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ronolog.org/download/index.html 에서 cronolog 를 다운로드 받아서
암데나 압축을 푼다..
압축 푼 디렉토리에서 컴파일~
#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헐... 끝~!
프로그램은 /usr/sbin/ 안에 보면 cronolog 라는게 있다...
이제 httpd.conf 파일의 Custom Log 부분을 고치기만 하면 된다.
보통 common 로그 패턴으로 되어있는데... 남기고 싶은 로그 타입으로 설정하거나
여러개 설정해도 된다.
CustomLog "|/usr/local/sbin/cronolog /usr/local/apache2/logs/%Y/%m/access_log.%Y%m%d" common
라고 입력한다..
이러면 아래와 같은 형태로 로그가 저장된다.
/usr/local/apache2/logs/2004/05/access_log.20040524 와 같은 형태가 된다.
이제 웹 얼라이져 같은 툴로.. 로그를 분석하면 된다.
위 사이트를 잘 읽어보면... 좋은 방법이 많이 나올듯~
---------------------------
언제 사이트 관리 고수가 될지 캬캬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 서비스 (0) | 2004.06.04 |
---|---|
[펌] L4 switch (0) | 2004.06.04 |
Linux 에서 rpm db 꼬였을때.. ㅡㅡ (0) | 2004.05.25 |
[펌] 리눅스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보안 지침Ⅰ (0) | 2004.05.18 |
[펌] Netstat에 대하여 (0) | 2004.05.18 |