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 http://www.mapoo.kr/entry/vi-%EC%82%AC%EC%9A%A9%EC%8B%9C-M-%EC%97%86%EC%95%A0%EA%B8%B0
vi(m)을 사용하다보면 윈도우즈에서 작업한 텍스트 파일에 ^M 문자가 붙는 경우를 종종 본다. 때문에 문서 보기가 상당히 귀찮아 보일 때가 있다. 특히, SQL 백업 파일을 볼 때 이 문자가 붙기도 하는데 특정한 내용을 볼 때 이런 문자가 붙은 것을 보기는 상당히 힘들다. (sun의 파일을 aix에서 받을 때에도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고 한다.) 이 문자 ^M은 ^+M이 아니라 Control+v+m 이다. 따라서, 다음에 이 문자를 없앨 때도 이렇게 타이핑을 하도록 하자. 1. vi(m)이 열린 상태 1.1 문자 치환 명령 이용 다음과 같이 문자 치환 명령으로 이 문자를 없애도록 한다. :1,$s/^M//g 물론 이것의 입력은 다음과 같이 하도록 한다. :1,$s/[Control]+v+m을 누른다.//g 1.2 파일 포맷 변경 vim 5.0 이상에서는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리도록 한다. :set fileformat=unix 혹은 :set ff=unix 그리고, 저장하고 종료한다. :wq 이와 반대로 끝에 ^M붙이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set fileformat=dos 이전 버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합니다. :set textmode 2. 프롬프트 상에서 2.1 dos2unix 이용 dos2unix와 unix2dos를 이용하여 변환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하면 ^M 문자가 없어진다. $ dos2unix [문서명](여러 파일의 경우 *.확장자) 그리고 다음과 같이 하면 ^M 문자가 생긴다. $ unix2dos [문서명] 2.2 cat과 tr을 이용한 방법 다음과 같이 하면 해당 파일의 ^M 문자가 없어진다. $ cat dos-file | tr -d ^M > unix-file 2.3 perl 스크립트 다음과 같이 하면 여러 파일을 한번에 바꾸게 된다. # perl -i -pe 's/\015//g' *.html 3. 다른 에디터의 사용 pico라는 에디터를 이용한다. vi나 emacs에서 ^M으로 잡히는 것이 pico에서는 안 잡히는데, 파일을 pico로 열어서 다시 이 문서를 저장한다. 그리고 vi나 emacs로 읽으면 ^M이 모두 없어진 것을 알 수 있다. 4. man 페이지의 ^M, ^H 문자 man 페이지를 일반 화일로 바꾸면 ^M, ^H 등이 생기는데(예, 한컴리눅스 ^H) 다음과 같이 하면 이 문자를 없애고 볼 수 있다. 다음은 ls의 예이다. 4.1 ps 또는 pdf로 변환하기 man -t 변경시킬 화일 > 변경 후 화일명.ps man -t 변경시킬 화일 > 변경 후 화일명.pdf 예) man -t ls > ls.ps 또는 ls.pdf로 보시면 됩니다. 4.2 텍스로 변환하기 man 변환시킬화일 | col -b> 변환후 화일명.txt 예) man ls | col -b > ls.txt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laris] Tree 구조로 디렉토리 조회하는.... (0) | 2013.03.11 |
---|---|
[펌] 일정 시간동안 접근이 없는 파일 삭제하기 [ok] (0) | 2009.08.04 |
[펌] Portsentry 설정방법 (0) | 2009.08.03 |
아파치 웹서버에서 디렉토리 보안 걸때, 주의 사항. (0) | 2009.07.17 |
Xming으로 Windows에서 Xwindow를 원격접속하기 (0) | 2009.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