹페이지에 포함돼 있어 하나를 설치하더라도 사용자는 메시지를 보내는 알림 표시줄을 통해 아직 설치하지 않은 액티브X를 설치해야 한다. 이럴 경우 아래와 같이 소스코드를 변경해 설치 여부를 확인, 안내 페이지로 옮겨줌으로써 사이트 방문자들이 수동으로 다운로드해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수정 전
<body onload ="checkControl()" >
<object id = "objCtl" classid ="...." codebase="xxx.cab">
</object>
</body>
수정 후
<script language = "javascript" >
function checkControl()
{
If (objCtl == null) {
top.location.href = "error.asp"; //필요한 기능을 설치하는 소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objCtl.do();
}
</script>
<body onload ="checkControl()" >
<object id = "objCtl" classid ="...." codebase="xxx.cab">
</object>
</body>

또한 SP2는 이제 신뢰되지 않은 게시자가 배포하는 액티브X 프로그램을 원천 차단함으로써 아예 설치할 수 없도록 변경해버렸다. 액티브X 개발사들은 인증 과정과 비용의 번거러움 때문에 테스트 인증서로 서명한 액티브X를 배포하기도 하였는데, SP2가 설치된 PC에서는 베리사인(VeriSign)과 써트(Thawte) 등 글로벌 인증 기관에서 발행한 인증서로 서명된 코드만 설치된다.

따라서 이전에 코드사인 인증서를 가지고 있지 않은 회사는 인증서를 발급 받아 사용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베리사인과 트와트 양사의 코드사인 인증서를 함께 대행하는 웹사이트(www.thawte.co.kr)가 있기 때문에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창 제한과 해법
팝업창 차단과 함께 포함된 기능이 팝업창 사이즈 제한 기능이다. 이것은 팝업으로 뜬 창이 윈도우 전체에 표시되거나, 사용자가 제어할 수 없는 상황을 막아 주기 위한 것이다. 음란 사이트나 링크 사이트 같은 곳에서 심심치 않게 경험하는 것이다.

이 제한에는 스크립트를 이용한 창 크기 조절을 사용할 수가 없다. 팝업에서의 window.resize 같은 기능이 제한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전에는 팝업 윈도우의 위치를 정할 수 있었지만 이제 이것도 조절된다. fullwindows=yes 같은 스크립트로 화면 전체에 표시하던 기능도 창 최대화 기능으로만 사용된다는 점도 염두해야 한다.

즉 지금까지 사용하던 온라인 전면 광고나 웹사이트 등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고 있는 웹사이트들은 수정이 필요하다.



또한 팝업을 만들 때 주소창, 메뉴바, 상태 표시줄 등을 제어할 있었지만 모든 팝업에 상태 표시줄은 꼭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팝업 윈도우의 크기에서 상태 표시줄이 표시되는 20~30픽셀 정도의 크기가 더 늘어남에 따라 윈도우 사이즈를 약간 늘여야 모든 컨텐트와 UI를 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정확한 MIME 핸들링
웹서버에서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보낼 때에는 HTTP 헤더에 데이터 컨텐트-타입을 적어주게 돼 있다. 대부분의 아파치 웹서버는 text/plain이 기본으로 설정돼 있으며 MIME 타입에 설정돼 있지 않는 확장자로 데이터를 보내면 웹브라우저는 어떤 형식인지 인식할 수 없게 된다.

여기에 인터넷 익스플로러에는 MIME 스니핑이라는 기능이 내장돼 있어 헤더가 text/plain이더라도 html 구문이 포함돼 있으면 html 문서로 읽어 주는 역할을 해 왔다. 이것은 그림 파일이나 기타 다른 애플리케이션 파일 포맷도 마찬가지다.

SP2에서는 이런 자동적인 MIME 스니핑은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 MIME 타입이 보내지면 이에 따라서만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HTTP 헤더와 데이터 포맷을 정확히 쓰는 버릇을 들여야 한다.

만약 그렇지 못한 파일이 IE에 전달되면 저장 기능만 작동되며 바로 실행은 이제 불가능하다. 이미 모질라나 오페라 같은 브라우저에서는 이렇게 작동됨으로써 정체 불명의 파일이 다운로드돼 실행되는 것을 막고 있다. 단 MIME 타입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스니핑이 그대로 동작한다.

로컬 머신 잠금 기능
사용자의 로컬 머신 보안 영역이 인터넷보다 한층 더 높아져 윈도우 XP를 사용해 웹페이지 및 액티브X의 내부 테스트를 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게 됐다. 자바스크립트 실행이나 액티브X 실행 자체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됐기 때문에 윈도우 XP 개발자들은 테스트 진행에 애로를 겪게 될 것이다.

로컬 HTML 파일에 <!-- saved from url=(0022)http://www.yoururl.com --> 이나 <!-- saved from url=(0013)about:internet -->와 같은 주석을 붙임으로써 실행이 가능하긴 하다. 또한 액티브X 컨트롤은 웹으로 올린 후 다운받아 테스트해야 한다.

이번에 출시되는 윈도우 XP 서비스팩 2에는 이 밖에도 몇 가지 제한 사항이 더 포함돼 있다. 모든 설정은 사용자의 레지스트리에서 변경 가능하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설정돼 있는 것 때문에 많은 혼란이 있을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 본 바로는 기존의 많은 코드를 다시 살펴봐야 하는 어려움은 따르겠지만 그 동안 등한시 해왔던 보안에 대한 이슈를 해결한다는 측면에서 꼭 필요할 것이다. 특히 서비스팩2에서는 IE와 기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확장 기능과의 충돌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내장돼 있는 등 전반적으로 사용자 웹브라우징의 안정성 및 보안성을 높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개발자나 사이트 운영자들은 서비스팩2의 정식 출시 이전에 미리 설치해 자신의 웹사이트에 대한 테스트를 꼭 해보기를 권장한다. 또한 고객이 오인할 수 있는 팝업 제어나 액티브X 컨트롤 설치 등에 대한 자세한 안내문을 적어주는 것도 필요하다. @
Posted by tornado
|
[방문히트이벤트] 3400 히트를 잡아라!
재인님이 당첨되었습니다.

'이것저것 >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헐... 삽질 ㅜㅜ  (0) 2004.11.19
3500 히트 이벤트!!!  (0) 2004.11.12
[펌] (동영상모음) 어리버리한 빼꼼씨리즈  (0) 2004.11.09
오늘의 삽질..  (0) 2004.11.04
3300 히트 이벤트!!!  (0) 2004.11.03
Posted by tornado
|

 빙벽타기            http://aniland.w3ip.com/animations/IceClimbing.wmv

 

 골프                  http://aniland.w3ip.com/animations/Golf.wmv

 

 행글라이딩         http://aniland.w3ip.com/animations/HangGliding.wmv

 

우주선과 달팽이   http://aniland.w3ip.com/animations/Contact.wmv

 

스카이                http://aniland.w3ip.com/animations/ILoveSky.wmv

 

소풍                   http://aniland.w3ip.com/animations/Ilovepicnic.wmv

 

   유명한 rgstudios의  백곰 동영상입니다.

   오늘도 어리버리한 빼꼼의 실수가 이어집니다.

  스카이하고 소풍편은 끝까지 인내하고 보셔야 해요. ㅋㅋ

 

 

           직접 가면 재미있게 더 많이 볼 수 있어요.

           출처 / http://www.rgstudios.com/

 

'이것저것 >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3500 히트 이벤트!!!  (0) 2004.11.12
3400 히트 이벤트!!!  (0) 2004.11.09
오늘의 삽질..  (0) 2004.11.04
3300 히트 이벤트!!!  (0) 2004.11.03
3200 히트 이벤트!!!  (2) 2004.10.26
Posted by tornado
|

엠파스 블로그에서 펌~~



/etc/mail/sendmail.mc 에서 아래 부분을 수정한다.

# vi /etc/mail/sendmail.mc

127.0.0.1 부분을 찾아 삭제
TRUST_AUTH_MECH(`EXTERNAL DIGEST-MD5 CRAM-MD5 LOGIN PLAIN')dnl
define(`confAUTH_MECHANISMS', `EXTERNAL GSSAPI DIGEST-MD5 CRAM-MD5 LOGIN PLAIN')
위 두줄앞에 있는 dnl 을 삭제

# m4 /etc/mail/sendmail.mc > /etc/mail/sendmail.cf
# /etc/rc.d/init.d/sendmail restart

설정이 완료된 순간부터 access.db 의 내용은 무시되며
서버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메일 보내기가 가능해진다.

아웃룩 설정부분에서 아래부분을 체크한다.

'계정속성 -> 서버' 아래쪽에 있는 '보내는 메일 서버' 의 '인증필요' 부분을 체크.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Installing Oracle9i on FreeBSD  (0) 2004.11.11
[펌] FreeBSD 5.0 설치하기  (0) 2004.11.11
[bbs.kldp.org에서 펌] 분할 압축하기...  (0) 2004.10.14
[펌] SNMP개요및 설치,운용  (0) 2004.08.21
한글 putty  (0) 2004.08.13
Posted by tornad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