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가 국내 시장에서 처음으로 ’AMD 튜리온64’를 탑재하여 출시한 HP-컴팩 NX6125 비지니스 노트북은 업무용 환경에 최적화된 노트북답게 다양한 사양의 모델들이 출시된다. 액정은 제품에 따라 4:3 비율의 14인치 혹은 15인치 액정을 탑재하며 액정 해상도 역시 모델에 따라 XGA(1024*768)와 SXGA+(1400*1050)이 적용되어 있다. 리뷰 모델은 15인치 타입으로서 SXGA+(1400*1050) 해상도의 광시야각 액정이 채용되어 있다. |
![]() P-ATA 방식의 60GB, 5400rpm 하드디스크와 듀얼 레이어 대응의 DVD 슈퍼 멀티 드라이브가 기본 탑재되며 86키로 구성된 풀사이즈 키보드와 키보드 상단에 무선랜 on/off, 볼륨 조절키를 갖추고 있다. V.92 규격의 모뎀, 10/100Mbps 랜, IEEE802.11b/g 무선랜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하고 총 6개 규격의 플래시 메모리(스마트미디어, xD픽쳐 카드, SD/MMC 카드, 메모리스틱/메모리스틱 프로)를 공용할 수 있는 6-in-1 통합 플래시 메모리 슬롯을 채용하고 있다. 또 강력한 보안 기능을 가능케 해주는 스마트 카드 슬롯을 채용하고 있으며 윈도우, 웹사이트 ID 접속 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문 인식 센서가 새롭게 추가되어 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이다. 인터페이스로는 3개의 USB 2.0 단자, 외부 모니터 단자(D-SUB), S-VIDEO 단자, IEEE1394 단자, 헤드폰 단자, 마이크 입력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
![]() 6셀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기본 제공되며 본체 사이즈는 길이 328 x 폭 267 x 두께 31mm, 무게는 약 2.72kg이다.HP-컴팩 NX6125 시리즈는 기존 DV1000 및 V2000 시리즈에 별매품으로 제공되는 전용 도킹베이스인 익스펜션베이와 다른 형식의 전용 도킹 베이스(Advanced Docking Station)가 사용되며 노트북을 데스크탑 PC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용 모니터 스탠드와 무선 마우스/키보드 셋, 노트북을 세워놓을 수 있는 Adjustable Notebook Stand) 등의 다양한 옵션이 마련되어 있어 비즈니스 모델다운 뛰어난 융통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
NX6125 에는 키피치 19mm, 키스트로크 3mm, 86키로 구성된 풀사이즈 키보드가 탑재되어 있다. 모델명에 ’비즈니스’라는 말이 포함되어 있듯이 NX6125은 업무용 환경에 최적화시킨 모델 라인업이다. 각종 문서, 서식, 오피스 등 키보드 의존도가 높은 작업을 필요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키보드 구성 및 편의성에서 AV형 모델과 차별화된 특징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최근 거의 모든 제조사들이 키보드를 전문 업체에 외주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설계, 배열상의 특징을 제외하면 성능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정도로 모듈화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딱히 비즈니스 노트북이라고 하여 체감적으로 확연하게 다른 키보드 성능을 보여준다고는 할 수 없지만, 기본적으로 문서작업에 불편이 없는 안정적인 특징을 갖추고 있어야 함은 분명하다. |
AMD 튜리온64 CPU를 탑재하여 출시된 NX6125는 인텔 소노마 플랫폼을 탑재하여 앞서 출시된 NX6100 시리즈를 베이스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키보드 성능은 NX6100 시리즈와 비슷하다. 일부 키보드 배열이 변경되기는 하였지만, 키보드는 비즈니스 모델로서 크게 손색이 없는 성능을 제공해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풀사이즈 키보드로 규정되고 있는 키피치 19mm와 키스트로크 3mm의 사이즈를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반발력을 위한 러버돔의 탄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각 키들이 충분히 눌리는 느낌을 준다. 러버돔은 전체적으로 탄성이 강한 편이고 누를 때의 압력 분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키운용시 경쾌한 느낌이 잘 전달된다. |
NX6125의 키보드 내부 구조의 모습이다. 키를 고정시키는 팬터그라프 방식의 격자 구조물은 키보드의 각키를 키보드 판으로부터 든든하게 고정시켜주어 좌우 흔들림이 거의 느껴지지 않으며 어느부분을 눌러도 키가 고르게 눌려지도록 유도해 준다. |
우리나라 노트북 사용자들이 민감해하는 부분인 키보드 들썩거림이나 울렁거림에 있어서도 별 문제 없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키보드판이 본체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고 손가락으로 꽤 힘있게 키보드를 눌러도 키보드 일부가 울렁거리는 불안한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
키보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알아보기 위해 노트북 전원을 끈 상태에서 분당 약 500 정도의 속도로 타이핑시 소음 수치를 측정해 본 결과 최대 61dB으로서 평균적인 정도를 나타냈다. |
키배열에 있어서도 크게 신경 거슬리는 부분을 볼 수 없었다. 15인치 대형 모델답게 워드 작업시 빈번하게 사용하는 홈/앤드, 페이지 업/다운 키들이 오른쪽에 따로 분리되어 있으며 방향키는 보지 않고서도 조작이 가능하도록 독립적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엔터키보다도 큰 오른쪽 쉬프트키의 위치도 한글 키보드 구조에 적합하며 상단의 F키들도 적절한 크기를 유지하고 있어 손이 큰 사람들도 불편 없이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데스크탑 키보드처럼 F열을 4조씩 구분해 놓았으며 fn와 연동되는 기능키들에 파란색 아이콘을 새겨놓아 가독성을 높여 놓았다. 페이지 업/다운, 홈/엔드 키열도 주키보드열과 구분되어 있어 빠른 조작시 키간의 간섭 현상이 없도록 한 점도 마음에 든다. |
배열상 마음에 쏙 들지 않는 부분들도 눈에 띈다. 우선 캡쳐 버튼으로 활용도가 높은 prt sc키를 fn 키와 조합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 오른쪽 부분에도 핫키열 사용시 필요한 fn 키를 하나쯤 배치하였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상향키 좌우의 남는 공간을 적절히 활용했다면 보다 사용이 편리한 구성이 가능하였을 것이다. 몇 가지 세세한 부분들을 제외하면 NX6125의 키보드에서 크게 흠잡을만한 구석은 보이지 않는다. |
NX6125는 비즈니스 모델답게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첨단 안전장치들이 적용되었는데, 그중에 키보드와 관련된 기술이 바로 침수방지 기능이다. 키보드판 바닥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 처리가 되어 있는데, 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갑작스러운 사고로 노트북 키보드 위에 물을 쏟았을 때, 물방울이 PC 내부에 침수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한뒤 종료하여 불의의 사고로 데이터를 잃어버리는 일이 없도록 해준다. |
침수 방지 기능을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갑작스럽게 키보드 위로 물이 쏟아진 상황에서 시스템을 완전히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작업중인 파일을 저장하고 시스템을 정상 종료하여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시스템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시간을 지연시켜 준다는 뜻이다. 즉 물이 쏟아진 후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키보드 위로 쏟아진 물은 시스템 내부로 침투하여 노트북을 완전히 망가뜨릴 수도 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침수 방지 키보드의 목적은 ’데이터를 보호하자는 것이지 터프북처럼 시스템 자체를 보호하자는 의도’가 아니기 때문이다. |
사진설명 : NX6125 액정의 자연색 이미지 출력 상태 NX6125에는 모델에 따라 14인치 또는 15인치 액정이 탑재되며 14인치의 경우 XGA(1024*768) 해상도를 지원하고 15인치의 경우 XGA(1024*768), 또는 SXGA+(1400*1050) 해상도를 지원한다. 리뷰에 사용된 제품은 NX6125의 상위 모델이며 4:3 비율의 15인치 SXGA+(1400*1050)액정이 액정이 탑재되었다. |
사진설명 : NX6125 액정의 자연색 이미지 출력 상태 두 번째 타입은 HP 브라이트뷰 방식과 같이 액정 표면에 저반사 하드코팅이 적용된 액정이다. 즉 유광의 저반사 하드 코팅층으로 내부 백라이트 빛의 확산을 막아주고 저반사 코팅층이 추가되어 주변의 광원 유입에 따른 콘트라스트 왜곡 및 가독성 저하를 방지하여 선명한 영상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방식의 기능성 액정이다. 원래 저반사 하드코팅을 채용한 액정은 동영상 재생용으로 특화된 액정이기 때문에 기존 노트북용 LCD에 비해 매우 밝은 패널이 사용되며 색감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하이콘트라스트 필터가, 외광 반사에 따른 시야각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반사 방지 코팅이 적용되어 있다. 보통 일반 노트북에 사용되는 액정의 평균 밝기는 170-180cd 정도이지만, 저반사 하드코팅층이 추가된 브라이트뷰 액정과 같은 기능성 패널은 제품에 따라 200-350cd의 고휘도 백라이트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DVD-Video 재생시 진가를 발휘한다. |
사진설명 : NX6125 액정의 자연색 이미지 출력 상태 세 번째 타입은 주로 보급형 노트북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 형태의 액정으로서 평균 170-180cd 내외의 백라이트를 내장하고 있으며 저반사 보상 필름류가 추가되지 않은 일반적 형태의 TFT 액정이다. 특수 기능이 첨가된 광시야각 액정에 비해 시야각 성능 및 색간 표현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가격이 저렴한데다 일반적인 환경은 물론 멀티미디어 환경에서도 크게 문제없을 정도의 기본적인 성능은 갖추고 있다. 이 외에도 밝은 외부에서의 원활한 사용을 가능케해주는 투과형 광시야각 액정, 더블 백라이트 내장으로 휘도를 600cd까지 끌어올린 고휘도, 고선명 액정, 도시바 리브래또 U100에 최초로 적용된 LED 백라이트 방식의 액정 등 크기 만큼이나 액정 설계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
사진설명 : NX6125 액정의 자연색 이미지 출력 상태 HP NX6125에는 무광의 저반사 보상 필름이 추가된 Fringe Field Switching 방식의 광시야각 액정이 탑재되어 있다. NX6125의 액정은 위의 사진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뛰어난 해상력과 색간 표현력을 갖추고 있다. 동영상 재생에 특화되어 있는 저반사 하드코팅 액정만큼의 화사함이 느껴지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또렷하고 균일감 있는 출력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원색의 표현이나 색간 표현력도 상당히 뛰어난 편이다. 특히 좌우 시야각에서 만족스러운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아래의 사진을 통해 NX6125의 시야각 성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먼저 30도 각도에서 본 모습이다. 30도 각도에서 원색 이미지를 보았지만 중앙부에서 약간의 색감 과장 현상이 발견되는 것 외에는 정면에서 보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
이번에는 아이엠샘 DVD 타이틀의 한 장면을 통해 시야각 성능을 알아보자. 약 30도 각도의 측면에서 보았다. 각도에 따라 특성을 많이 타는 동영상이지만 정면에서 보는 것과 크게 차이 없는 출력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다음은 약 측면 60도 가까운 각도에서 원색 이미지를 본 모습이다. 30도 각도일 때보다 중앙부분의 색과장 현상이 좀 더 발생하지만 윤곽, 색감 등 이미지 식별에 큰 어려움이 없음을 볼 수 있다. |
역시 아이엠샘 DVD 타이틀의 동일 장면을 측면 60도 가까운 각도에서 본 모습이다. 30도일 때보다 흐리게 보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장면을 구분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는 모습이다. |
측면 80도 가까운 각도에서 원색 이미지를 본 모습이다. 이미지의 색감이나 선명도, 배경의 디테일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출력물의 식별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
측면 80도 가까운 각도에서 아이엠샘 DVD 타이틀의 동일 장면을 본 모습이다. 색감이 약화되고 선명도가 저하되어 쾌적한 식별 상태를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여전히 눈에 띄는 색과장 현상이나 색반전 현상은 크게 나타나지 않으며 장면의 구분 역시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이번엔 상위 30도에서 본 모습이다. 우수한 측면 시야각에 비해 상위 시야각은 어느 정도 떨어지는 편이지만 그 정도가 타 모델의 액정보다 꽤 양호함을 볼 수 있다. 선명도가 떨어지기는 하지만 여전히 출력 장면의 윤곽의 식별이 가능하며 표시되지 않고 있으나 조금 물빠진 옷감 같기는 해도 이미지의 색감 역시 구별이 가능한 정도를 보여주고 있다. 보통 상위 30도 각도에서는 이미지의 색감 구별도 어려운 것이 일반적이나 NX6125의 액정은 상위 시야각에서도 어느 정도 안정적인 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
하위 30도에서 본 모습이다. 상위 시야각과는 반대로 전체적으로 색반전 현상이 발생하며 짙은 원색이 사용된 부분에는 콘트라스트 왜곡 현상으로 인해 명확한 색감 구별이 쉽지 않다. 그러나 타 모델에 비해서는 좀 더 나은 출력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종합적으로 NX6125 액정의 시야각 성능은 상당히 양호하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
최고 밝기로 지정한 상태의 모습이다. AV형 액정과 같이 강렬한 대비의 색감을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전체적으로 색감을 또렷하게 출력하며 우수한 색간 표현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주변이 밝은 외부에서까지 쾌적한 가독성을 확보해주지는 못하지만, 전체적으로 밝고 선명한 출력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좌우상하 시야각 성능 역시 우수하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환경에서도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을만한 성능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최저 밝기로 지정한 상태의 모습이다. 보통 15인치급 모델이라면 휴대성을 염두해 두고 설계되지 않는 것이 관례이지만, NX6125는 잦은 환경 변화가 요구되는 비즈니스 대응의 모델답게 배터리 전원 관리 기능이 강화되어 있다. 전원 절약을 위해 최저밝기의 휘도가 기본적인 화면 식별에 필요한 최소한의 상태로 지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NX6125에서 액정 조절폭은 상당히 큰 편이며 최저 밝기로 지정했을 때에는 단순 작업 외 멀티미디어 작업은 사실상 어렵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최저 밝기로 지정한 상태에서 전원 관리 효과는 우수한 편이다. |
HP가 NX6125 시리즈에 AMD 튜리온64 플랫폼을 어떻게 구현하였는지 이제 내부구조를 알아보도록 하자. |
NX615 내부를 구경하기 위해서는 키보드 상단의 버튼부를 포함하고 있는 커버를 먼저 제거해야 한다. 배터리 베이에 있는 3개의 고정 볼트를 제거한 뒤 - 자 드라이버로 조심스럽게 커버의 물림을 제거하면 분리가 된다. 주의할 점은 NX6125의 경우 일반 십자 볼트가 아닌, 별모양의 볼트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규격에 맞는 소형 - 자 드라이버로도 볼트제거는 가능하지만 잘못하면 볼트를 망가뜨려 낭패를 당할 수 있음이다. |
사진설명 : 본체 상단 케이스 재료는 강화 플라스틱이며 지문 인식 센서와 터치패드 기판을 포함하고 있다. |
본체 상단 케이스를 제거하면 NX6125의 내부 구조가 한 눈에 들어온다. NX6125는 일반적인 노트북 설계 패턴을 잘 보여주고 있다. 메인보드를 왼쪽 부분에 배치하고 광학드라이브는 오른쪽에 위치해 있으며 두께 부담을 줄이기 위해 후면부를 배터리 베이로 이용하고 있다. 스피커는 음원 재생시 출력에 방해를 받지 않는 위치인 전면부에 배치되어 있고 주요 포트부는 후면 좌측과 왼쪽 측면부에 집중되어 있다. |
![]() 주요 칩셋 부분으로 들어가기 앞서 NX6125의 보안 기능에 대해 먼저 짚고 넘어가보자. HP-컴팩 NX6125에는 "HP 프로텍트 툴스" 기능에 새롭게 크레덴셜 매니저(Credential Manager)가 통합되어 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포함한 네트워크나 보안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때 싱글사인온(SSO)를 포함한 각기 다른 비밀번호를 사용자의 노트북이 아닌 스마트 카드 또는 TCG(Trusted Computing Group)의 기준에 근거한 엠베디드(마이크로프로세서에 미리 정해진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내장시킨 시스템 형식) 보안칩에 저장한다. 사진에 보이는 칩셋이 바로 NX6125의 보안을 책임지고 있는 엠베디드 보안 칩셋이며 PC와는 별도로 저장 관리되기 때문에 부정한 방법으로 노트북에 접근하려는 시도 자체를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켜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
![]() NX6125의 보안 기능은 스마트 카드 프리부트(Pre-Boot) 인증과 드라이브락(DriveLock)이라고 불리는 하드 드라이브 보호 기능을 통해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된 사용자의 데이터에 무단 접속하는 것을 막아주며, 하드 드라이브를 제거해 다른 PC에서 접속할 경우에도 무력화할 수 없다. 한편 무선 보안 기능으로는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암호화를 지원하는 WiFi 보안 액세스 버젼 2를 지원하며, 이 기능들은 시스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완벽하게 호환된다. |
![]() 사진설명 : 네트워크 전문 회사인 Lankom 사의 기가비트 이더넷 - SQ-H40B-2 칩셋 |
NX6125에 탑재된 튜리온64 CPU, 메인보드 칩셋의 쿨링시스템 모습이다. 구조만 봐서는 인텔 센트리노 플랫폼이 사용된 것과 같은 착각이 들게 할 정도 작고 간단한 장치가 사용되어 있는데, 이는 그만큼 새로운 64비트 모바일 CPU인 튜리온64의 발열에 자신이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
CPU와 메인보드 칩셋의 발열을 책임지고 있는 쿨링장치 - 인텔 센트리노 플랫폼을 탑재한 슬림형 모델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
NX6125에는 튜리온64 ML-37 CPU가 탑재되어 있는데, 이 제품은 동작 클럭 2GHz/ L2 캐시 메모리 1MB으로서 인텔 Pentium-M760(2.0GHz, L2 캐시 2MB)에 대응한다. 소비 전력은 35W로서 소노마에 포함되는 도선 CPU보다 약 10W 정도 높다. |
사진설명 : NX6125에 탑재된 튜리온 64 CPU는 자유로운 탈부착이 가능한 소켓 형식이기 때문에 상위 프로세서로 업그레이드도 가능하다. |
제거 방식은 데스크탑 PC와 비슷한데, CPU 소켓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 레버를 위로 올리면 CPU가 제거되고 다시 장착하기 위해서는 CPU를 소켓에 넣고(삼각형 표시를 잘 맞춰서) 레버를 아래로 내리면 된다. 쉽게 교체 가능한 구조이지만, CPU 업그레이드를 하려면 노트북을 먼저 분해해야하니 CPU 업그레이드는 노트북 초보자들에게 언제나 요원한 작업이다. ^^; |
NX6125의 메인보드는 Turion 64를 지원하기 위해 ATI가 새롭게 출시한 XPRESS 200M 칩셋이 사용되었다. 이 칩셋은 인텔 915 칩셋과 마찬가지로 PCI Express를 지원한다. DirectX 9에 대응하는 그래픽 코어를 내장한 통합하고 있다. Turion 64 외에도 모바일 Athlon 64, 모바일 Sempron 등 AMD의 모바일 프로세서 제품군의 CPU를 사용할 수 있다. 칩셋에 내장된 비디오 코어는 RADEON X300에 준하는 성능을 발휘한다고 ATi측은 밝히고 있으나 통합형 칩셋 답게 CPU 타입에 따라 성능이 많이 좌우된다. 그래픽 코어의 작동 클럭은 300MHz이며 메모리의 버스폭 128bit, 파워 매니지먼트 기능인 POWERPLAY 5.0 등을 기본 탑재하고 있다. |
사진설명 : 15인치 모델답게 메인보드는 넉넉한 크기로 설계되어 있다. |
사진설명 : NX6125 메인보드의 바닥면 - 대칭을 이루고 있는 2 개의 램슬롯과 도킹스테이션 접속 단자가 보인다.
|
본체 전면부 좌우로 스테레오 내장 스피커가 배치되어 있다. 스피커 출력구가 전면부를 하단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음원 출력에 방해 요소가 크지 않으며 출력만큼은 영화감상을 불편 없이 즐길 수 있는 수준 정도는 유지하고 있다. 제원상 NX6125의 내장 스피커는 노트북용으로서는 넉넉한 편인 1.5W이다. |
큼지막한 캐비넷을 포함하고 있는 NX6125의 스테레오 스피커는 저음에서 고음까지 고른 음역 재생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최대 음량시 음의 화울링 현상이나 음이 찌그러지는 현상을 볼 수 없었다. 비즈니스 모델로서는 불만 없는 스피커 성능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AMD 튜리온64의 장점이라면 인텔의 센트리노 플랫폼과는 달리 메인보드와 무선랜의 조합이 자유로운 단품구성이라는 점이다. AMD는 그래픽 콘트롤러, 무선랜 등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개방형 아키텍처를 채택하였기 때문에 AMD 튜리온 64를 채택한 노트북 제조업체들은 부품 구성에 있어 제약을 받지 않아 보다 융통성 있고 다양한 스펙 구성이 가능하다. |
HP-컴팩 NX6125에는 사용 빈도가 급격하게 떨어진 PCMCIA 슬롯을 과감하게 삭제하고 PCMCIA 규격을 대체하는 Express Card 슬롯을 새롭게 포함시켰다. Express Card 규격(최대 312Mbps)은 기존 PCMCIA 규격(최대 132Mbps)에 비해 2배 이상 향상된 전송 속도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두 개의 슬롯 중에서 상단이 Express Card 슬롯이고 하단은 강력한 보안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카드 슬롯이다. |
HP-컴팩 NX6125에는 6in1 플래시 메모리카드 슬롯을 내장하고 있다. 6가지 메모리카드를 하나의 슬롯에서 사용가능하다는 것인데, SD/MMC 카드, 메모리스틱/메모리스틱 프로, 스마트 미디어카드, xD 픽쳐 카드로 구성된 6가지 메모리카드 공용 슬롯을 지원한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메모리카드 슬롯을 갖춘 카메라폰, PDA의 활용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거의 대부분의 최신 노트북 PC에 2가지 혹은 4가지 규격의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는 공용 슬롯이 기본 채용되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 슬롯 채용만을 놓고 특별한 장점이라고 소개할 수는 없겠지만, 타 제조사의 모델에는 대부분 빠져있는 스마트미디어, xD 픽쳐 카드를 포함한 6가지 미디어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슬롯을 갖추고 있다는 것은 NX6125의 장점이다. |
사진설명 : 상판과 마찬가지로 심플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NX6125의 바닥면 모습 |
본체 바닥 중앙부 우측으로 메모리가 탑재되는 슬롯이 위치해 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커버를 제거하면 메모리 슬롯이 대칭형태로 드러난다. 333MHz PC2700 DDR SDRAM이 사용되며 리뷰 모델에는 기본 1024MB가 탑재되어 있으나 국내 출시되는 제품에는 512MB가 기본 탑재된다. 최대 2GB까지 확장이 가능하며 두 개의 슬롯이 모두 노트북 바닥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업그레이드가 용이하다. |
본체 전면부 좌측으로 하드디스크 베이가 위치해 있다. 시게이트사의 모멘터스 제품이 기본 내장된다. 유체베어링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5400RPM 속도, 소비전력 5V, 8MB의 버퍼메모리를 탑재하고 있는 고성능 모델이며 데이터 저장 용량은 60GB이다. |
하드디스크 커버를 벗기고 사진에 보이는 회색 필름을 앞으로 잡아당기면 간단하게 분리되기 때문에 초보자들도 업그레이드가 용이하다. |
NX6125 에는 10.8V 4800mAH 용량의 6셀 리튬이온 배터리가 부속된다. 면적이 큰 15인치 액정을 감당하기에는 배터리팩 용량만보면 다소 작아보이지만, 용량에 비해 생각보다 우수한 배터리 구동 상태를 보여주었다. 액정 밝기를 최대로 지정하고 전원 관리 옵션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DVD 타이틀을 구동시켜 본 결과 약 1시간 45분의 연속 사용이 가능하였으며 액정 밝기를 최소로, 전원 관리 옵션을 최대로 지정한 상태에서는 약 2시간 25분의 연속 구동이 가능하였다. |
사진설명 : 외부에서 전원 없이 노트북을 장시간 사용해야할 필요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 본체 바닥면으로 부착되는 추가 배터리를 옵션으로 마련하여 활용성을 높였다.
|
![]() AMD 계열의 CPU가 탑재되어 있는 모델이니만큼, 발열과 소음 정도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을 것이다. 실내 온도 25도의 환경에서 약 3시간 동안 DVD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노트북 각 부분별 발열 상태를 적외선 온도계로 측정해 보았다. 노트북 팜레스트 오른편 상단의 발열은 33.6도를, 왼편 팜레스트 상단은 33도로 양호하였고 키보드 중앙 하단은 약 38.6도를 나타냈다. |
일단 NX6125의 팬소음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데시벨 측정기’를 사용해 보았다. 보통 무소음실에서 측정이 되어야 정확한 소음치를 구할 수 있겠지만, 일반적인 환경이 무소음실과는 차이가 큰 만큼 일상적인 환경에서 소음 증가의 정도를 알아보는 정도로 의미를 두면 될 것이다. |
광학 드라이브가 구동할 때 발생되는 최대 소음은 61.2dB로서 팬소음보다 조금 낮은 정도를 나타냈다. 초기 액세스시에는 얼마간의 소음이 발생하지만 이후에는 비교적 정숙한 동작을 보여 준다. | ||||||||||
이번에는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NX6125의 실제 무게를 측정해 보았다. 제조사에서는 NX6125의 무게를 2.72kg으로 규정하는데, 실제 측정해본 결과 규정 무게를 조금 초과하는 2.79kg을 나타냈다. 70g의 차이가 크다고 느껴지지는 않지만 하지만 실제 무게가 규정 무게보다 초과되는 것은 그다지 기분좋은 현상은 아니다. 물론 규정보다 모자라는 것은 얼마든지 환영이다. ^^; | ||||||||||
![]() Athlon 64 전용 메인보드인 RADEON XPRESS 200M은 DirectX 9 대응의 비디오 코어를 내장하고 있는데 ATI는 RADEON XPRESS 200M에 탑재된 그래픽 코어가 RADEON X300을 베이스로 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코어 클럭은 300MHz이며 파이프라인 수는 4개로서 기본적으로 X300 스펙과 동일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